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익희(益禧)@이익희 - 이익희(李益禧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명종(明宗) 때 참의(參議)를 지낸 이원손(李元孫)의 조부로, 부정(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익희(益禧) - 나익희(羅益禧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무신. 충선왕(忠宣王)이 신법을 제정할 때 반대하다가 면직되었으나 10년 뒤 상의평리(商議評理)에 올라 금성군(錦城君)에 봉해짐.
?~134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익희(益禧)@조익희 - 조익희(趙益禧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풍양(豊壤).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조세철(趙世哲)의 아버지로, 충청도 병마우후(忠淸道兵馬虞侯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인(仁) - 황보인(皇甫仁)
조선 태종(太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영의정을 지냄. 1453년(단종 1) 계유정난 때 김종서(金宗瑞)ㆍ정분(鄭奔)ㆍ이양(李穰)ㆍ조극관(趙克寬)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던 중 피살됨.
1387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인(仁)@정인 - 정인(鄭仁)
고려 후기의 유학. 정성량(鄭性良)의 아들. 원(元) 나라에서 휘정사(徽政使)에 오른 아들 정독만달(鄭禿滿達)로 인해 사후 한국공(韓國公)에 추봉됨.
1255~133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인(仁)@1524 - 이인(李仁)@1524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세 번째 서자인 완원군(完原君) 이수(李𢢝)의 손자이며, 이성군(伊城君) 이수강(李壽剛)의 아들.
1524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인(仁)@1465 - 이인(李仁)@1465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(寧海君) 이당(李瑭)의 아들로, 연산군(燕山君) 때 아들인 이기(李祺)의 사건에 연좌되어 남해(南海)에 유배됨.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나 복직되고 정국원종공신(靖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65~150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인(因) - 송인(宋因)
고려 후기의 문신. 한양부 판관(漢陽府判官)에 제수되었으며, 효성이 지극하였음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보성ㅣ경기도>과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인(寅)@이인 - 이인(李寅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중종(中宗) 때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낸 이조정(李竈禎)의 아버지로, 구례 현감(求禮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인(寅)@권인 - 권인(權寅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준신(權俊臣)ㆍ권호신(權虎臣) 형제의 아버지. 제용감 봉사(濟用監奉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인(寅) - 송인(宋寅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중종의 부마로, 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 등과 교유하고, 시문(詩文)과 해서(楷書)에 뛰어남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인(嶙) - 박린(朴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전리(田里)로 돌아가 은거함.
1490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인(潾)@강린 - 강린(姜潾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부사맹(副司猛) 강이행(姜利行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글씨에 능하여 중종의 총애를 받았던 강징(姜澂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인(潾) - 이린(李潾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두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인(璘) - 최린(崔璘)
고려 강종(康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금의(琴儀)의 문인. 평장사(平章事) 최당(崔讜)의 손자로, 대간(臺諫)ㆍ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등을 지냄.
?~125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인(璘)@손린 - 손린(孫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사직(司直) 손효근(孫孝謹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인(磷) - 이린(李磷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천휴당(天休堂) 이몽규(李夢奎)의 아버지로 흥녕부정(興寧副正)에 봉해짐.
?~154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인(禋) - 안인(安禋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안선무(安善武)의 아버지로, 충좌위 호군(忠佐衛護軍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무신
-
인(禋)@노인 - 노인(盧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풍천(豊川). 노진(盧禛)의 종제(從弟)이며, 민인백(閔仁伯)의 외조부.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 〈제노경이나암(題盧敬而懶庵)〉의 시(詩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인(絪)@송인 - 송인(宋絪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신평(新平). 면앙정(俛仰亭) 송순(宋純)의 동생. 고향인 담양(潭陽)에 제승정(濟勝亭)을 짓고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