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인명대비(仁明大妃) - 문정왕후(文定王后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계비(繼妃)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지임(尹之任)의 딸.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(明宗)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(禪敎) 양종(兩宗)을 부활시키고, 도첩제(度牒制)를 다시 실시함.
1501~156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인목대비(仁穆大妃) - 인목왕후(仁穆王后)
조선 제14대 선조(宣祖)의 계비(繼妃). 1602년(선조 35)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, 1617년(광해군 9)에 삭호(削號)당하고 서궁(西宮)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복호(復號)됨.
1584~163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인묘(仁廟)@인종(송) - 인종(仁宗)@송
중국 북송(北宋)의 제4대 황제. 재위 1022~1063. '경력(慶曆)의 치(治)'라는 북송의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말년에는 재정 곤란에 빠짐.
1010~106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인묘(仁廟) - 인조(仁祖)
조선 제16대 왕. 재위 1623~1649.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(親明排金政策)을 실시하고, 정묘호란(丁卯胡亂)ㆍ병자호란(丙子胡亂)을 겪음.
1595~164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인묘(仁廟)@인종(고려) - 인종(仁宗)@고려
고려 제17대 왕. 재위 1123~1146. 이자겸(李資謙)의 난과 묘청(妙淸)의 난을 겪었고, 김부식(金富軾) 등에게 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를 편찬하게 함.
1109~1146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인묘(仁廟)@인종(조선) - 인종(仁宗)@조선
조선 제12대 왕. 재위 1544~1545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희생된 조광조(趙光祖)ㆍ김정(金淨)ㆍ기준(奇遵) 등을 신원(伸寃)하고 현량과(賢良科)를 부활시킴.
151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인묘(仁廟)@인종(원) - 인종(仁宗)@원
중국 원(元) 나라의 제8대 황제. 재위 1311~1320.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,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.
1286~1320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인묘개옥(仁廟改玉) - 인조반정(仁祖反正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15년에 이귀(李貴) 등 서인(西人)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파(大北派)를 몰아내고 능양군(綾陽君)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.
1623 한국>조선후기 , 사건>기타사건
-
인문(仁問) - 김인문(金仁問)
신라 태종무열왕(太宗武烈王)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(文武王)의 동생. 당(唐) 나라에 파견되어 나당(羅唐) 연합군을 조직하고, 소정방(蘇定方)과 연합하여 백제(百濟)와 고구려(高句麗)를 멸망시킴.
629~694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왕자
-
인문(仁文) - 이인문(李仁文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이전(李㙉)의 아버지로, 철원 도호부사(鐵原都護府使)를 지냄.
1425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인문(印文) - 운암(雲庵)
조선 전기의 승려. 신광한(申光漢)의 《기재집(企齋集)》에 그와 관련한 시가 2수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인문공예(仁文恭睿) - 정종(定宗)@조선
조선 제2대 왕. 재위 1398~1400. 태조(太祖)와 정안왕후(定安王后)의 소생.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,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(靖安君)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.
1357~141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인물(人物) - 덕수(德水)
경기도 개풍(開豊)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덕수이씨(德水李氏)ㆍ덕수장씨(德水張氏)의 관향(貫鄕)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, 고려 문종(文宗) 때 12년에 걸쳐 지은 국립사찰인 흥왕사(興王寺) 터가 남아 있음.
경기도>풍덕 , 지명>행정지명
-
인물(仁勿) - 덕수(德水)
경기도 개풍(開豊)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덕수이씨(德水李氏)ㆍ덕수장씨(德水張氏)의 관향(貫鄕)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, 고려 문종(文宗) 때 12년에 걸쳐 지은 국립사찰인 흥왕사(興王寺) 터가 남아 있음.
경기도>풍덕 , 지명>행정지명
-
인물(仁物) - 덕수(德水)
경기도 개풍(開豊)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덕수이씨(德水李氏)ㆍ덕수장씨(德水張氏)의 관향(貫鄕)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, 고려 문종(文宗) 때 12년에 걸쳐 지은 국립사찰인 흥왕사(興王寺) 터가 남아 있음.
경기도>풍덕 , 지명>행정지명
-
인물성동이논쟁(人物性同異論爭) - 인물성동이론(人物性同異論)
성리학에서 인간의 성(性)과 인간을 제외한 만물의 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관한 이론. 동론(同論)을 주장한 이간(李柬)과 이론(異論)을 주장한 한원진(韓元震) 사이에 일어난 논변이 중심이 됨.
한국>조선후기 , 사상>이론>학설
-
인물이씨(仁物李氏) - 덕수이씨(德水李氏)
고려 때 신호위중랑장(神虎衛中郞將)을 지낸 이돈수(李敦守)를 시조로 하는 성씨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와 충무공(忠武公) 이순신(李舜臣) 등 뛰어난 인물을 배출함.
경기도>풍덕 , 인명>집단>성씨
-
인민(仁敏) - 이인민(李仁敏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포(李褒)의 아들이며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 이직(李稷)의 아버지. 대제학(大提學) 등을 지내고 사후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인민(仁民) - 김인민(金仁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장례원 판결사(掌隸院判決事) 김춘경(金春卿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인백(仁伯)@정개청 - 정개청(鄭介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고성(固城)으로,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. 전생서 주부(典牲署主簿)ㆍ곡성 현감(谷城縣監) 등을 지냈으며 예학(禮學)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, 기축옥사(己丑獄事)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. 저서로 《우득록(愚得錄)》이 있음.
1529~159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안ㅣ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