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경(而敬) - 이정우(李庭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신평(新平). 상의원 정(尙衣院正) 이세건(李世健)의 아들.
154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경(而經) - 박권(朴權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정언(正言) 등을 지냈으나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길성(吉城)으로 정배(定配)되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해남(海南)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(離經) - 이소(離騷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굴원(屈原)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(敍事詩)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이경로(李景魯) - 이희삼(李希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경주(慶州). 학자 이몽규(李夢奎)의 아들로, 송강(松江) 정철(鄭澈) 등과 교유함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령ㅣ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이경연(李景淵) - 이길(李洁)@이중호의아들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담양 부사(潭陽府使) 이중호(李仲虎)의 아들로, 응교(應敎) 등을 지냄. 기축옥사(己丑獄事)에 연루되어 형 이급(李汲)ㆍ이발(李潑)과 함께 장살(杖殺)당함.
1547~158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은(李景誾) - 이제민(李齊閔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영신군(永新君) 이이(李怡)의 손자로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(崇政大夫)에 오름.
1528~160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은(李耕隱) - 이맹전(李孟專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으로, 계유정난(癸酉靖難)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(善山)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.
1392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자(李敬子) - 이번(李燔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희가 죽은 후 백록서원(白鹿書院)의 당장(堂長)을 맡아 학문을 성대히 일으켰으며, 황간(黃榦)과 더불어 ‘황이(黃李)’로 일컬어짐.
1163~123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질(李景質) - 이희검(李希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호조(戶曹)ㆍ형조(刑曹)ㆍ병조(兵曹)의 판서(判書)를 지내고, 지경연사(知經筵事)를 지냄.
1516~157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함(李景涵) - 이발(李潑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중호(李仲虎)의 아들. 동인(東人)의 거두로서 정철(鄭澈)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(北人)의 수령이 되었으며,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장살(杖殺)당함.
1544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호(李景浩) - 이황(李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주리론적(主理論的)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을 주장한 영남학파(嶺南學派)의 종장(宗匠).
1501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경호(李景浩)@이이현 - 이이현(李以顯)
조선 전기의 문인. 노수신(盧守愼)과 교유하였으며, 그의 부탁으로 이연경(李延慶)에 대하여 지은 시의 내용이 《소재집(穌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이계(伊溪)@김우홍 - 김우홍(金宇弘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삼척 부사(三陟府使) 김희삼(金希參)의 아들로, 나주 목사(羅州牧使)ㆍ광주 목사(光州牧使) 등을 지냄.
1522~159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계(伊溪) - 신공제(申公濟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좌참찬(左參贊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내고, 초서(草書)와 예서(隸書)를 잘 씀.
1469~153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계(伊溪)@이계 - 이계(李溪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인. 권근(權近)과 교유하였으며,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이계(履癸) - 걸(桀)
중국 하(夏) 나라의 마지막 왕. 은(殷) 왕조 최후의 왕인 주(紂)와 함께 포악한 임금의 상징으로 거론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이계선(李繼善) - 이효술(李孝述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. 주희(朱熹)의 제자 이번(李燔)의 조카로, 주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편지로 수학했다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이계소(李季紹) - 이종윤(李悰胤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창평 현령(昌平縣令) 이수(李洙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계은(李溪隱) - 이정립(李廷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 기축옥사(己丑獄死)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(平難功臣)이 되었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ㆍ대사성(大司成) 등을 역임함.
1556~159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계장(李季章) - 이벽(李壁)@송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문장(文章)이 뛰어나고 전장(典章)과 제도(制度)에 정통하였으며, 권신 한탁주(韓侂冑)를 추종하여 참지정사(參知政事) 등을 지냄.
1159~122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