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완창부원군(完昌府院君) - 이성중(李誠中)@1539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현손이며 금천군(錦川君) 이감(李瑊)의 아들. 이중호(李仲虎)ㆍ이황(李滉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(完昌府院君)에 봉해짐.
1539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완천군(完川君)@이희 - 이희(李禧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영춘군(永春君) 이인(李仁)의 아들로 완천군(完川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완천군(完川君) - 이숙(李淑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조(太祖)의 서제(庶弟)인 의안대군(義安大君) 이화(李和)의 아들로,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 의정부 찬성사(議政府贊成事) 등을 지냄.
1373~140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완천부정(完川副正) - 이희(李禧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영춘군(永春君) 이인(李仁)의 아들로 완천군(完川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완천정(完川正) - 이희(李禧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영춘군(永春君) 이인(李仁)의 아들로 완천군(完川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완택독(完澤禿) - 왕고(王暠)
고려 충렬왕(忠烈王)의 손자. 충숙왕(忠肅王) 때 독로화(禿魯花)로서 원(元) 나라에 머무름. 충숙왕ㆍ충혜왕(忠惠王)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.
?~134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완택독(完澤篤) - 성종(成宗)@원
중국 원(元) 나라 제6대 황제. 재위 1295~1307. 세조(世祖)의 손자로, 세조 치세(治世)의 영향이 유지된 데다 재상 합랄합손(哈刺合遜) 등의 보좌를 받아 안정된 정치를 펼침.
1265~1307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완택보화(完澤普化) - 기천린(奇天麟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자오(奇子敖)의 손자로, 판도총랑(版圖摠郞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완평(完平) - 이원익(李元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함천군(咸川君) 이억재(李億載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 등을 지냄.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(大同法)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.
1547~163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완평군(完平君) - 이민상(李敏祥)
조선 전기의 유학.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에 추증됨. 김귀영(金貴榮)의 《동원집(東園集)》에 제문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완평부원군(完平府院君) - 이원익(李元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함천군(咸川君) 이억재(李億載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 등을 지냄.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(大同法)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.
1547~163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완평현군(宛平縣君) - 철철불화(徹徹不花)
중국 원(元) 순제(順帝) 때의 문신. 하남부 총관(河南府摠管)을 지낸 고려인 한영(韓永)의 사위로, 병부 상서(兵部尚書)를 지냄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완풍군(完豊君) - 이서(李曙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봉해지고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.
1580~163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완풍부원군(完豊府院君) - 이서(李曙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봉해지고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.
1580~163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완화수(浣花叟) - 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완화옹(浣花翁) - 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완화전(浣花箋) - 설도전(薛濤牋)
중국 당(唐) 나라의 종이. 기생 설도(薛濤)가 만년에 은거해서 심홍색 양질의 종이를 만들게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촉(蜀)의 명사들과 시를 증답(贈答)함.
중국>당 , 중국 , 물품>기타물품
-
완휴재(玩休齋) - 강승(姜昇)
조선 세종(世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봉서사(鳳棲祠)에 배향됨.
1430~150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학자
-
왈인(曰仁) - 서애(徐愛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왕수인(王守仁)의 매부(妹夫)로, 남경공부낭중(南京工部郞中) 등을 지내고, 《전습록(傳習錄)》을 편찬함.
1487~151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왕(▼(氵+㞷)) - 소현세자(昭顯世子)
조선 제16대 인조(仁祖)의 맏아들. 효종(孝宗)의 형이며, 부인은 민회빈강씨(愍懷嬪姜氏). 병자호란 때 아우인 봉림대군(鳳林大君) 등과 함께 심양(瀋陽)에 끌려가 9년간 고초를 겪다가 귀국하였으나, 두 달 만에 원인 모를 병으로 급사함.
1612~16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