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의성군(宜城君)@남재 - 남재(南在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문인(門人). 동생 남은(南誾)과 함께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.
1351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성군(義城君) - 김석(金錫)@통일신라
신라 제56대 경순왕(敬順王)의 다섯째 아들. 의성군(義城君)에 봉해져 의성김씨(義城金氏)의 시조가 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의성 , 인명>왕실>왕자
-
의성군(義城君)@김용비 - 김용비(金龍庇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금오위 별장(金吾衛別將)을 지낸 김공우(金公祐)의 아들로, 태자 첨사(太子詹事)를 지냈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성군(義城君)@김영렬 - 김영렬(金英烈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
?~14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의성군(誼城君) - 이채(李寀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맏아들로, 내자시 직장(內資寺直長) 이차궁(李次弓)의 딸과 혼인함. 학문을 좋아하여 경사(經史)에 통달함.
1411~149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왕실>종친
-
의성부정(義城副正) - 이강(李鋼)@이수계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들인 회산군(檜山君) 이염(李恬)의 손자이며 계산군(桂山君) 이수계(李壽誡)의 둘째 아들. 또한 경력(經歷)을 지낸 한여필(韓汝弼)의 사위이며, 한백겸(韓百謙)의 고모부. 휴암(休菴) 백인걸(白仁傑)의 문하에서 수학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의성왕대비(懿聖王大妃) - 인순왕후(仁順王后)
조선 제13대 명종(明宗)의 정비(正妃).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, 명종이 죽고 선조(宣祖)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
1532~157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의성왕후(懿成王后) - 의성왕후(義成王后)
신라 제53대 신덕왕(神德王)의 비. 성은 김(金). 헌강왕(憲康王)의 딸이며, 경명왕(景明王)ㆍ경애왕(景哀王)의 어머니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왕비
-
의성왕후(懿聖王后) - 인순왕후(仁順王后)
조선 제13대 명종(明宗)의 정비(正妃).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, 명종이 죽고 선조(宣祖)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
1532~157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의성위(宜城尉)@남치원 - 남치원(南致元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종(成宗)의 넷째 딸 경순옹주(慶順翁主)를 맞아들여 의성위(宜城尉)에 봉해졌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인척
-
의성위(宜城尉) - 남섭원(南爕元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종 때 우부승지를 지낸 남흔(南忻)의 아들로, 숙의김씨(淑儀金氏) 소생인 휘정옹주(徽靜翁主)와 혼인함. 경순옹주(慶順翁主)의 남편인 남치원(南致元)의 사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왕실>인척
-
의성전(懿聖殿) - 인순왕후(仁順王后)
조선 제13대 명종(明宗)의 정비(正妃).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, 명종이 죽고 선조(宣祖)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
1532~157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의소(宜素) - 나의소(羅宜素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1624년(인조 2)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(禮曹正郞) 등을 지냄.
1587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속헌(醫俗軒) - 박민헌(朴民獻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, 형조 참판(刑曹參判)ㆍ상호군(上護軍) 등을 지냄.
151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손(義孫)@홍의손 - 홍의손(洪義孫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1317년(충숙왕 4)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, 원(元) 나라에서 감찰어사(監察御史)ㆍ좌사도사(左司都事) 등을 역임하였고, 외직으로 강서성 원외랑(江西省員外郞)으로 나가 임소에서 죽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손(義孫) - 이의손(李義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정종(正宗)의 증손으로, 연강수(連江守)에 봉해짐. 안처겸(安處謙)의 무고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의손(義孫)@정의손 - 정의손(鄭義孫)
조선 전기의 유학(幼學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의수(宜壽) - 이의수(李宜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조(世祖)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(德源君) 이서(李曙)의 손자이며, 숭선군(嵩善君) 이총(李𤄓)의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의수(猗叟) - 정난무(鄭蘭茂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음보(蔭補)로 관계(官界)에 진출하여 밀양 부사(密陽府使)를 지냄. 수헌(睡軒) 권오복(權五福)의 고모부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숙(宜叔) - 권의숙(權宜叔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의 종형(從兄)으로 그가 죽자 권호문이 애도하는 시를 남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