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익헌(翼憲)@안윤덕 - 안윤덕(安潤德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안동 판관(安東判官) 안팽로(安彭老)의 아들. 삼포왜란(三浦倭亂) 때 부원수(副元帥)가 되어 지휘하고, 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 시절 단군(檀君)과 기자(箕子)의 사당을 수축(修築)함.
1457~153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익헌(翼憲)@정태화 - 정태화(鄭太和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효종(孝宗)의 부마인 정재륜(鄭載崙)의 생부. 뛰어난 문재(文才)와 바른 처신으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고, 영의정(領議政) 재임시 예송(禮訟) 논쟁, 대동법(大同法) 시행 등의 국무를 처결함.
1602~167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익헌(翼憲) - 이경휘(李慶徽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이시발(李時發)의 아들. 춘추관 기사관(春秋館記事官)으로서 《인조실록(仁祖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617~166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익헌(翼獻)@홍재룡 - 홍재룡(洪在龍)
조선 헌종(憲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동부승지(同副承旨)ㆍ대사성(大司成)ㆍ광주 유수(廣州留守) 등을 지냈으며, 1844년(헌종 10) 딸이 헌종의 계비(繼妃) 명헌왕후(明憲王后)로 책봉되자, 익풍부원군(益豊府院君)에 봉해짐.
1794~186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익헌(翼獻) - 이상의(李尙毅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임진왜란 때 광해군(光海君)을 호위한 위성공신(衛聖功臣)으로 여흥부원군(驪興府院君)에 봉해짐.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(中樞府知事)로 좌천됨.
1560~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익현(益鉉) - 최익현(崔益鉉)
조선 철종(哲宗)~근대의 문신ㆍ학자. 이항로(李恒老)의 문인으로,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의 실정을 비판하여 실각시켰으며,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항일투쟁(抗日鬪爭)을 펼치며 의병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대마도(對馬島)에서 순절함.
1833~1906 한국>근대ㅣ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익형(益亨)@문익형 - 문익형(文益亨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평(南平). 생원(生員) 문옹(文翁)의 아들이며, 옥동(玉洞) 문익성(文益成)의 형.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1552년(명종 7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익형(益亨) - 김가회(金嘉會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경기도 용인(龍仁)의 유곡(柳谷)에 정자를 지은 뒤 주세붕에게 청하여 '우사정(寓思亭)'이라는 정자명을 받은 일이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실려 있음.
1514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유학
-
익혜(翼惠) - 정난종(鄭蘭宗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훈구 세력의 중진으로,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 초서(草書)와 예서(隸書)를 잘 쓰고, 특히 조맹부체(趙孟頫體)에 뛰어났음.
1433~14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익호장군(翼虎將軍) - 김덕령(金德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김붕섭(金鵬燮)의 아들이며, 성혼(成渾)의 문인(門人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권율(權慄)ㆍ곽재우(郭再祐) 장군과 협력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나, 이몽학(李夢鶴)의 난에 연루되어 옥사함.
1567~159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익화(益和) - 양근(楊根)
경기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는 경기도 양평군(楊平郡)에 속함.
경기도>양근 , 지명>행정지명
-
익황후(翼皇后) - 신정왕후(神貞王后)
조선 제24대 헌종(憲宗)의 어머니. 본관은 풍양(豊壤). 풍은부원군(豊恩府院君) 조만영(趙萬永)의 딸로, 1819년(순조 19)에 효명세자(孝明世子)의 빈(嬪)이 됨. 1834년 아들 헌종(憲宗)이 즉위하여 효명세자가 익종(翼宗)으로 추봉되자 왕대비가 됨. 능은 수릉(綏陵).
1808~189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익효(翼孝)@정재륜 - 정재륜(鄭載崙)
조선 제17대 효종(孝宗)의 부마. 본관은 동래(東萊). 영의정 정태화(鄭太和)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(鄭致和)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(淑靜公主)와 혼인함.
1648~172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인척ㅣ인명>문사>문인
-
익효(翼孝)@이인 - 이인(李韌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신돈(辛旽)의 문객으로 잠입하여 흉모를 자세히 기록하였다가 김속명(金續命)에게 알림으로써 신돈의 무리를 처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, 정당문학(政堂文學) 등을 역임함.
?~1381 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안변 , 인명>관인>문신
-
익효(翼孝) - 심강(沈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명종의 장인으로 청릉부원군(靑陵府院君)에 봉해지고, 오위도총부 도총관(五衛都摠府都摠管)을 지냄.
1514~15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익훈(益勳) - 김익훈(金益勳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사계(沙溪) 김장생(金長生)의 손자. 김석주(金錫胄)와 함께 경신환국(庚申換局)을 일으켜 남인(南人)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, 기사환국(己巳換局)으로 추국(推鞫)을 당하던 중 장살(杖殺)됨.
1619~168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익휘(益輝) - 김익휘(金益輝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의정부 우참찬(議政府右參贊)을 지낸 김개(金鎧)의 아들로, 음보로 사산감역(四山監役)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남.
1533~159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익흥(益興) - 원주(原州)
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후기에 관동(關東)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.
강원도>원주 , 지명>행정지명
-
익흥수(益興守) - 이몽무(李夢武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증손인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익희(益熙) - 김익희(金益熙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김장생(金長生)의 손자이며 김반(金槃)의 아들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척화(斥和)를 주장하며 인조를 호종함.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610~165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