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운장선생(雲莊先生) - 진호(陳澔)
중국 원(元) 나라 때의 학자. 남강군(南康郡) 도창(都昌) 사람으로, 진대유(陳大猷)의 아들. 송(宋) 나라가 망한 뒤 은거하여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서 유생을 가르침.
1261~1341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운장예기집설(雲莊禮記集說) - 예기집설(禮記集說)
중국 원(元) 나라 때의 학자인 진호(陳澔)가 지은 《예기(禮記》의 주석서(註釋書). 체계적으로 편찬되어 명대(明代)에 과거(科擧)의 전용서(專用書)로 사용됨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장유씨(雲莊劉氏) - 유약(劉爚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ㆍ여조겸(呂祖謙)에게 학문을 전수 받고, 공부 상서(工部尙書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운재(芸齋)@설장수 - 설장수(偰長壽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정종(定宗) 때의 문신ㆍ귀화인. 원래 회골(回鶻)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(恭讓王) 옹립에 공을 세움. 정몽주(鄭夢周)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.
1341~139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운재(芸齋)@이언충 - 이언충(李彦冲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충숙왕 때 하정사(賀正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다녀오고, 지춘추관사(知春秋館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충렬왕(忠烈王)에서 충혜왕(忠惠王)까지 네 왕을 섬기면서 총애를 받음.
1273~1338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재(芸齋) - 서원빙(徐元聘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어릴 적 친구로, 그와 이동기이(理同氣異)에 관해 논변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운정(芸亭) - 김언건(金彦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동(永同). 온성 판관(穩城判官) 김각(金覺)의 아버지로, 감찰에 증직되고 연악서원(淵嶽書院)에 제향됨.
1511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운정(雲汀)@임몽정 - 임몽정(任蒙正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대사성(大司成) 등을 지냈으며, 어려서부터 시를 잘 써서 명성을 떨침.
1559~160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정(雲汀) - 정광필(鄭光弼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정난종(鄭蘭宗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영의정(領議政)으로 조광조(趙光祖)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로 좌천되었으며,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.
1462~153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정(雲程) - 정붕(鄭鵬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정철견(鄭鐵堅)의 아들이며, 박영(朴英)의 스승. 김굉필(金宏弼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, 성희안(成希顔)과 친교를 맺음. 청송 부사(靑松府使) 등을 지냄.
1467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제(雲堤) - 노형필(盧亨弼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노척(盧脊)의 아들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의병을 규합함. 학행(學行)으로 효릉 참봉(孝陵參奉)ㆍ사부(師傅)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, 운제(雲堤)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.
1605~164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제거사(雲堤居士) - 노형필(盧亨弼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노척(盧脊)의 아들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의병을 규합함. 학행(學行)으로 효릉 참봉(孝陵參奉)ㆍ사부(師傅)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, 운제(雲堤)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.
1605~164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종가(雲鍾街) - 종로(鍾路)
서울 광화문(光化門)에서 동대문(東大門) 사이의 거리 이름. 조선시대에 종루(鐘樓)가 세워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, 예로부터 교통의 요지이자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함. 원래는 광화문에서 종루 사이를 지칭하였음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운주(運州) - 홍성(洪城)
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의 홍주목(洪州牧)과 결성현(結城縣)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,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(周留城)이 있었고,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(鎭管) 중 하나가 설치됨.
충청도>홍주 , 지명>행정지명
-
운중(雲中)@운주 - 운주(雲州)
중국 산서성(山西省) 대동시(大同市)의 옛 이름. 서한(西漢)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(北魏) 때의 도읍지이며, 오대(五代) 때에는 연운십육주(燕雲十六州)에 포함되어 요(遼) 나라에 할양됨.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운지(澐之) - 최운(崔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화순(和順). 김정(金淨)과 함께 수학했으며,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횡간 현감(橫澗縣監)을 지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됨.
1500~152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지(耘之) - 조지운(趙之耘)
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풍양(豊壤)으로, 선비화가 조속(趙涑)의 아들. 현감(縣監)을 지내고, 선비의 기풍과 심의(心意)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〈숙조도(宿鳥圖)〉등의 작품을 남김.
1637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운지(運之) - 정광보(鄭光輔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효원(金孝元)의 《성암유고(省菴遺稿)》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운지(雲之) - 홍자번(洪子藩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홍예(洪裔)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(左僕射參知光政院事) 등을 지냈으며, 충렬왕ㆍ충선왕(忠宣王)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(情誼)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.
1237~130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운천(雲川) - 김용(金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며, 《선조실록(宣祖實錄)》 수찬(修撰)에 참여함.
1557~162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