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운부(雲夫)@홍간 - 홍간(洪侃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풍산(豐山). 지제고(知製誥) 등을 지냈으나 언사(言事)로 인해 동래 현령(東萊縣令)으로 좌천됨. 시문에 능하고 시체(詩體)가 청려하여 이제현(李齊賢)ㆍ허균(許筠)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.
?~130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운부(雲夫) - 김덕룡(金德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관직은 봉상시 주부(奉常寺主簿) 등을 거쳐 대사헌(大司憲)에 이르렀음
151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운부(韻府) - 운부군옥(韻府群玉)
중국 송(宋) 말~원(元) 초의 학자인 음유우(陰幼遇)가 짓고 동생 음유달(陰幼達)이 주석한 사전. 운(韻)을 구분하여 배열하고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까지 소개함. 2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사(雲祠) - 소수서원(紹修書院)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순흥(順興)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. 1542년(중종 37) 주세붕(周世鵬)이 창건하고, 1550년(명종 5)에 사액됨. 안향(安珦)ㆍ안축(安軸)ㆍ주세붕(周世鵬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(榮州市)에 속함.
154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운사(雲舍) - 농운정사(隴雲精舍)
조선 명종(明宗) 때 경상도 예안(禮安)에 이황(李滉)이 건립한 정사(精舍). 1560년(명종 15)에 완공했는데, 시습재(時習齋)ㆍ지숙료(止宿寮)ㆍ관란헌(觀瀾軒)이라 각 건물에 이름을 붙이고 합하여 농운정사(隴雲精舍)라고 편액함.
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유적>건물>사제
-
운산(雲山)@운문산 - 운문산(雲門山)
경상도 청도(靑道)의 동쪽 96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. 기암괴석과 계곡이 절경을 이루며, 현재 경상남도 청도군 운문면(雲門面)과 경상북도 밀양시(密陽市) 산내면(山內面)의 경계에 속함.
경상도>청도 , 지명>자연지명
-
운산(雲山) - 이휘재(李彙載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경산 현령(慶山 縣令)으로 있으면서 문회재(文會齋)를 창건하여 문풍(文風)을 진작시키고, 병인양요(丙寅洋擾) 때 많은 공을 세움.
1795~187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산군(雲山君) - 이계(李誡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(密城君) 이침(李琛)의 둘째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가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운산문집(雲山文集) - 운산집(雲山集)
조선 고종(高宗) 때의 문신인 이휘재(李彙載)의 문집. 13권.
1923 한국>근대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문헌>서명
-
운산부군(雲山府君) - 이휘재(李彙載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경산 현령(慶山 縣令)으로 있으면서 문회재(文會齋)를 창건하여 문풍(文風)을 진작시키고, 병인양요(丙寅洋擾) 때 많은 공을 세움.
1795~187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상(雲祥) - 강운상(姜雲祥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효성이 지극해 정려(旌閭)를 받았으며, 아들 강첨(姜籤)과 손자 강학년(姜鶴年)이 귀하게 되어 인조(仁祖) 때 영의정에 추증됨.
1526~15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운상원(雲上院) - 칠불사(七佛寺)
금관가야(金官伽倻) 수로왕(首露王)의 일곱 왕자가 경상남도 하동(河東) 방면 지리산(智異山) 토끼봉에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. 쌍계사(雙磎寺)의 말사(末寺).
한국>가야 , 경상도>하동 , 유적>건물>사찰
-
운성(雲城) - 운두성(雲頭城)
함경도 회령(會寧) 서쪽 50리 지점에 있던 석성(石城). 둘레는 10여 리로, 산세가 험준하고 두만강(豆滿江)이 그 밑을 둘러싸면서 흘러 천연적인 요새를 이룸.
함경도>회령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운성(雲城)@운봉 - 운봉(雲峯)@지명
전라도 남원(南原)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지리산(智異山)의 서쪽에 위치하며, 호남(湖南)과 영남(嶺南)의 경계 지역을 이룸.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(南原市)에 속함.
전라도>운봉 , 지명>행정지명
-
운성군(雲城君) - 박종우(朴從愚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운봉(雲峰). 태종(太宗)의 딸인 정혜옹주(貞惠翁主)와 혼인하고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하여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됨.
?~146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운성군(雲城君)@이수철 - 이수철(李壽鐵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셋째 아들로, 계성군(桂城君) 이순(李恂)의 후사로 출계(出系)함.
1515~156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운성부원군(雲城府院君) - 박종우(朴從愚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운봉(雲峰). 태종(太宗)의 딸인 정혜옹주(貞惠翁主)와 혼인하고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하여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됨.
?~146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운손(雲孫) - 박운손(朴雲孫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어려서 최항(崔恒)과 같이 학문하였으며, 지평현(砥平縣)의 객사(客舍) 중건을 완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지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송(雲松) - 강희맹(姜希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지돈녕부사 강석덕(姜碩德)의 아들. 뛰어난 문장가로, 경사(經史)와 전고(典故)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. 저서에 《금양잡록(衿陽雜錄)》ㆍ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 등이 있음.
1424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운송거사(雲松居士) - 강희맹(姜希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지돈녕부사 강석덕(姜碩德)의 아들. 뛰어난 문장가로, 경사(經史)와 전고(典故)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. 저서에 《금양잡록(衿陽雜錄)》ㆍ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 등이 있음.
1424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