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운계은사(雲溪隱士) - 김일손(金馹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스승인 김종직(金宗直)이 쓴 조의제문(弔義帝文)을 실록(實錄)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(勳舊派)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사형당함.
1464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운계취후(雲溪醉侯) - 충방(种放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 때의 문신ㆍ은사. 종남산(終南山)에서 은거하다가 공부 시랑(工部侍郞) 등을 지냄. 진단(陳摶)에게 선천역학(先天易學)의 사상과 하도낙서(河圖洛書)의 비결을 전수받아 목수(穆修)ㆍ이개(李溉)ㆍ허견(許堅) 등에게 전했다 함.
955~101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운곡(耘谷) - 원천석(元天錫)
고려 말~조선 초의 은사(隱士)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두문동(杜門洞) 72현의 한 사람. 태종(太宗)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,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.
1330~?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운곡(雲谷)@송한필 - 송한필(宋翰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형 송익필(宋翼弼)ㆍ송부필(宋富弼)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(性理學)에 정통하여 이이(李珥)ㆍ박인로(朴仁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학자
-
운곡(雲谷)@박수 - 박수(朴受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휴암(休菴)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이며,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과 교유하였음. 역학(易學)에 정통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학자
-
운곡(雲谷)@박승제 - 박승제(朴承制)
고려 후기의 문인. 김구용(金九容)의 《척약재학음집(惕若齋學吟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운곡(雲谷)@조호 - 조호(曺浩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조수문(曺秀文)의 아들로, 1489년(성종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함양 군수(咸陽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운곡(雲谷)@정보 - 정보(鄭保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손자로, 사육신(死六臣)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연일(延日)로 유배된 뒤 단성(丹城)으로 이배(移配)되어 죽임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운곡(雲谷)@박찬 - 박찬(朴璨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(朴慶新)ㆍ박경인(朴慶因)과 함께 창의(倡義)하여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운곡(雲谷) - 백운동(白雲洞)
경상북도 영주(榮州)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중종(中宗) 때 풍기 군수(豊基郡守) 주세붕(周世鵬)이 흰 구름이 골짜기에 서려 있다고 하여 백운동(白雲洞)이라 이름 지음.
경상도>풍기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지명>자연지명
-
운곡(雲谷)@주희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운곡(雲谷)@회암초당 - 회암초당(晦庵草堂)
중국 송(宋) 나라 때 건양(建陽) 서쪽 운곡(雲谷)에 건립된 초당(草堂). 1170년에 주희(朱熹)가 세우고 강학(講學)하던 곳으로, 현재 복건성(福建省)의 노봉(盧峯)에 속함.
1170 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사제
-
운곡거사(雲谷居士) - 송한필(宋翰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형 송익필(宋翼弼)ㆍ송부필(宋富弼)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(性理學)에 정통하여 이이(李珥)ㆍ박인로(朴仁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학자
-
운곡노인(雲谷老人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운곡산인(雲谷山人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운곡서원(耘谷書院) - 칠봉서원(七峯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강원도 원주(原州)에 건립한 서원(書院). 원천석(元天錫)ㆍ원호(元昊)ㆍ정종영(鄭宗榮)ㆍ한백겸(韓百謙)을 배향함.
1624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운곡선생문집(耘谷先生文集) - 운곡행록(耘谷行錄)
고려 말~조선 초의 은사(隱士)인 원천석(元天錫)의 시문집. 5권 3책. 활자본. 1858년(철종 9) 16대손 원은(元櫽)이 간행함. 행록(行錄)과 사적(事蹟)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박동량(朴東亮)과 정장(鄭莊)ㆍ정범조(丁範祖)의 서문과 원은의 발문이 실려 있음.
185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운곡시사(耘谷詩史) - 운곡행록(耘谷行錄)
고려 말~조선 초의 은사(隱士)인 원천석(元天錫)의 시문집. 5권 3책. 활자본. 1858년(철종 9) 16대손 원은(元櫽)이 간행함. 행록(行錄)과 사적(事蹟)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박동량(朴東亮)과 정장(鄭莊)ㆍ정범조(丁範祖)의 서문과 원은의 발문이 실려 있음.
185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운곡주(雲谷主) - 이황(李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주리론적(主理論的)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을 주장한 영남학파(嶺南學派)의 종장(宗匠).
1501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운곡집(耘谷集) - 운곡행록(耘谷行錄)
고려 말~조선 초의 은사(隱士)인 원천석(元天錫)의 시문집. 5권 3책. 활자본. 1858년(철종 9) 16대손 원은(元櫽)이 간행함. 행록(行錄)과 사적(事蹟)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박동량(朴東亮)과 정장(鄭莊)ㆍ정범조(丁範祖)의 서문과 원은의 발문이 실려 있음.
185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