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왕^려(王^呂) - 여이간(呂夷簡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오랜 기간 재상(宰相)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(范仲淹)ㆍ왕증(王曾)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.
979~104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왕^양^노^낙(王^楊^盧^駱) - 초당사걸(初唐四傑)
중국 당(唐) 나라 초기에 시문(詩文)으로 명성을 떨친 왕발(王勃)ㆍ양형(楊炯)ㆍ노조린(盧照隣)ㆍ낙빈왕(駱賓王)을 가리킴. 모두 신분이 낮은 사족(士族) 출신으로, 젊어서 시단(詩壇)에서 이름을 떨친 공통점이 있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왕^육(王^陸) - 육^왕(陸^王)
중국 남송(南宋) 초의 문신ㆍ학자인 육구연(陸九淵)과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수인(王守仁)을 함께 부르는 말. 육왕학(陸王學)의 대표적인 인물들로, 정주학자(程朱學者)의 관점에서는 사이비 유학자를 가리킴.
중국>명ㅣ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왕^종(王^鍾) - 종^왕(鍾^王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서예가인 종요(鍾繇)와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서예가인 왕희지(王羲之)를 함께 부르는 말. 중국 고금(古今)의 서성(書聖)인 두 사람을 말함.
중국>남북조시대ㅣ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왕간(王侃) - 왕창(王淐)
고려 제23대 고종(高宗)의 아들. 원종(元宗)의 동모제(同母弟)로 1269년(원종 10) 임연(林衍)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,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왕개보(王介甫) - 왕안석(王安石)
중국 송(宋)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신종(神宗)에게 발탁되어 신법(新法)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 중 한 사람으로 꼽힘.
1021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왕거(王昛) - 충렬왕(忠烈王)
고려 제25대 왕. 재위 1274~1308. 원종(元宗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순경태후(順敬太后). 원종이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태손(太孫)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,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(對蒙抗爭)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.
1236~130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건(王建) - 태조(太祖)@고려
고려 제1대 왕. 재위 918~943. 후삼국시대에 궁예(弓裔)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(洪儒)ㆍ배현경(裵玄慶)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,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.
877~943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건(王建)@고조 - 고조(高祖)@오대십국(전촉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전촉(前蜀)의 제1대 황제. 당(唐) 나라의 환관 전영자(田令孜)의 양아들로 황소의 난 때 공을 세움. 절도사(節度使)로 갔던 서천(西川)에서 촉(蜀) 나라를 세우고 당 나라가 망하자 황제를 자칭함.
847~918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국왕
-
왕경부(王敬夫) - 왕구사(王九思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주창한 ‘칠재자(七才子)’ 중의 한 사람으로, 사곡(詞曲)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(吏部郞中) 등을 지냄.
1468~155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왕고려(王高麗) - 고려(高麗)
왕건(王建)이 태봉(泰封)의 궁예(弓裔)를 추방하고 개성(開城)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. 태조(太祖)에서 공양왕(恭讓王)까지 34대 475년간 존속.
918~1392 한국>고려시대 , 시간>국명
-
왕공(王公)@왕촉 - 왕촉(王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문신. 제 나라가 연(燕) 나라의 공격을 받아 거의 망하게 되었을 때 연 나라 장군 악의(樂毅)가 초빙하자, “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다.”는 말로 거절하고 스스로 목매어 죽음.
?~B.C.284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왕공(王公) - 왕중서(王仲舒)
중국 당(唐) 헌종(憲宗)~목종(穆宗) 때의 문인ㆍ문신. 홍주 자사(洪州刺史)ㆍ중서사인(中書舍人)ㆍ강남서도 관찰사(江南西道觀察使) 등을 지냈으며, 한유(韓愈)와 교유하였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왕공사륙화(王公四六話) - 사륙화(四六話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학자인 왕질(王銍)이 지은 평론서. 2권. 송대(宋代)의 표문(表文)과 계문(啓文) 및 육조(六朝)와 당(唐) 시대의 사(詞)를 평론한 책으로, 송대 사륙변려문(四六騈儷文)의 시초임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왕교(王喬)@왕자교 - 왕자교(王子喬)
중국 주(周) 나라 영왕(靈王)의 태자. 이름은 진(晉)으로, 직간(直諫)을 하다가 폐세자(廢世子)가 되어 구씨산(緱氏山)에 들어가 신선(神仙)이 되었다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왕구(王構) - 인종(仁宗)@고려
고려 제17대 왕. 재위 1123~1146. 이자겸(李資謙)의 난과 묘청(妙淸)의 난을 겪었고, 김부식(金富軾) 등에게 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를 편찬하게 함.
1109~1146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구령(王龜齡) - 왕십붕(王十朋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시인ㆍ문신. 주희(朱熹)ㆍ왕응신(汪應辰) 등의 학자들과 교유했으며, 소동파(蘇東坡)의 시(詩)를 집주(集註)한 《집주분류동파선생시(集註分類東坡先生詩)》로 유명함.
1112~117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왕군(王君) - 왕적(王適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대리평사(大理評事) 등을 지냈으나, 한유(韓愈)가 지은 그의 묘명(墓銘)에 후고(侯高)를 속이고 그의 딸과 혼인한 일이 실려 있어 세인(世人)들의 조롱을 받음.
770~81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왕근사(王近思) - 왕역행(王力行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왕기(王祈) - 선종(宣宗)@고려
고려 제13대 왕. 재위 1083~1094. 문종(文宗)의 둘째 아들.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(僧科)를 설치하고, 많은 사탑(寺塔)을 건립함.
1049~109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