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요(憭) - 권료(權憭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마전 군수(麻田郡守) 권념(權念)의 아들로, 결성 현감(結城縣監)을 지냈으며, 신용개(申用漑)의 《이락정집(二樂亭集)》에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455~150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결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요(瑤) - 이요(李瑤)
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. 세종(世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(潭陽君) 이거(李璖)의 증손이며, 남언경(南彦經)의 문인으로,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(陽明學者). 선조(宣祖) 때 유성룡(柳成龍) 등을 동인(東人)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왕실>종친
-
요경(堯卿)@조순 - 조순(趙舜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생육신(生六臣)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조려(趙旅)의 손자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냄.
1467~152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요경(堯卿) - 이당자(李唐咨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, 석홍경(石洪慶)ㆍ임이간(林易簡) 등과 함께 월단평(月旦評)으로 추중을 받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요경(堯卿)@조희현 - 조희현(趙希賢)
중국 명(明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숭덕현(崇德縣)의 지현(知縣)을 역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요곤(妖髡) - 신돈(辛旽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(僧侶).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(師傅)로서 국정을 맡음.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.
?~137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요공(姚公) - 요숭(姚崇)
중국 당(唐) 나라 중종(中宗)~현종(玄宗) 때의 재상. 측천무후(則天武后)에게 발탁되어 관직에 오르고, 현종 초기에 국정을 숙정하고 민생의 안정에 힘씀. 송경(宋璟)과 함께 개원(開元)의 명재상으로 숭앙됨.
650~72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요공(耀空) - 신돈(辛旽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(僧侶).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(師傅)로서 국정을 맡음.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.
?~137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요공국사(了空國師) - 도선(道詵)
통일신라 문성왕(文聖王)~효공왕(孝恭王) 때의 승려. 15세에 출가하여 23세 때 천도사(穿道寺)에서 구족계를 받고, 전라도 백계산(白鷄山) 옥룡사(玉龍寺)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다 죽음. 풍수지리설(風水地理說)의 대가로 더욱 유명함.
827~898 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영암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요년(遙年) - 송요년(宋遙年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1479년(성종 10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군자감 정(軍資監正)을 지냄.
1429~149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관인>문신
-
요동공(遼東公) - 광개토왕(廣開土王)
고구려 제19대 왕. 재위 391~412. 고국양왕(故國壤王)의 아들로,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. 내정(內政)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중앙 관직을 신설하고, 평양에 구사(九寺)를 창건하여 불교를 장려함.
374~413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요동총병(遼東摠兵) - 양소훈(楊紹勳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(遼東廣寧鎭守總兵官)으로 아우 양소신(楊紹新)과 함께 이여송(李如松)을 따라 참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요락지(瑤樂池) - 용흥강(龍興江)
함경도 동부를 거쳐 동해 송전만(松田灣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
함경도>영흥 , 지명>자연지명
-
요명(堯命) - 김요명(金堯命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곤수(鄭崑壽)의 《백곡집(栢谷集)》에 〈억김요명유감(憶金堯命有感)〉이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요문(堯門) - 요모문(堯母門)
중국 장안(長安)에 있던 구익궁(鉤弋宮)의 문 이름. 한(漢) 무제(武帝) 때 총비(寵妃)인 구익부인(鉤弋夫人)이 소제(昭帝)를 14개월 만에 낳자, 요(堯) 임금의 고사를 인용하여 명명함.
B.C.94 중국>전한 , 중국 , 유적>건물>궁궐
-
요범(了凡) - 원황(袁黃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송응창(宋應昌)을 보좌하여 참전하였고, 천문(天文)ㆍ술수(術數)ㆍ의학(醫學)ㆍ수리(水利)에 능통하였으며, 저서에 《역법신서(曆法新書)》ㆍ《요범사훈(了凡四訓)》 등이 있음.
1533~160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요부(堯夫)@소옹 - 소옹(邵雍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학자. 이지재(李之才)에게 천문(天文)ㆍ역수(易數) 등을 배우고,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(易哲學)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(數理哲學)을 완성함.
1011~107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요부(堯夫)@유요부 - 유요부(劉堯夫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. 육구연(陸九淵)의 제자. 주희(朱熹)를 만난 자리에서 육구연의 학문을 비난하다가 주희에게 비난받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요부(堯夫) - 범순인(范純仁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사마광(司馬光)과 같은 보수파였지만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 중 일부 합리적인 것은 수용하는 등 유연한 자세를 견지함.
1027~110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요사렴(姚思廉) - 요간(姚簡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요찰(姚察)의 아들로, 위징(魏徵)과 함께 《양서(梁書)》ㆍ《진서(陳書)》를 편찬하였으며, 산기상시(散騎常侍) 등을 지냄.
557~63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