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보경(李輔卿) - 이빙(李憑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송재(松齋) 이우(李堣)의 손자로, 직장(直長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복고(李復古) - 이언적(李彦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주(驪州). 중종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,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.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(李滉)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491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복해(李福海) - 이염(李恬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수안(遂安). 이수산(李壽山)의 아들로, 고려 때 지밀직사사(知密直司事)를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이 되었으나,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(鄭道傳) 일파로 몰려 충군(充軍)됨.
?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수안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봉(李芃) - 이미(李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의무(李宜茂)의 아들이며, 이행(李荇)의 아우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84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봉수(李峯叟) - 이민각(李民覺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약빙(李若氷)의 손자로, 임진왜란 때,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, 호조 참의(戶曹參議) 등을 지냄.
1535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봉원(李逢原) - 이안도(李安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이황(李滉)의 장손(長孫)으로,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(名儒)들과 교유하였으며, 음서(蔭敍)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(司醞署直長) 등을 지냄.
154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이부(李琈) - 원종(元宗)@조선
조선 후기의 추존왕. 선조(宣祖)의 다섯째 아들이며, 인조(仁祖)의 아버지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고,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 대원군(大院君)에 추존되었다가 논란 끝에 왕으로 추존됨.
1580~161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국왕
-
이부자(李夫子) - 이황(李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주리론적(主理論的)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을 주장한 영남학파(嶺南學派)의 종장(宗匠).
1501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분(李芬) - 이혼(李混)
고려 원종(元宗)~충선왕(忠宣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충선왕이 원(元)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(大詞伯)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(壁上三韓功臣)에 녹훈됨. 뒤에 예안백(禮安伯)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.
1252~131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전의ㅣ경상도>예안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비언(李棐彦) - 이국필(李國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물암(勿巖) 김륭(金隆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비원(李庇遠) - 이국량(李國樑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준(李賢俊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이자 조카사위로, 1546년(명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17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사겸(李士謙) - 이선강(李善綱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보(眞寶). 1561년(명종 1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권호문(權好文)과 교유하였으며,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그를 위해 지은 만사(挽詞)가 있음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사군(李使君) - 이수완(李秀莞)
조선 전기의 문신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사균(李思勻) - 이사균(李思鈞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폐비(廢妃) 윤씨(尹氏)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(報恩)으로 유배되고, 기묘사화(己卯士禍) 후 조광조(趙光祖)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471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사문(李士文) - 이중호(李仲虎)@이공인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 이공인(李公仁)의 아들이며, 동암(東巖) 이발(李潑)의 아버지로, 담양 부사(潭陽府使) 등을 지냄.
1512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사우(李士祐) - 이상길(李尙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1602년(선조 35) 정인홍(鄭仁弘)ㆍ최영경(崔永慶) 등을 정여립(鄭汝立)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(인조15)에 자결함. 이항복(李恒福) 등과 교유함.
1556~163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사원(李嗣源) - 명종(明宗)@오대십국(후당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후당(後唐)의 제2대 왕. 재위 926~933. 장종(莊宗)이 살해되자 낙양(洛陽)에서 즉위함. 내치(內治)에 주력하고, 망명해 온 거란 왕자 동단왕배(東丹王倍)를 보호함.
867~933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이사원(李士元) - 이종도(李宗道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보(眞寶)로, 이황(李滉)의 종손(從孫)이며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장 김해(金垓)의 휘하(麾下)에서 의병부장(義兵副將)으로 활약함.
1535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사원(李士源) - 이집(李㙫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통례(通禮)를 지냈으며, 윤근수(尹根壽)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(挽詞)가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사윤(李思胤)@이득윤 - 이득윤(李得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. 본관은 경주(慶州). 괴산 군수(槐山郡守) 등을 지내고, 김장생(金長生) 등과 서신으로 역학과 음악을 토론함. 거문고 악보인 《현금동문유기(玄琴東文類記)》를 지음.
1553~163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