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익(益)@서익 - 서익(徐益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(李珥)ㆍ정철(鄭澈)로부터 지우(志友)로 인정받았으며, 의주 목사(義州牧使)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.
1542~15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익(翊) - 한익(韓翊)
조선 전기의 외척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서릉부원군(西陵府院君) 한치례(韓致禮)의 아들이며 소혜왕후(昭惠王后)의 조카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왕실>인척
-
익(翊)@박익 - 박익(朴翊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고려 때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등을 지내고 왜구(倭寇)와 여진(女眞)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, 조선 개국 후 두문동(杜門洞)에 들어갔다가 밀양(密陽)의 송계(松溪)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.
1332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익(翊)@이익 - 이익(李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강계부 판관(江界府判官)을 지낸 이계의(李繼義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 , 인명>문사>유학
-
익(翼)@문익 - 문익(文翼)
고려 문종(文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인종 때 재상을 지낸 문공유(文公裕)ㆍ문공인(文公仁)의 아버지이며, 명종 때의 명재상 문극겸(文克謙)의 조부. 요(遼) 나라에 가서 원자(元子)의 책명(冊命)을 받아왔고, 배불(排佛)를 주장했음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익(翼)@강익 - 강익(姜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조식(曺植)의 문인. 1566년(명종 21)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(疏頭)로 정여창(鄭汝昌)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(灆溪書院)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,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(昭格署參奉)을 지냄.
1523~15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
-
익(翼) - 김익(金翼)
조선 전기의 문신. 양촌(陽村) 권근(權近)과 교유했으며, 양촌이 김익을 희롱한 〈흑옹행(黑翁行)〉이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익(翼)@남익 - 남익(南翼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검교태자첨사(檢校太子詹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영해 , 인명>관인>문신
-
익(翼)@조익 - 조익(趙翼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으로 좌의정(左議政)을 역임함. 성리학(性理學)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(音律)ㆍ병법(兵法)ㆍ복서(卜筮)에도 능했음.
1579~165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익(釴) - 김익(金釴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 기묘사림(己卯士林)의 일원으로,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유배됨.
1486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익견(益堅) - 김익견(金益堅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진주 목사(晉州牧使)를 지낸 김홍(金泓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익겸(益兼) - 김익겸(金益兼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서포(西浦) 김만중(金萬重)의 아버지로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 병자호란 때 강화(江華)에서 항전하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김상용(金尙容)ㆍ권순장(權順長)과 함께 자결함. 광원부원군(光源府院君)에 추봉됨.
1614~163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익겸(益謙)@원익겸 - 원익겸(元益謙)
고려시대의 문신.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시중(侍中)을 지냄. 원주원씨(原州元氏)의 중시조가 됨.
한국>고려시대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익겸(益謙) - 고익겸(高益謙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개성(開城). 봉화 훈도(奉化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익경(益卿) - 고양겸(顧養謙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수. 우첨도어사(右僉都御史)를 거쳐 병부 시랑(兵部侍郞)에 이르렀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일본과 화친을 해야겠다는 내용의 자문(咨文)을 보내왔음.
1537~160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익경(翼卿) - 김석량(金錫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1516년(중종 1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 않음. 묘지명(墓誌銘)이 조식(曺植)의 《남명집(南冥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익경(翼景) - 정탁(鄭擢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조선을 개국할 때 이성계(李成桂)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로로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(右議政)을 지냈음. 태종의 묘정(廟庭)에 배향(配享)됨.
1363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익공(益恭) - 오경(吳儆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형 오부(吳俯)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'강동이오(江東二吳)'로 불렸으며, 안무도감(安撫都監) 등을 지냄.
1125~118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익기(益基) - 김익기(金益基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의성(義城). 병조 정랑(兵曹正郞)을 지낸 김세호(金世鎬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익남(翼男) - 조익남(趙翼男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인조(仁祖) 때 대제학(大提學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낸 조경(趙絅)의 아버지로, 사섬시 참봉(司贍寺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