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학명신록(理學名臣錄) - 황명이학명신언행록(皇明理學名臣言行錄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인 양렴(楊廉)이 설선(薛瑄) 등 명 나라 유학자 15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. 2권.
1523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이학통록(理學通錄) - 송계원명이학통록(宋季元明理學通錄)
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(李滉)이 여러 서책에서 남송(南宋) 이래 명대(明代)에 이르는 성리학자(性理學者)들의 언행(言行)과 사적(事跡)을 뽑아 정리한 책.
1559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이한(以漢) - 최이한(崔以漢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최응룡(崔應龍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이한음(李漢陰) - 이덕형(李德馨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영창대군(永昌大君)의 처형과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, 남인(南人)과 북인(北人)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. 이항복(李恒福)과 절친한 사이였으며, 포천 용연서원(龍淵書院)에 배향됨.
1561~161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할(李劼) - 이면(李勉)@조선후기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이해수(李海壽)의 종자(從子)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이항(李恒)@목종 - 목종(穆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2대 황제. 재위 821~824. 헌종(憲宗)의 셋째 아들. 재임 중에 연회와 외유를 일삼아 우이당쟁(牛李黨爭)이 일어나고, 번진(藩鎭)의 반란과 토번(吐藩)과의 무리한 대결로 인해 국고가 탕진되자 결국 자살함.
795~82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이항지(李恒之) - 이항(李恒)@이자영의아들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박영(朴英)의 문인으로, 반궁성의(反躬誠意)ㆍ주경궁리(主敬窮理)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. 1566년(명종 21)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(義盈庫令) 등을 지냄.
1499~157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해동(李海東) - 이광(李㼅)
조선 후기의 종친. 제25대 철종(哲宗)의 아버지로, 부모ㆍ형ㆍ형수 등의 죄에 연좌되어 강화부(江華府) 교동(喬桐)으로 쫓겨나 빈농으로 삶. 1849년 셋째 아들 덕완군(德完君) 이원범(李元範)이 철종에 등극하자 전계대원군(全溪大院君)에 추봉됨.
?~1844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교동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행(利行) - 강이행(姜利行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안복(姜安福)의 아들이며, 강징(姜澂)ㆍ강린(姜潾)의 아버지로, 충무위 부사맹(忠武衛副司猛)을 지냄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이행리(李行里) - 익조(翼祖)@조선
조선 태조(太祖) 이성계(李成桂)의 증조부. 1394년(태조 3)에 익왕(翼王)으로 추존되고, 태종(太宗) 때 익조(翼祖)로 추존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덕원ㅣ함경도>경흥 , 인명>왕실>국왕
-
이향(李享) - 이돈(李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참봉(參奉) 이원회(李元晦)의 아들이며 이공(李珙)의 문인으로,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지냄.
1568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향(李珦) - 문종(文宗)@조선
조선 제5대 왕. 재위 1450~1452.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(世宗)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,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.
1414~14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이헌(怡軒) - 성여완(成汝完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첨서밀직(簽書密直)ㆍ정당문학(政堂文學) 등을 지내고, 고려가 망하자 포천(抱川)에 은거함.
1309~139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헌(而軒) - 구치관(具致寬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봉해지고, 사후(死後)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추록됨. 영의정(領議政)등을 지냄.
1406~147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헌(頤軒)@서기 - 서기(徐起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이천(利川). 제자백가(諸子百家)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, 이지함(李之菡)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. 이소재(履素齋) 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.
1523~159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ㅣ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이헌(頤軒)@허침 - 허침(許琛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세자시강원(世子侍講院)에 재직할 때 덕행과 학문으로 세자이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고, 성종(成宗) 때 윤비(尹妃)의 폐위를 반대하여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화를 면했으며, 좌의정 등을 역임함.
1444~150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헌(頤軒) - 박석명(朴錫命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정종(定宗)이 태종에게 선위(禪位)할 때 그 교서(敎書)를 전하였으며, 태종에게 황희(黃喜)를 천거함.
1370~140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헌(李憲) - 영왕(寧王)
중국 당(唐) 나라 제6대 현종(玄宗)의 형. 처음에 황태자(皇太子)가 되었다가 뒤에 영(寧) 땅의 왕(王)으로 봉해짐. 아들은 ‘주중팔선인(酒中八仙人)’ 중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이진(李璡).
?~74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이헌장(李憲長) - 이자화(李自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호조 판서(戶曹判書) 이자견(李自堅)과 좌참찬(左參贊) 이자건(李自健)의 아우로, 대사헌(大司憲)을 지냄.
?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현(以顯) - 이이현(李以顯)
조선 전기의 문인. 노수신(盧守愼)과 교유하였으며, 그의 부탁으로 이연경(李延慶)에 대하여 지은 시의 내용이 《소재집(穌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