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웅지(熊只) - 웅천(熊川)
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. 조선시대에 제포(薺浦)와 왜관(倭館)을 통하여 대일(對日)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.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(鎭海市)ㆍ창원시(昌原市) 등에 편입됨.
경상도>웅천 , 지명>행정지명
-
웅진(熊津) - 공주(公州)
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백제(百濟)의 도읍 중 하나.
충청도>공주 , 지명>행정지명
-
웅진(熊軫) - 소왕(昭王)@춘추전국(초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515~B.C.489. 평왕(平王)의 아들. 공자(孔子)에게 서사(書社)의 땅을 봉하려 하다가 영윤(令尹) 자서(子西)의 간을 듣고 그만둠.
?~B.C.48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웅진강(熊津江) - 금강(錦江)
전라북도 장수(長水)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(群山灣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.
전라도>장수 , 지명>자연지명
-
웅천(熊川)@공주 - 공주(公州)
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백제(百濟)의 도읍 중 하나.
충청도>공주 , 지명>행정지명
-
웅천도(熊川徒) - 홍문공도(弘文公徒)
고려 문종(文宗) 때 개경(開京)에 설립된 사숙(私塾). 사학 십이도(私學十二徒)의 하나. 예부 상서(禮部尙書) 정배걸(鄭倍傑)이 세웠으며, 그의 시호인 ‘홍문(弘文)’이 명칭이 됨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웅천사(熊天使) - 웅화(熊化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1609년(광해군 1)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제가 보낸 선조(宣祖)에 대한 제(祭)와 시호(諡號) 및 부의(賻儀)를 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웅천주(熊川州) - 공주(公州)
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백제(百濟)의 도읍 중 하나.
충청도>공주 , 지명>행정지명
-
웅치사(熊峙寺) - 운흥사(雲興寺)
통일신라 효공왕(孝恭王) 때 도선국사(道詵國師)가 전라도 나주(羅州)의 덕룡산(德龍山)에 창건한 사찰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나주 , 유적>건물>사찰
-
웅화(熊鉌) - 웅화(熊禾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무이산(武夷山)에 들어가 홍원서당(洪源書堂)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, 사서(四書)를 주소(註疏)함.
1135~119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웅횡(熊橫) - 경양왕(頃襄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제후(諸侯). 재위 B.C.298~B.C.263. 간신들을 중용하고 주색(酒色)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음.
?~B.C.263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원(㥳) - 민원(閔㥳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1498년(연산군 4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우부승지를 지냈음.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민사건(閔師騫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호(李浩) - 이잠(李潛)@조선후기
조선 후기의 종친. 영양군(永陽君) 이거(李岠)의 손자로, 능해군(綾海君) 구성(具宬)의 딸과 혼인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호(李淏) - 효종(孝宗)@조선
조선 제17대 왕. 재위 1649~1659. 병자호란(丙子胡亂) 직후 소현세자(昭顯世子)와 함께 청(淸)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. 즉위 후 송시열(宋時烈)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, 대동법(大同法) 시행과 상평통보(常平通寶)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.
1619~165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이호(李祜) - 효령대군(孝寧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. 원경왕후(元敬王后) 민씨(閔氏)의 소생으로,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,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, 많은 불사(佛事)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.
1396~148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이호(梨湖) - 김안국(金安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 사림파(士林派)의 학통을 계승하고,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.
1478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호(而灝) - 이혼(李渾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를 지낸 이석형(李石亨)의 아들로,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ㆍ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지냄.
1445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호(梨湖) - 김만균(金萬均)
조선 효종(孝宗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장생(金長生)의 증손자로, 김익희(金益熙)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(江原監司) 김진옥(金鎭玉)의 아버지. 교리(校理)ㆍ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
1631~167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호랑은(梨湖浪隱) - 김안국(金安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 사림파(士林派)의 학통을 계승하고,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.
1478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홍(以洪) - 박이홍(朴以洪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하생으로, 현량과(賢良科)에 추천되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