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용(容)@권용 - 권용(權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정(權應挺)의 아들. 홍문관 직제학(弘文館直提學)을 지냈으며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했고, 적서(嫡庶)의 구별을 엄히 할 것과 언로(言路)의 개방을 주장함.
1509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용(容) - 구용(具容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. 좌찬성 구사맹(具思孟)의 아들로, 금화 현감(金化縣監)을 지내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권필(權韠)과 함께 주전론(主戰論)을 주장함. 전쟁 중에 겪은 고뇌와 갈등을 담은 작품을 많이 남김.
1569~160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용(庸) - 중용(中庸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인 공급(孔伋)이 저술한 유교 경전. 《예기(禮記)》의 제31편이었던 것을 송(宋) 나라의 주희(朱熹)가 따로 떼어서 사서(四書)에 포함시킴. 유교의 철학적 배경을 천명하여, 중화사상(中和思想)ㆍ성(誠) 등의 내용을 33장에 담고 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용(庸)@조용 - 조용(趙庸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(門人). 조선 개국 후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ㆍ대사성(大司成)ㆍ세자우빈객(世子右賓客) 등을 지냄. 진보조씨(眞寶趙氏)의 시조.
?~142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용(涌) - 김용(金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며, 《선조실록(宣祖實錄)》 수찬(修撰)에 참여함.
1557~162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용(湧) - 윤용(尹湧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이손(尹李孫)의 아들이며, 윤개(尹漑)의 아우로, 선교랑(宣敎郞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용(瑢) - 안평대군(安平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셋째 아들. 김종서(金宗瑞) 등과 함께 수양대군(首陽大君)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에 뛰어나 ‘삼절(三絶)’이라 불렸고, 당대 제일의 명필(名筆)로 꼽힘.
1418~145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왕자
-
용(用) - 왕용(王用)
고려 때의 문신. 윤근수(尹根壽)의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그의 신도비(神道碑)에 대한 토석(吐釋)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시대 , 인명>관인>문신
-
용(鏞)@성용 - 성용(成鏞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여신(成汝信)의 둘째 아들로, 아버지의 학문을 계승함.
1576~162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용(鏞) - 권용(權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첨의찬성(僉議贊成) 권렴(權廉)의 아들. 아들 권진(權瑨)이 공민왕의 시역(弑役)에 가담하여 유배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용(鏞)@김용 - 김용(金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형당함.
?~136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안성 , 인명>관인>무신
-
용(龍)@심룡 - 심룡(沈龍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세종(世宗) 때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심온(沈溫)의 조부로, 문하시중(門下侍中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용(龍) - 용수(龍樹)
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. 인도 대승불교사상(大乘佛敎思想)의 기초를 확립하고, 공사상(空思想)을 전개하여 중관학파(中觀學派)로 불림. 저서로 《중론(中論)》등이 있음.
150?~250?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문사>학자
-
용^비(龍^比) - 방^간(逄^干)
중국 하(夏) 나라 걸왕(桀王) 때의 충신인 관용방(關龍逄)과 은(殷) 나라 주왕(紂王) 때의 충신인 비간(比干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은ㅣ중국>하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용^학(庸^學) - 학^용(學^庸)
《대학(大學)》과 《중용(中庸)》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문헌>기타문헌
-
용강(龍岡)@신함 - 신함(申涵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파주 목사(坡州牧使)를 지낸 신종옥(申從沃)의 아들. 용강 현령(龍岡縣令)을 지냈으며, 신광한(申光漢)의 《기재집(企齋集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용강(龍岡)@신윤문 - 신윤문(辛允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월(寧越). 관찰사(觀察使) 신영손(辛永孫)의 손자로 용강 현령(龍岡縣令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영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용강(龍江) - 양세남(梁世南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송천(松川) 양응정(梁應鼎)의 손자인 양만용(梁曼容)의 아들.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.
1627~168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용강처사(龍江處士) - 양세남(梁世南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송천(松川) 양응정(梁應鼎)의 손자인 양만용(梁曼容)의 아들.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.
1627~168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용개(用漑) - 신용개(申用漑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무오사화(戊午士禍)ㆍ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명(明) 나라에 가서 고명(誥命)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63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