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운천부령(雲川副令) - 이봉(李鋒)
조선 전기의 종친. 내섬시 정(內贍寺正)을 지낸 신거이(愼居易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운택(雲澤) - 운몽택(雲夢澤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동정호(洞庭湖) 북쪽에 있던 못 이름. 고대에는 초(楚) 나라 지역에 속하였으며, 원래는 운택(雲澤)과 몽택(夢澤) 두 개의 못이었으나 후대에 합칭(合稱)한 것이라 함. 큰 못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용어로 쓰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운평(雲坪) - 송능상(宋能相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송시열(宋時烈)의 현손이며, 한원진(韓元震)의 문인(門人)으로, 윤봉구(尹鳳九) 등 노론 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,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묘향산(妙香山)에 들어가 《대학(大學)》을 강론함.
1709~175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운평선생문집(雲坪先生文集) - 운평집(雲坪集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능상(宋能相)의 문집. 순조(純祖) 초에 제자이자 족질인 송환기(宋煥箕)에 의해 10권 4책의 목판으로 간행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운포주인(雲浦主人) - 황윤석(黃胤錫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해(平海). 김원행(金元行)의 문인으로, 종래의 이학(理學)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. 《이재유고(頤齋遺藁)》에 실린 운학(韻學)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.
1729~179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흥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운필(雲弼) - 허운필(許雲弼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영천 군수(榮川郡守)를 지낸 허충길(許忠吉)의 아들로,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운학(雲壑) - 오거(吳琚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서법가. 변량(汴梁) 사람으로 관직은 지강릉부(知江陵府)ㆍ판건강부(判建康府) 등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운한(雲翰) - 탁운한(卓雲翰)
조선 순조(純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탁계현(卓繼賢)의 맏아들로, 1827년(순조 27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함.
1790~? 한국>조선후기 , 평안도>곽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운해(雲海) - 어운해(魚雲海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함종(咸從)으로, 좌참찬(左參贊) 어계선(魚季瑄)의 아들. 1564년(명종 1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과천 현감(果川縣監)ㆍ평창 군수(平昌郡守) 등을 지냄.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친분이 깊음.
1536~158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운호(雲湖) - 임몽정(任蒙正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대사성(大司成) 등을 지냈으며, 어려서부터 시를 잘 써서 명성을 떨침.
1559~160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운홍(雲鴻) - 진운홍(陳雲鴻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과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조선의 원군으로서 참전하고, 일본의 장수 소서행장(小西行長)과 직접 만나 회담을 가짐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운회(韻會) - 고금운회(古今韻會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인 황공소(黃公紹)가 송(宋) 나라 진팽년(陳彭年) 등이 편찬한 《대송중수광운(大宋重修廣韻)》의 206운(韻)을 107운으로 줄여 만든 운서(韻書).
1202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운흘(云仡) - 조운흘(趙云仡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이인복(李仁復)의 문인으로,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공신이 되고, 조선 개국 후 강릉 부사(江陵府使)로 제수됨.
1332~140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운흥사(雲興寺)@백담사 - 백담사(百潭寺)
신라 진덕여왕(眞德女王) 때 자장(慈藏)이 강원도(江原道) 인제(麟蹄)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. 처음 이름은 한계사(寒溪寺)였으나, 소실(燒失)과 중건(重建)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. 1455년(세조 1)에 승려 재익(載益)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.
647 한국>신라 , 강원도>인제 , 유적>건물>사찰
-
울릉(蔚陵) - 울릉도(鬱陵島)
울진(蔚珍)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. 지증왕(智證王)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. 조선 숙종(肅宗) 때 안용복(安龍福)이 월경(越境)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(伯耆島主)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.
강원도>울진 , 지명>자연지명
-
울릉(鬱陵) - 울릉도(鬱陵島)
울진(蔚珍)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. 지증왕(智證王)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. 조선 숙종(肅宗) 때 안용복(安龍福)이 월경(越境)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(伯耆島主)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.
강원도>울진 , 지명>자연지명
-
울림(鬱林) - 육적(陸績)
중국 후한(後漢)~삼국시대 오(吳) 나라 때의 문신. 당(唐) 나라 육구몽(陸龜蒙)의 원조(遠祖). 《주역(周易)》을 주석한 9인의 연구가인 구가(九家)의 한 사람으로, 울림 태수(鬱林太守) 등을 지내고, 효성이 매우 지극하였음.
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울종(蔚宗)@범엽 - 범엽(范曄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송(宋) 나라의 학자ㆍ문신. 경사(經史)를 섭렵하고 글을 잘하여 문제(文帝) 초에 후한(後漢)의 사서(史書)를 정리하여 다시 새로운 《후한서(後漢書)》를 완성함. 상서 이부랑(尙書吏部郞)을 지냄.
398~44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울종(蔚宗) - 범염(范冉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 때의 문신. 당고지화(黨錮之禍)를 당해서도 권력에 아첨하지 않고 청렴함을 지킨 고사로 유명함.
112~18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울주(蔚州) - 울산(蔚山)
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.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,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(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)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.
경상도>울산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