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언지(彦之)@심광언 - 심광언(沈光彦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으로, 안성 군수(安城郡守)를 지낸 심빈(沈濱)의 아들.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선정(善政)을 베풀었으며, 법률에 밝아 형정(刑政)을 오랫동안 주관하며 송사를 바르게 처리함.
1490~156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지(彦之)@백충언 - 백충언(白忠彦)
조선 후기의 무신ㆍ의병장. 임진왜란 때 영해(寧海)에서 의병을 모아 공을 세웠으며, 용양위 좌부장(龍驤衛左部將)으로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언지(彦之) - 김기남(金奇南)
조선 전기의 유학.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주세붕(周世鵬)이 보낸 시들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언지(彦之)@이효언 - 이효언(李孝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용인(龍仁)으로, 충주 판관(忠州判官)을 지낸 이봉손(李奉孫)의 아들. 이조 정랑(吏曹正郞)ㆍ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직(彦直) - 윤언직(尹彦直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ㆍ서화가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가 유배되자, 성균관의 유생들과 함께 항소했다가 이약수(李若水)ㆍ박세호(朴世豪)ㆍ김수성(金遂性)ㆍ황계옥(黃季沃) 등과 함께 투옥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유학
-
언진(彦珍) - 이류(李瑠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형인 월산대군(月山大君) 이정(李婷)의 손자로, 성종의 첫 번째 서자인 계성군(桂城君) 이순(李恂)에게 출계함. 윤임(尹任)이 명종(明宗) 대신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아 거열형(車裂刑)을 당하였으나 선조(宣祖) 때 신원됨.
?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언진(彦鎭) - 양산보(梁山甫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제주(濟州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1519년(중종 14) 현량과(賢良科)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(瀟灑園)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.
1503~155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학자
-
언징(彦澄) - 길대연(吉大淵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야은(冶隱) 길재(吉再)의 증손으로, 참봉(參奉)을 지냄.
1483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창(彦暢) - 이언창(李彦暢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감찰시승(監察侍丞)을 역임하였으며, 정도전(鄭道傳)의 《삼봉집(三峰集)》에 그의 호(號)에 대한 명문(銘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청(彦淸)@윤언청 - 윤언청(尹彦淸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교위(校尉) 윤심(尹深)의 아들로, 별좌(別坐)를 지냈으며, 아들인 무성부원군(茂城府院君) 윤형(尹泂)이 귀하게 됨으로 인해 영의정(領議政) 송릉부원군(松陵府院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청(彦淸)@장언청 - 장언청(張彦淸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유도원(柳道源)이 주석한 《퇴계선생문집고증(退溪先生文集攷證)》에 이름이 보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언청(彦淸) - 오결(吳潔)@조선전기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536년(중종 31) 이조 참판(吏曹參判)으로 명 나라 사신의 영위사(迎慰使)가 되어 의주(義州)에 다녀왔으며,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등을 역임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충(彦冲)@이언충 - 이언충(李彦冲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충숙왕 때 하정사(賀正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다녀오고, 지춘추관사(知春秋館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충렬왕(忠烈王)에서 충혜왕(忠惠王)까지 네 왕을 섬기면서 총애를 받음.
1273~1338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충(彦冲) - 유자휘(劉子翬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스승으로, 저서에는 《병산집(屛山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언충(彦忠) - 홍언충(洪彦忠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. 홍귀달(洪貴達)의 셋째 아들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냄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.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473~150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침(彦忱) - 권순(權恂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의정 권철(權轍)의 아들. 파주(坡州)ㆍ여주(驪州)의 목사牧使) 등을 제수받았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체직되었고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에 이룸.
1536~160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침(彦忱)@이언침 - 이언침(李彦忱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을사사화 직전에 민제인(閔齊仁) 등이 주관한 중학재(中學齋) 모임에서 윤원형(尹元衡) 일파의 회유와 협박에 굴하지 않았으며, 정미년(丁未年)에 서천(舒川)에 유배되어 죽음.
1507~1547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언침(彦忱)@박언침 - 박언침(朴彦忱)
통일신라 제54대 경명왕(景明王)의 첫째 왕자. 밀양박씨(密陽朴氏)의 중조(中祖)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왕실>왕자
-
언침(彦沈) - 최전(崔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해주(海州). 최여우(崔汝雨)의 아들이며 이이(李珥)의 문인. 신동(神童)으로 불리며 시문(詩文)ㆍ그림ㆍ글씨에 뛰어나고 음악에도 천부적 재질을 발휘하였으나, 젊은 나이에 요절함.
1568~15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
-
언침(彦琛)@김언침 - 김언침(金彦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임진왜란 의병장 김천일(金千鎰)의 아버지로, 1534년(중종 2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