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왕주진(王洲津) - 대왕포(大王浦)
충청남도 부여(扶餘)의 금강(錦江)가에 있던 포구(浦口) 이름. 백제 무왕(武王)의 유람지로 전해짐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왕준(王準) - 준왕(準王)
고대 기자조선(箕子朝鮮)의 마지막 국왕. 망명하여 온 연(燕) 나라 사람 위만(衛滿)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(馬韓)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(流民)을 수습하고 한왕(韓王)이라 칭하였음.
고대 , 인명>왕실>국왕
-
왕중엄(王仲淹) - 왕통(王通)
중국 수(隋) 나라의 학자. 기본 바탕은 유학에 두고 유ㆍ불ㆍ도 합일을 주장했으며, 제자 중에서 당(唐) 나라의 문무대관이 된 사람들이 많음.
584~617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왕중임(王仲任) - 왕충(王充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학자. 반표(班彪)의 제자이며, 틀에 짜인 유교 사상을 철저히 거부하고 독창성이 넘치는 자유주의적 사상을 추구한 사상적 전환기의 선구자로, 당시의 전통적 정치와 학문을 비판하며 《논형(論衡)》을 저술함.
27~97?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왕증(王蒸) - 선종(宣宗)@고려
고려 제13대 왕. 재위 1083~1094. 문종(文宗)의 둘째 아들.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(僧科)를 설치하고, 많은 사탑(寺塔)을 건립함.
1049~109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진(王晉) - 왕자교(王子喬)
중국 주(周) 나라 영왕(靈王)의 태자. 이름은 진(晉)으로, 직간(直諫)을 하다가 폐세자(廢世子)가 되어 구씨산(緱氏山)에 들어가 신선(神仙)이 되었다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왕진(王瞋) - 고종(高宗)@고려
고려의 제23대 왕. 재위 1213~1259.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.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,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.
1192~125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진경(王晉卿) - 왕선(王詵)
중국 북송(北宋) 때의 서화가. 시(詩)와 사(詞)를 잘 지었고 서예에 능했으며, 특히 산수화를 잘 그림. 소동파(蘇東坡)ㆍ황정견(黃庭堅)ㆍ미불(米芾) 등과 친교가 깊었음.
1048~110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왕진보(王晉輔) - 왕현(王峴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이며, 여조검(呂祖儉)의 사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왕질(王晊) - 고종(高宗)@고려
고려의 제23대 왕. 재위 1213~1259.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.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,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.
1192~125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찰자(王札子) - 왕자첩(王子捷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선공(宣公) 때의 무인. 경대부 왕손소(王孫蘇)의 부하로서, 당시 왕손소와 정치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소백(召伯)과 모백(毛伯)을 죽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왕참정(王參政) - 왕차옹(王次翁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진회(秦檜)와 결탁하여 금군(金軍)과의 화친을 강력히 주장하고, 한세충(韓世忠)ㆍ장준(張浚)ㆍ악비(岳飛) 등을 모함하여 탄핵함. 저서에 《양하집(兩河集)》이 있음.
1079~114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왕천사(王天使) - 왕새(王璽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1569년(조선 선조 2)에 황태자 책립조서(皇太子冊立詔書)를 전달하기 위해 조선에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왕철(王㬚) - 고종(高宗)@고려
고려의 제23대 왕. 재위 1213~1259.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.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,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.
1192~125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철(王徹) - 의종(毅宗)@고려
고려 제18대 왕. 재위 1146~1170. 인종(仁宗)의 맏아들로,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(鄭仲夫)ㆍ이의방(李義方) 등에게 폐위당함. 김보당(金甫當)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(李義旼)에게 살해됨.
1127~117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춘(王暙) - 충렬왕(忠烈王)
고려 제25대 왕. 재위 1274~1308. 원종(元宗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순경태후(順敬太后). 원종이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태손(太孫)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,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(對蒙抗爭)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.
1236~130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측(王則) - 왕칙(王則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때의 역적. 일개 군졸로서 패주(貝州)에서 반란을 일으켜 자칭 동평군왕(東平郡王)이라 하고 연호도 득승(得勝)이라 하였으나 문언박(文彥博)에 의해 평정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역적
-
왕치(王治) - 성종(成宗)@고려
고려 제6대 왕. 재위 981~991. 중앙에 3성(省) 6부(府)를 설치하고, 지방에 12목(牧)과 10도(道)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.
960~997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탁(王晫) - 신종(神宗)@고려
고려의 제20대 국왕. 재위 1197~1204. 인종(仁宗)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(明宗)의 동모제(同母弟)로, 최충헌(崔忠獻)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,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.
1144~120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왕태조(王太祖) - 태조(太祖)@고려
고려 제1대 왕. 재위 918~943. 후삼국시대에 궁예(弓裔)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(洪儒)ㆍ배현경(裵玄慶)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,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.
877~943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