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언회(彦晦)@권춘란 - 권춘란(權春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권석충(權錫忠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. 사간(司諫) 등을 지냈으나, 모친상(母親喪)을 당하자 관직을 그만두고 산수(山水)를 벗삼아 유유자적함.
1539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회(彦晦) - 경혼(慶渾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보우(普雨)를 중용하는 데 반대함.
1498~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후(彦厚) - 김충남(金忠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ㆍ문인. 본관은 광산(光山)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를 좇아 문학에 명성이 있었으며 향교를 중수하여 유학를 부흥시킴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ㅣ인명>문사>문인
-
언휘(彦暉) - 방언휘(方彦暉)
고려 후기의 문신. 충목왕(忠穆王)의 장인이며 방순(方恂)의 아버지로, 직제학(直提學)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언휴(彦休) - 이조정(李竈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구례 현감(求禮縣監)을 지낸 이인(李寅)의 아들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ㆍ증산 현령(甑山縣令) 등을 지냄.
1488~15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언희(彦喜) - 김경언(金慶言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김상(金湘)의 아들로, 1548년(명종 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군수(郡守)를 지냄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엄(儼)@윤엄 - 윤엄(尹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지함(尹之諴)의 아들로, 호조 좌랑(戶曹佐郞) 등을 지냄. 서화(書畵)에 능하고 필법(筆法)에 조예가 깊었으며, 감식안이 높아 고금 서화의 판별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음.
1536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엄(儼)@고려 - 이엄(李儼)@고려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. 충혜왕의 폐신(嬖臣)으로, 지밀직사사(知密直司事) 등을 지내고, 조적(曺頔)의 난 때 충혜왕을 호종한 공으로 일등공신(一等功臣)에 책록됨.
?~134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엄(儼) - 신엄(申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신승준(申承濬)의 아들로,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를 거쳐 청요직(淸要職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엄(儼)@조선 - 이엄(李儼)@조선
조선 중중(中宗) 때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으로, 문장에 능함. 박상(朴祥)과 김정(金淨)의 처벌을 반대하고, 당파(黨派)에 붙어 정치에 관여하였다는 이유로 삭탈관직되었으나 다시 서용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엄(崦) - 서엄(徐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,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 등을 역임함.
1529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엄(揜) - 성엄(成揜)
조선 정종(定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성석인(成石因)의 아들로, 동지중추원사(同知中樞院事) 등을 역임함.
?~14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엄(淹)@정엄 - 정엄(鄭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정만종(鄭萬鍾)의 아들. 1558년(명종 1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여산 군수(礪山郡守)ㆍ남원 부사(南原府使) 등을 지냈으며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530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의릉(義陵) - 의제(義帝)
중국 초(楚) 나라 황제. 초 회왕(懷王) 웅괴(熊槐)의 손자. 항우(項羽)에 의해 황제로 세워졌으나, 항우의 밀명(密命)을 받은 영포(英布)에게 침강(郴江)에서 살해됨.
?~B.C.205 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의릉후(宜陵侯) - 식부궁(息夫躬)
중국 전한(前漢) 애제(哀帝) 때의 문신. 제후 유운(劉雲)을 무고(誣告)하여 자살하게 만들고, 애제에게 거짓 진언을 하다가 왕가(王嘉)에 의해 저지 당함. 광록대부(光祿大夫)를 지냄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의묘(懿廟) - 덕종(德宗)@조선
조선 세조(世祖)의 아들. 1455년(세종 27) 도원군(桃源君)에 봉해지고 1455년(세조 1)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. 1471년(성종 2) 덕종으로 추존(追尊)됨.
1438~145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의묘(毅廟) - 의종(毅宗)@고려
고려 제18대 왕. 재위 1146~1170. 인종(仁宗)의 맏아들로,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(鄭仲夫)ㆍ이의방(李義方) 등에게 폐위당함. 김보당(金甫當)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(李義旼)에게 살해됨.
1127~117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의무(宜茂) - 이의무(李宜茂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《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》편찬에 참여하고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홍주 목사(洪州牧使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청빈하다는 평을 들음.
1449~150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의무(醫巫) - 의무려산(醫巫閭山)
중국 요령성(遼寧省)에 있는 산 이름. 순(舜) 임금이 십이산(十二山)을 봉할 때에 유주(幽州)의 진산(鎭山)으로 삼았고, 산세(山勢)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(六山)이라고도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의무려(醫巫閭) - 의무려산(醫巫閭山)
중국 요령성(遼寧省)에 있는 산 이름. 순(舜) 임금이 십이산(十二山)을 봉할 때에 유주(幽州)의 진산(鎭山)으로 삼았고, 산세(山勢)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(六山)이라고도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