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언침(彦琛) - 유언침(柳彦琛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유공권(柳公權)의 아들로, 동지추밀원사(同知樞密院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택(彦擇) - 박감(朴敢)
조선 전기의 유학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모재집(慕齋集》에 권은(權殷)ㆍ박수춘(朴壽椿)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(字)에 대한 〈자설(字說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언통(彦通) - 신형(申泂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신숙주(申叔舟)의 아들이자 신광한(申光漢)의 아버지로, 장령(掌令)ㆍ내자시 정(內資寺正)을 역임함.
1449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평(彦平)@황형 - 황형(黃衡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경기 감사(京畿監司) 황기(黃琦)의 아버지로,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1459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언평(彦平)@정지산 - 정지산(鄭之産)
조선 세종(世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ㆍ은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목사(牧使)를 지낸 정효안(鄭孝安)의 아들로, 호조 정랑(戶曹正郞)을 지냄.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낙향하여 공주(公州)의 동혈(銅岤)에 은거하면서 충과 효를 몸소 실천함.
1423~146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언평(彦平)@김언평 - 김언평(金彦平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청해군(靑海君) 이우(李堣)와 함께 정희량(鄭希良)의 문집인 《허암유집(虛庵遺集)》을 간행함.
?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평(彦平) - 윤원형(尹元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중종 계비(繼妃)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동생. 소윤(小尹)의 영수로 을사사화(乙巳士禍)와 정미사화(丁未士禍)를 일으켜 대윤(大尹) 등 반대파를 숙청하고 공신에 책록됨. 영의정 등을 지냄.
?~156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언필(彦弼)@홍언필 - 홍언필(洪彦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형(洪泂)의 아들이며, 홍섬(洪暹)의 아버지로,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가담하여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되었고, 인종(仁宗)의 묘정에 배향됨.
1476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언필(彦弼)@김언필 - 김언필(金彦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1522년(중종 17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주세붕(周世鵬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언필(彦弼) - 이보(李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(景明君) 이침(李忱)의 손자이며 안남군(安南君) 이수련(李壽鍊)의 장남.
1537~159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언행록(言行錄)@퇴계언행록 - 퇴계언행록(退溪言行錄)
조선 숙종(肅宗) 때 권두경(權斗經)이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. 6권 3책. 1707년(숙종 33)에 8권 4책의 《퇴도선생언행통록(退陶先生言行通錄)》으로 편찬되고, 1732년(영조 8)에 《퇴계언행록(退溪言行錄)》으로 재편되어 간행됨.
170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언행록(言行錄)@송천언행록 - 송천언행록(松川言行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인 송천(松川) 양응정(梁應鼎)의 언행을 기록한 책. 문인 옥봉(玉峯) 백광훈(白光勳)이 기록했으나 전하지 않으며, 손자 양만용(梁曼容)이 그 대략을 채록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언행차록(言行箚錄) - 퇴계언행록(退溪言行錄)
조선 숙종(肅宗) 때 권두경(權斗經)이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. 6권 3책. 1707년(숙종 33)에 8권 4책의 《퇴도선생언행통록(退陶先生言行通錄)》으로 편찬되고, 1732년(영조 8)에 《퇴계언행록(退溪言行錄)》으로 재편되어 간행됨.
170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언형(彦亨) - 조언형(曺彦亨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조영(曺永)의 아들이며,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아버지.
1469~152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형(彦泂) - 최준(崔濬)@최여우의아들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최전(崔澱)의 아우이며 이이(李珥)의 문인으로, 찰방(察訪)을 지내고, 《창해우언(滄海寓言)》을 저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호(彦浩) - 이언호(李彦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유청(李惟淸)의 아들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글씨에 능하여 전서(篆書)와 팔분체(八分體)를 잘 썼음.
1477~151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호(彦湖) - 강린(姜潾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부사맹(副司猛) 강이행(姜利行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글씨에 능하여 중종의 총애를 받았던 강징(姜澂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언홍(彦弘) - 김언홍(金彦弘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정언(正言)을 지낸 김익(金釴)의 아버지로, 경력(經歷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화(彦華) - 이장영(李長榮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평(咸平). 성균관 유생 시절에 관노(館奴)와 소란을 피운 군졸을 구타하였다가 의금부에 하옥됨. 후에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 등을 지냄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확(彦確) - 우상(禹鏛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으로, 수군절도사(水軍節度使) 우인손(禹仁孫)의 아들. 춘추관 편수관(春秋館編修官)으로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07~156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