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읍(利邑) - 이천(利川)
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. 논농사로 유명함.
경기도>이천 , 지명>행정지명
-
이응봉(李應鳳) - 이응복(李應福)
조선 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증손이며, 양성군(陽城君) 이륜(李倫)의 아들로, 신흠(申欽)의 누이와 혼인함.
1560~161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응요(李應堯)@이옹 - 이옹(李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승사랑(承仕郞) 이극인(李克仁)의 아들로, 1569년(선조 2) 알성시(謁聖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(司饔院正) 등을 지냄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응요(李應堯) - 이증(李增)@이지숙의아들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.
1525~160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응인(李應仁) - 이영춘(李榮春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5대손이며, 서부 주부(西部主簿) 이길(李洁)의 아들로, 음성 현감(陰城縣監) 등을 지냄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의(而毅) - 임사홍(任士洪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아들 보성군(寶城君)의 사위로, 두 아들이 각각 예종(睿宗)과 성종(成宗)의 부마가 되면서 권세를 누림. 무오사화(戊午士禍)와 갑자사화(甲子士禍)를 주도하여 많은 중신(重臣)과 선비를 죽임.
?~150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의(而誼) - 박이의(朴而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원(珍原). 의병장인 박광전(朴光前)의 아버지로, 1534년(중종 2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의보(李儀甫) - 이기옥(李璣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의(全義). 김우옹(金宇顒)ㆍ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공릉 참봉(恭陵參奉) 등을 지내고, 장현광(張顯光)ㆍ김부륜(金富倫)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.
1566~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의중(李宜仲) - 이의건(李義健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인. 1564년(명종 19)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고 이항복(李恒福)의 추천으로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이 되었으나,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명현(名賢)들과 교유함. 저서로 《동은집(峒隱集)》이 있고, 광주(廣州) 수곡서원(秀谷書院)ㆍ영평(永平) 옥병서원(玉屛書院)에 배향됨.
1533~162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이이경(李而敬) - 이정우(李庭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신평(新平). 상의원 정(尙衣院正) 이세건(李世健)의 아들.
154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이덕(李二德) - 이달(李達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시인. 본관은 신평(新平). 최경창(崔慶昌)ㆍ백광훈(白光勳)과 어울리며 시사(詩社)를 결성하여 ‘삼당시인(三唐詩人)’으로 일컬어짐. 제자 허균(許筠)이 그의 전기(傳記)인 〈손곡산인전(蓀谷山人傳)〉을 지음.
1539~161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이이모(伊夷模) - 산상왕(山上王)
고구려 제10대 왕. 재위 197~227. 신대왕(新大王)의 아들이자 고국천왕(故國川王)의 동생으로, 고국천왕의 비(妃) 우씨(于氏)에 의해 왕위에 오름. 한(漢) 나라 하요(夏瑤)의 투항을 받아들이고, 환도성(丸都城)으로 수도를 옮김.
?~227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국왕
-
이이성(李而盛) - 이지번(李之蕃)@이산해의아버지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산해(李山海)의 아버지이며, 이지함(李之菡)의 형. 명종(明宗)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(丹陽)의 구담(龜潭)에 은거함.
?~157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이소재(李履素齋) - 이중호(李仲虎)@이정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고안정(高安正) 이정(李精)의 아들이며, 서경덕(徐敬德)ㆍ유우(柳藕)의 문인. 과거(科擧)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(道學)에 전심하였으며, 문장(文章)에 뛰어나고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음.
1512~155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이이안(李易安) - 이청조(李淸照)
중국 송(宋) 나라의 여류 문인. 이격비(李格非)의 딸로, 시문(詩文)에 뛰어나 명성을 떨쳤으며, 저서에 《수옥집(漱玉集)》이 있음.
1084~1151?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이이중(李彛仲) - 이승상(李承常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장양부정(長陽副正) 이주(李儔)의 아들이자 이조 참판(吏曹參判) 이식(李拭)의 아버지로, 1528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 죽산 현감(竹山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익재(李益齋) - 이제현(李齊賢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 문신. 검교정승(檢校政丞) 이진(李瑱)의 아들로, 문하시중(門下侍中) 등을 지냄. 충선왕(忠宣王)을 수행하여 원(元)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.
1287~1367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익지(李益之) - 이성익(李星益)
조선 현종(顯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통덕랑(通德郞) 이효민(李孝閔)의 아들. 1663년(현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, 권상하(權尙夏)와 두터운 정의(情誼)를 나눔.
1639~1672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태인ㅣ경기도>광주ㅣ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인(以仁) - 송제민(宋齊民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홍주(洪州). 교서관 정자(校書館正字) 송정황(宋庭篁)의 아들이고 토정(土亭) 이지함(李之菡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고, 저서로 《와신기사(臥薪記事)》ㆍ《해광집(海狂集)》이 있음.
1549~160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
-
이인(里人) - 우홍(牛弘)
중국 수(隋) 나라의 문신.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,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《소학(小學)》에 전함.
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