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인걸(仁傑)@적인걸 - 적인걸(狄仁傑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. 측천무후(則天武后)가 이씨(李氏)를 제거하고 무씨(武氏)의 종묘(宗廟)를 세우자 중종(中宗)을 받들어 당실(唐室)을 회복함.
607~70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걸(仁傑)@백인걸 - 백인걸(白仁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수원(水原). 동지춘추관사(同知春秋館事) 등을 지내고,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.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.
1497~157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걸(仁傑) - 곽회영(郭懷英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곽열(郭說)의 아버지로, 봉사시 정(奉常寺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걸(仁傑)@기인걸 - 기인걸(奇仁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자오(奇子敖)의 손자로, 군부총랑(軍簿摠郞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견(仁堅) - 이인견(李仁堅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중종(中宗) 때의 원종공신(原從功臣) 이운(李耘)의 아버지로, 1453년(단종 1)에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한(典翰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겸(仁謙) - 심인겸(沈仁謙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청릉부원군(靑陵府院君) 심강(沈鋼)의 아들로, 한성부 판관(漢城府判官)ㆍ천안 군수(天安郡守) 등을 지냄.
1533~158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경(仁卿)@남치원 - 남치원(南致元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종(成宗)의 넷째 딸 경순옹주(慶順翁主)를 맞아들여 의성위(宜城尉)에 봉해졌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인척
-
인경(仁卿)@정인경 - 정인경(鄭仁卿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주(瑞州). 몽고어 통역관 출신으로 원(元) 나라에서 충렬왕을 시종하고, 요동(遼東) 일대의 고려 유민을 찾아내어 귀국시킴. 동녕부(東寧府)를 고려에 귀속시킬 때 공을 세우고, 중찬(中贊)을 지냄.
1237~1305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경(仁卿)@강인 - 강인(姜絪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우의정 강사상(姜士尙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 등을 지냄.
1555~163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인경(仁卿) - 김익수(金益壽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중종 때 진하사(進賀使)로 중국에 다녀왔으며, 충청도 관찰사, 형조ㆍ병조 참판 등을 역임함.
149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경(仁慶)@홍인경 - 홍인경(洪仁慶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덕윤(洪德潤)의 아들로, 1553년(명종 8) 친시(親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부제학(副提學) 등을 지냄.
152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경(仁慶) - 김인경(金仁慶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. 본관은 광산(光山).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(惠順翁主)와 결혼함. 동서지간인 여성군(礪城君) 송인(宋寅)과 주고 받은 시들이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실려 있음.
1514~158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왕실>인척
-
인경(仁鏡) - 김인경(金仁鏡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고종 때 거란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, 시부(詩賦)를 잘하여 ‘양경시부(良鏡詩賦)’라 칭송됨.
?~1235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경(仁鏡)@윤인경 - 윤인경(尹仁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중종 때 이조 판서로서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억울하게 죄를 입은 사람을 서용하였고, 인종(仁宗) 때 영의정이 되어 국정을 총괄하였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됨.
1476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인경(麟經) - 춘추(春秋)
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(孔子)가 쓴 최초의 편년체(編年體) 역사서. 오경(五經)의 하나로, B.C.722년부터 B.C.479년까지 노(魯) 나라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인경봉(引慶峯) - 목멱산(木覓山)
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. 동쪽의 낙산(駱山), 서쪽의 인왕산(仁王山), 북쪽의 백악산(白岳山)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, 풍수지리상으로 안산(案山) 겸 주작(朱雀)에 해당되며,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인경산(仁慶山) - 목멱산(木覓山)
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. 동쪽의 낙산(駱山), 서쪽의 인왕산(仁王山), 북쪽의 백악산(白岳山)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, 풍수지리상으로 안산(案山) 겸 주작(朱雀)에 해당되며,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인경산(引慶山) - 목멱산(木覓山)
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. 동쪽의 낙산(駱山), 서쪽의 인왕산(仁王山), 북쪽의 백악산(白岳山)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, 풍수지리상으로 안산(案山) 겸 주작(朱雀)에 해당되며,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인고(仁考) - 인종(仁宗)@조선
조선 제12대 왕. 재위 1544~1545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희생된 조광조(趙光祖)ㆍ김정(金淨)ㆍ기준(奇遵) 등을 신원(伸寃)하고 현량과(賢良科)를 부활시킴.
151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인국(仁國) - 백인국(白仁國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규합한 후 권전(權銓)과 합세하여 축산(丑山)에서 적을 격파함.
1530~161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