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인옥(仁沃) - 조인옥(趙仁沃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판도판서(版圖判書) 조돈(趙暾)의 아들로, 전법판서(典法判書) 등을 지내고,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됨.
1347~139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인왕(仁王) - 인종(仁宗)@고려
고려 제17대 왕. 재위 1123~1146. 이자겸(李資謙)의 난과 묘청(妙淸)의 난을 겪었고, 김부식(金富軾) 등에게 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를 편찬하게 함.
1109~1146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인왕사(人王寺) - 약사암(藥師庵)
통일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라도 광산(光山)의 무등산(無等山)에 있는 사찰. 철감선사(澈鑑禪師) 도윤(道允)이 증심사(證心寺)를 창건하기 위해 지었다 하며, 지금의 광주광역시(光州光域市)에 속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사찰
-
인왕산(仁旺山) - 인왕산(仁王山)
서울 북부에 있는 산 이름. 서울 진산(鎭山) 중 하나로, 조선시대부터 명산(名山)으로 불림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인우(仁佑) - 이인우(李仁佑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도안(道安). 이승(李勝)의 아들로,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첨정(僉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인우(仁祐) - 홍인우(洪仁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으로, 홍덕연(洪德演)의 맏아들. 서경덕(徐敬德)ㆍ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《심경(心經)》ㆍ《근사록(近思錄)》ㆍ《중용(中庸)》ㆍ《대학(大學)》에 전심하고,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음.
1515~155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인우(仁雨) - 유인우(柳仁雨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1356년(공민왕 5)에 동북면 병마사(東北面兵馬使)로 쌍성총관부(雙城摠管府)에 나가 이자춘(李子春) 부자의 내응을 얻어 총관부를 수복하고 옛 땅을 되찾음. 최유(崔濡)와 함께 덕흥군(德興君) 왕혜(王譓)를 옹립하려다가 잡혀 죽음.
?~1364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인우위문(仁右衛門) - 증전장성(增田長盛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(豊臣秀吉)이 명(明)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'삼봉행(三奉行)' 중의 한 사람.
1545~1615 일본>강호시대ㅣ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인원(仁元) - 서인원(徐仁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. 진주 목사(晉州牧使) 서예원(徐禮元)의 형으로, 학행(學行)이 빼어나고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44~?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춘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인원(仁原) - 김인원(金仁原)
조선 전기의 유학. 황준량(黃俊良)이 지은 〈차청양헌증주인김동년인원(次靑陽軒贈主人金同年仁原)〉이라는 시가 《금계집(錦溪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인원(仁遠) - 오언의(吳彦毅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창(高敞)으로, 현감(縣監)을 지낸 오석복(吳碩福)의 아들. 이우(李堣)의 문인이며,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음.
1494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인위(仁渭) - 문인위(文仁渭)
고려 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문정(文証)의 아들로, 김치양(金致陽)의 무리가 숙청될 때 강조(康兆)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였으며, 상서좌복야(尙書左僕射) 등을 지냄.
?~1019 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인윤(仁胤) - 이인윤(李仁胤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종친. 광천군(廣川君) 이수기(李壽麒)의 손자이며 평릉부수(平陵副守) 이엄(李儼)의 아들로, 1617년(광해군 9)에 금산군(錦山君) 이성윤(李誠胤) 등과 함께 이이첨(李爾瞻)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림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인을(仁乙) - 박인을(朴仁乙)
고려 후기의 문신. 지간성군사(知杆城郡事)를 지냈으며, 이색(李穡)의 《목은문고(牧隱文稿)》에 그에게 지어준 자설(字說)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간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인임(仁任) - 이인임(李仁任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권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크게 활약하고, 보리공신(輔理功臣)에 책록됨. 공민왕(恭愍王)이 피살되자 우왕을 즉위시킨 뒤 임견미(林堅味)ㆍ염흥방(廉興邦) 등과 함께 권력을 휘두름.
?~138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인장(隣丈) - 이대(李薱)
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현손이며 여양군(呂陽君) 이자겸(李子謙)의 아들로, 용강 현령(龍岡縣令)ㆍ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 등을 지냄.
1488~154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인재(仁齋)@성희 - 성희(成熺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문종 때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를 지내고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과 《문종실록(文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함. 당질(堂姪)인 성삼문(成三問)의 단종복위(端宗復位)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인재(仁齋) - 강희안(姜希顔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(三絶)이라 불림.
1417~146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인재(仁齋)@성희안 - 성희안(成希顔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박원종(朴元宗) 등과 함께 중종반정(中宗反正)을 주도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고, 주청사(奏請使)로 명(明)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.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461~151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인재(寅在) - 이인재(李寅在)
조선 후기의 문신. 1843년(헌종 9) 밀양 부사(密陽府使) 재임시 임진왜란 때 소실된 우리나라 3대 명루(名樓)의 하나인 영남루(嶺南樓)를 중건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