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우곤(于髡) - 순우곤(淳于髡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변사(辯士). 학문이 깊고 넓어 섭렵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, 초(楚) 나라가 제 나라를 치려 할 때 조왕(趙王)을 설복(說服)해 정병(精兵) 십만을 얻어서 위기를 모면함.
B.C.386~B.C.31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우공(友恭) - 반우공(潘友恭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반우단(潘友端)의 아우이며,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강회선무사사간관(江淮宣撫使司干官)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우굉(宇宏) - 김우굉(金宇宏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대사성(大司成)ㆍ부제학(副提學) 등을 지냄.
1524~159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우교(于喬) - 사천(謝遷)
중국 명(明) 효종(孝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병부 상서(兵部尙書) 겸 동각태학사(東閣太學士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도량 있는 정치를 펴서 어진 재상이라 칭송되었음.
1449~153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우구암(禹懼庵) - 우복룡(禹伏龍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민순(閔純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용궁 현감(龍宮縣監)으로서 고을을 사수한 뒤 안동 부사(安東府使)로 승진하였으며, 홍주 목사(洪州牧使) 시절에 선정을 베풀어 선조의 신임을 얻음.
1547~161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국재(友菊齋) - 홍경손(洪敬孫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남양(南陽). 사재감 직장(司宰監直長) 홍지(洪智)의 아들이며, 고려 왕족인 왕규(王珪)의 외손. 세조(世祖) 때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되고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使) 등을 지냄.
1409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우국재선생문집(友菊齋先生文集) - 우국재집(友菊齋集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경손(洪敬孫)의 시문집. 4권 1책. 목활자본. 1729년(영조 5) 12세손 홍병모(洪秉模)에 의해 편집ㆍ간행됨.
172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우군(右軍) - 왕희지(王羲之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서예가ㆍ문신.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(王導)의 조카로, 중국 고금(古今)의 첫째가는 서성(書聖)으로 존경받고 있음.
307~36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우근(友謹) - 김우근(金友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선공감 첨정(繕工監僉正)ㆍ제주 목사(濟州牧使) 등을 지내고, 정수강(丁壽崗)ㆍ박상(朴祥)과 교유하여 《월헌집(月軒集)》ㆍ《눌재집(訥齋集)》에 차운시ㆍ별시(別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우금성(禹金城) - 우금산성(禹金山城)
삼국시대 전라북도 부안(扶安)에 축조한 산성. 복신(福信) 등의 백제부흥군이 나당연합군(羅唐聯合軍)의 김유신(金庾信)ㆍ소정방(蘇定方)에 맞서 싸우다가 패배한 곳으로, 백제 최후의 항거 거점이 됨.
한국>백제 , 전라도>부안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우기(于器) - 안우기(安于器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문성공(文成公) 안향(安珦)의 아들. 충렬왕 때 국학좨주(國學祭酒)로 최응(崔凝)과 함께 과거를 주관하였고, 우부승지(右部承旨)ㆍ밀직부사(密直副使) 등을 역임하였음.
1265~132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우기장(牛奇章) - 우승유(牛僧孺)
중국 당(唐) 나라 목종(穆宗) 때의 문신. 고공원외랑(考功員外郞) 등을 지내고, 목종의 신임을 받아 재상이 됨. 이종민(李宗閔)과 붕당(朋黨)을 만들어 이덕유(李德裕) 일파와 정쟁을 벌임.
779~84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우내(芌嬭) - 토란(土卵)
천남성과(天南星科)의 다년초(多年草).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,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. 전통 민화(民畵)나 문양(紋樣)에서 무병장수(無病長壽)를 상징하며, 중국의 민산(岷山)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.
자연물>식물
-
우단(友端) - 반우단(潘友端)
중국 송(宋) 나라 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효종(孝宗) 때 진사시(進士試)에 합격하고 태학박사(太學博士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우달(佑達) - 최우달(崔佑達)
통일신라 말~고려 초의 문신.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운 최응(崔凝)의 아버지. 개성최씨(開城崔氏)의 시조로, 신라의 대상(大相)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우당(憂堂) - 박융(朴融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박익(朴翊)의 아들이며, 전적(典籍) 박진(朴震)과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박건(朴乾)의 아버지로, 전한(典翰) 등을 지냄. 아우 박소(朴昭)ㆍ박조(朴調)ㆍ박총(朴聰) 등과 함께 사우당(四友堂)으로 불림.
?~142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우당(雨塘) - 마문룡(馬文龍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사제사신(賜祭使臣)으로 조선에 왔을 때 송인(宋寅)과 시문을 주고받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우덕(友德)@부우덕 - 부우덕(傅友德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. 원(元) 나라 말에 주원장(朱元璋)에게 투항한 후 많은 전공(戰功)을 세워 영국공(潁國公)에 봉해짐.
?~1394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우덕(友德) - 강우덕(姜友德)
조선 정종(定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강회백(姜淮伯)의 아들.
1385~143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우도(友道) - 이손(李遜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이사도(李師道)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, 절동도단련관찰사(浙東都團練觀察使)가 됨. 형부 상서(刑部尙書) 등을 지냄.
760~82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