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운곡초당(雲谷草堂) - 회암초당(晦庵草堂)
중국 송(宋) 나라 때 건양(建陽) 서쪽 운곡(雲谷)에 건립된 초당(草堂). 1170년에 주희(朱熹)가 세우고 강학(講學)하던 곳으로, 현재 복건성(福建省)의 노봉(盧峯)에 속함.
1170 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사제
-
운관(云瓘) - 정운관(鄭云瓘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영일(迎日). 정몽주(鄭夢周)의 아버지. 수문하시중(守門下侍中) 일성부원군(日城府院君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운관(芸館) - 교서관(校書館)
조선시대 삼관(三館)의 하나로, 태조(太祖) 때 설치되어 경적(經籍)의 인쇄ㆍ반포와 향축(香祝)ㆍ인전(印篆)을 담당하던 관청.
1392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관청
-
운구(雲毬) - 모란(牡丹)
작약과(芍藥科)에 속하는 낙엽관목(落葉灌木).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, 부귀(富貴)를 상징함. 설총(薛聰)의 〈화왕계(花王戒)〉로 유명함.
자연물>식물
-
운기(韻記) - 제왕운기(帝王韻紀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 이승휴(李承休)가 쓴 역사 서사시(敍事詩). 역대사(歷代史)의 교훈을 시로 적은 것으로, 단군(檀君)을 민족의 공동 시조(始祖)로 삼았음.
1287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운납(雲衲) - 경운(景雲)
조선 전기의 승려. 김정(金淨)과 함께 산수를 유람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운달(云達) - 이운달(李云達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덕산(德山). 중종(中宗) 때 호조 참의(戶曹參議)를 지낸 이번(李蕃)의 아버지로, 오위도총부 경력(五衛都摠府經歷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덕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운대(雲臺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운동(雲洞) - 백운동(白雲洞)
경상북도 영주(榮州)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중종(中宗) 때 풍기 군수(豊基郡守) 주세붕(周世鵬)이 흰 구름이 골짜기에 서려 있다고 하여 백운동(白雲洞)이라 이름 지음.
경상도>풍기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지명>자연지명
-
운로(云老) - 이운로(李云老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고성(固城). 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인 이귀생(李貴生)의 아들이며, 조선 세조(世祖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된 이교연(李皎然)의 조부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운로(耘老) - 원천석(元天錫)
고려 말~조선 초의 은사(隱士)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두문동(杜門洞) 72현의 한 사람. 태종(太宗)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,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.
1330~?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운로(雲路) - 남구만(南九萬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령(宜寧). 숙종 때 정치운영의 중심에 있으면서 소론(少論)의 영수로 지목됨. 문집으로 《약천집(藥泉集)》있음.
1629~171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ㅣ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운로(雲輅) - 차운로(車雲輅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차식(車軾)의 아들. 1583년(선조 16) 알성시(謁聖試) 문과(文科)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의 현감(全義縣監)ㆍ봉상시 판관(奉常寺判官) 등을 지냄. 시(詩)에 능하여 아버지 차식과 형 차천로(차天輅)와 함께 삼소(三蘇)에 비견됨.
1559~?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운록(雲麓) - 유원강(留元剛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국사원 편수관(國史院編修官)ㆍ실록원 검토관(實錄院檢討官) 등을 지냈으며, 저서로 《운록집(雲麓集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운록자(雲麓子) - 유원강(留元剛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국사원 편수관(國史院編修官)ㆍ실록원 검토관(實錄院檢討官) 등을 지냈으며, 저서로 《운록집(雲麓集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운룡(雲龍)@유운룡 - 유운룡(柳雲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성룡(柳成龍)의 형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풍기 군수(豊基郡守)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, 효성이 지극함.
1539~160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운룡(雲龍)@장국침 - 장국침(張國琛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인. 천하를 거의 두루 유람하여 풍속이 다르고 같은 것을 모두 채집하여 기문을 만듦. 고려 수도 개경(開京)에 와서 수개월 동안 머무를 때 최해(崔瀣)와 교분을 나눔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운룡(雲龍)@정희등 - 정희등(鄭希登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종부시 첨정(宗簿寺僉正) 정구(鄭球)의 아들이며, 승지 정원(鄭源)의 조카.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(金安老)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(司僕寺僉正) 등의 한직(閑職)에 있었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반대하다 유배 됨.
1506~154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운룡(雲龍) - 양천룡(梁天龍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 양우(梁祐)의 아들. 공양왕 때 문하시중(門下侍中)에 올랐으나,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남원에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운루(雲樓) - 김원행(金元行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재(李縡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때 종조(從祖) 김창집(金昌集)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.
1702~177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