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인굴(麟窟) - 기린굴(麒麟窟)
평안도 평양(平壤) 대동강(大同江) 가의 부벽루(浮碧樓) 아래 있는 굴 이름. 고구려의 동명왕(東明王)이 이곳에서 기린을 타고 승천했다는 전설이 전해짐.
평안도>평양 , 지명>자연지명
-
인궤(仁軌) - 주인궤(朱仁軌)
중국 당(唐) 나라의 효자. 벼슬을 사양하고 부모를 봉양하고 살면서 자식들에게는 일생 동안 남에게 밭두둑을 양보해도 1묘(畝)의 밭도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고 훈계하였음. 주희(朱熹)의 〈무원다원주씨세보서(婺源茶院朱氏世譜序)〉에 의하면 금릉 주씨(金陵朱氏)의 시조라고 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인귀(仁貴)@설인귀 - 설인귀(薛仁貴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장군. 658년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가 횡산(橫山)에서 패했으며, 남생(男生)이 당 나라에 원병을 청하자 좌무위장군(左武衛將軍)으로 다시 고구려를 침략하여 고구려 멸망 후 검교안동도호(檢校安東都護)가 됨.
614~68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인귀(仁貴) - 유인귀(柳仁貴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사간(司諫)을 지낸 유문통(柳文通)의 아들. 봉상시 정(奉常寺正)ㆍ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냄.
1463~153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규(仁奎) - 조인규(趙仁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양(豊壤). 조세보(趙世輔)의 아들로, 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규(仁規) - 조인규(趙仁規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몽고어(蒙古語)를 잘해서 여러 차례 원(元)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를 지냄. 딸이 충선왕(忠宣王)의 비(妃)가 되고, 여러 아들이 재상의 지위에 올라 권문세족(權門勢族)으로 성장함.
1227~1308 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인균(仁鈞) - 민인균(閔仁鈞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흥(驪興). 문하 평장사(門下平章事) 민공규(閔公珪)의 아들로, 1242년(고종 29) 국자시(國子試)의 감시(監試), 1248년(고종 35) 태복경(大僕卿)으로 동지공거(同知貢擧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인기(仁基) - 구인기(具仁基)
조선 인조(仁祖)의 문신.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낸 구성(具宬)의 아들로, 배천 군수(白川郡守)ㆍ죽산 부사(竹山府使)를 지냈음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훈련원(訓練院) 장관(將官)들과 더불어 화친을 반대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기(仁墍) - 구인기(具仁墍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인조의 모후(母后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조카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 벼슬이 공조 판서(工曹判書)에 이르렀으며 사후(死後)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597~167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인기(仁奇) - 유인기(柳仁奇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지도첨의사사(知都僉議司事)를 지낸 유승(柳陞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기(仁起) - 박동언(朴東彦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반성부원군(潘城府院君) 박응순(朴應順)의 아들이고, 선조의 비(妃)인 의인왕후(懿仁王后)의 동생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강원도 소모사(江原道召募使)로 활약하였고, 봉산 군수(鳳山郡守) 등을 지냄.
1553~160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기(仁起)@최인기 - 최인기(崔仁起)
조선 전기의 유학. 1577년(선조 10) 정유성(鄭惟誠)ㆍ김안경(金安慶)ㆍ김안복(金安福)ㆍ김효원(金孝元) 등과 함께 강원도 두타산(頭陀山)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《성암유고(省菴遺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인기(麟起) - 이인기(李麟起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판태복사(判太僕事) 이원구(李元具)의 아버지로, 평양 부윤(平壤府尹)을 지냄.
1272~?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인길(仁吉)@목인길 - 목인길(睦仁吉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기철(奇轍) 일당을 제거하여 1등 공신에 책봉되고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을 물리쳐 공을 세웠으나, 모반을 꾀한다는 무고로 유배 가서 죽음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관인>무신
-
인길(仁吉) - 정종영(鄭宗榮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현감(縣監)을 지낸 정숙(鄭淑)의 아들로, 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, 청백리에 녹선됨.
1513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관인>문신
-
인년(引年) - 박인년(朴引年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집현전 교리(集賢殿校理) 등을 지냈으나, 단종복위운동(端宗復位運動)에 참가하였다가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인당(忍堂) - 박소(朴昭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(門人)으로, 안음 현감(安陰縣監)에 제수되어 청렴한 치적을 보임.
1347~142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인대(麟臺) - 기린각(麒麟閣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 장안(長安)의 미앙궁(未央宮) 안에 세웠던 전각(殿閣)의 이름. 선제(宣帝) 때 곽광(霍光)ㆍ소무(蘇武) 등 11인의 공신(功臣)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, 공신각(功臣閣)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유적>건물>궁궐
-
인덕공명태후(仁德恭明太后) - 노국대장공주(魯國大長公主)
고려 제31대 공민왕(恭愍王)의 정비(正妃). 원(元) 나라의 황족(皇族)인 위왕(魏王)의 딸.
?~1365 한국>고려후기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인도(印度) - 천축(天竺)
고대 중국에서 인도(印度)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. 《후한서(後漢書)》 〈서역전(西域傳)〉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,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.
고대 , 기타지역 , 시간>국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