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익녕부원군(益寧府院君) - 홍온(洪昷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만전당(晩全堂) 홍가신(洪可臣)의 아버지로, 직장(直長)ㆍ장원서 장원(掌苑署掌苑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익당(益堂) - 공민왕(恭愍王)
고려 제31대 왕. 재위 1351~1374. 반원정책(反元政策)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.
1330~137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익대(翊戴) - 김전(金佺)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문하시중을 지낸 김취려(金就礪)의 아들로,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를 역임함.
?~127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익대(翼戴) - 김전(金佺)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문하시중을 지낸 김취려(金就礪)의 아들로,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를 역임함.
?~127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익대공신(翼戴功臣) - 익대공신(翊戴功臣)
조선 예종(睿宗) 즉위년에 남이(南怡)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유자광(柳子光)ㆍ신숙주(申叔舟) 등 총 36명에게 내림.
1468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익대좌명공신(翊戴佐命功臣) - 좌명공신(佐命功臣)
조선 태종(太宗) 1년에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평정하고 태종의 즉위에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네 등급으로 나누어 이저(李佇)ㆍ이거이(李居易) 등 총 47명에게 내림. 후에 태종의 왕권강화책에 따라 일부가 제거됨.
1401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익덕(益德) - 장비(張飛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무장. 유비(劉備)ㆍ관우(關羽)와 의형제를 맺어 촉 나라를 세우는 데 많은 공을 세우고, 거기장군(車騎將軍)ㆍ사례교위(司隷校尉) 등을 지냄. 오(吳) 나라 정벌을 준비하던 중 부하에게 피살됨.
?~221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익덕(翼德) - 장비(張飛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무장. 유비(劉備)ㆍ관우(關羽)와 의형제를 맺어 촉 나라를 세우는 데 많은 공을 세우고, 거기장군(車騎將軍)ㆍ사례교위(司隷校尉) 등을 지냄. 오(吳) 나라 정벌을 준비하던 중 부하에게 피살됨.
?~221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익도후(益都侯) - 번수(樊須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공자에게 인(仁)과 농사 등에 관해 가르침을 받음.
B.C.505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익돈(益敦) - 김익돈(金益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김광범(金光範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유학
-
익렬(翊烈) - 이익렬(李翊烈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영조(英祖) 때 참판(參判)을 지낸 이기경(李基敬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익로(益老) - 이달(李達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시인. 본관은 신평(新平). 최경창(崔慶昌)ㆍ백광훈(白光勳)과 어울리며 시사(詩社)를 결성하여 ‘삼당시인(三唐詩人)’으로 일컬어짐. 제자 허균(許筠)이 그의 전기(傳記)인 〈손곡산인전(蓀谷山人傳)〉을 지음.
1539~161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익로(益老)@이제현 - 이제현(李齊賢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 문신. 검교정승(檢校政丞) 이진(李瑱)의 아들로, 문하시중(門下侍中) 등을 지냄. 충선왕(忠宣王)을 수행하여 원(元)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.
1287~1367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익명(益明) - 문익명(文益明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평(南平). 생원(生員) 문옹(文翁)의 아들이며, 옥동(玉洞) 문익성(文益成)의 형.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1558년(명종 13) 생진 양시(生進兩試)에 입격함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익모(翼謨) - 한익모(韓翼謨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사도세자(思悼世子)의 신원(伸寃) 과정에서 삭직되고 유배되었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703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익번(益蕃) - 이익번(李益蕃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중종(中宗) 때 호조 정랑(戶曹正郞)을 지낸 이장(李璋)의 아버지로, 충좌위 부호군(忠佐衛副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익보(翼甫) - 김덕붕(金德鵬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수성금화사 제검(修城禁火司提檢)을 지낸 김해(金瀣)의 아들. 청도 군수(淸道郡守)를 지냈으며,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권문해(權文海)가 지은 만시(輓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익복(益福) - 김익복(金益福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찰방(察訪)을 지낸 김광(金光)의 아들이며, 노진(盧禛)의 문인. 군수(郡守) 등을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고 군중에서 전사함.
1551~15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익부(益夫)@변익부 - 변익부(邊益夫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해수(李海壽)의 《약포유고(藥圃遺稿)》에 그에 대한 만사(輓詞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익부(益夫) - 정윤겸(鄭允謙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 군기시 첨정(軍器寺僉正)에 발탁됨. 전라도 수군절도사(全羅道水軍節度使)로 명(明) 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함.
1463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