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의지(宜之)@송호의 - 송호의(宋好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지평(持平)ㆍ장령(掌令)을 역임하였으며, 이극돈(李克墩)의 추탈(追奪)을 주장하는 등 성품이 강직하였음.
?~151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지(宜之)@한공의 - 한공의(韓公義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상당부원군(上黨府院君) 한악(韓渥)의 아들. 충혜왕의 신임을 받았으며, 공민왕 때 밀직부사(密直副使)로 정조사(正朝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다녀옴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의지(義之)@김의지 - 김의지(金義之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수원(水原). 용성김씨(龍城金氏)의 시조 김시보(金時輔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의지(義之)@이관의 - 이관의(李寬義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廣州). 학행으로 천거되어 율봉도 찰방(栗峯道察訪)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함.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기상ㆍ역학 등의 일반과학 분야에 전심하여 각기 일가를 이룸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의지(義之)@이무방 - 이무방(李茂芳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양(光陽).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(贊化功臣) 등에 책록됨. 조선 개국 후 조준(趙浚)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(檢校門下侍中)을 지냄.
1319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의지(義之) - 심의(沈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풍산군(豊山君) 심응(沈膺)의 아들이고, 좌의정을 지낸 심정(沈貞)의 동생. 서경덕(徐敬德)ㆍ성세창(成世昌) 등과 깊이 교유함.
147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지(義持) - 의상(義湘)
신라 진평왕(眞平王)~성덕왕(聖德王) 때의 승려. 우리나라 화엄종(華嚴宗)의 개조(開祖). 중국 승려 지엄(智儼)의 제자이며,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. 대표작으로 〈화엄일승법계도(華嚴一乘法界圖)〉가 있음.
625~702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의지(義智) - 종의지(宗義智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문신. 대마도주(對馬島主)로서 임진왜란 때 풍신수길(豐臣秀吉)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옴. 가신(家臣) 유천조신(柳川調信)의 보필로 풍신수길의 심복이 됨.
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문신
-
의지(艤之) - 이의(李艤)
조선 성종(成宗)~명종(明宗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정종(定宗)의 4세손으로, 백성수(栢城守) 이원(李源)의 아들. 1502년(연산군 8) 종친시예(宗親試藝)에 장원하는 등 학문에 뛰어나고 후진 양성에 힘씀.
1469~155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의지(誼之) - 한치의(韓致義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한확(韓確)의 아들로 성종의 외숙.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, 병조 판서(兵曹判書) 등을 지냄.
1440~147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의직(宜直) - 곽희온(郭希溫)
조선 전기의 유학. 성혼(成渾)과 교유하였으며 《우계집(牛溪集)》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의천(宜川) - 덕원(德源)
함경도 문천(文川)ㆍ원산(元山)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조선 태조(太祖)의 4대 선조인 목조(穆祖)ㆍ익조(翼祖)ㆍ도조(度祖)ㆍ환조(桓祖)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(都護府)로 승격시켜 부사(府使)를 두고 다스림.
함경도>덕원 , 지명>행정지명
-
의천군(義泉君) - 이승은(李承恩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의천군(義泉君)@이인 - 이인(李仁)@1524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세 번째 서자인 완원군(完原君) 이수(李𢢝)의 손자이며, 이성군(伊城君) 이수강(李壽剛)의 아들.
1524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의천부원군(宜川府院君) - 남유(南瑜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의령(宜寧)으로, 공조 참의(工曹參議) 남응룡(南應龍)의 아들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나주 목사(羅州牧使)로서 이순신(李舜臣)을 도와 노량해전(露梁海戰)에서 싸우다가 전사함.
?~159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당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의천부정(義泉副正) - 이인(李仁)@1524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세 번째 서자인 완원군(完原君) 이수(李𢢝)의 손자이며, 이성군(伊城君) 이수강(李壽剛)의 아들.
1524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의천위(宜川尉) - 남섭원(南爕元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종 때 우부승지를 지낸 남흔(南忻)의 아들로, 숙의김씨(淑儀金氏) 소생인 휘정옹주(徽靜翁主)와 혼인함. 경순옹주(慶順翁主)의 남편인 남치원(南致元)의 사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왕실>인척
-
의천정(義泉正) - 이승은(李承恩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의춘(宜春)@의령 - 의령(宜寧)
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동쪽으로는 함안(咸安), 서쪽으로는 삼가(三嘉)에 접해 있음.
경상도>의령 , 지명>행정지명
-
의춘(宜春) - 양산(梁山)
경상도 남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
경상도>양산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