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용담(龍潭)@박이장 - 박이장(朴而章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승지(承旨)를 지낸 박양좌(朴良佐)의 아들로, 노수신(盧守愼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김성일(金誠一)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, 폐모론(廢母論)에 반대함.
1547~162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ㅣ경상도>성주ㅣ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용담(龍潭)@서응기 - 서응기(徐應麒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당성(唐城). 화담(花潭) 서경덕(徐敬德)의 아들로, 장례원 사의(掌隸院司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용담(龍潭) - 강윤성(康允成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상산백(象山伯) 강서(康庶)의 아들로, 이부 시랑(吏部侍郞)ㆍ판삼사사(判三司事)를 지냄. 조선 태조의 계비(繼妃) 신덕왕후(神德王后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용담선생문집(龍潭先生文集) - 용담집(龍潭集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인 박이장(朴而章)의 시문집. 7권 3책. 활자본. 8대손 박규환(朴奎煥)이 간행을 도모하였으며, 1911년 9대손 박인현(朴寅鉉)ㆍ박윤현(朴允鉉) 등이 간행함.
1911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용도(龍韜) - 육도(六韜)
중국 주(周) 나라의 신하인 여상(呂尙)이 지었다는 병서(兵書). 무경칠서(武經七書)의 하나로, 문도(文韜)ㆍ무도(武韜)ㆍ용도(龍韜)ㆍ호도(虎韜)ㆍ견도(犬韜)ㆍ표도(豹韜)로 구성됨.
중국>주 , 중국 , 문헌>서명
-
용도노자(龍圖老子) - 범중엄(范仲淹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곽황후(郭皇后)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(呂夷簡)과 대립하고, 구양수(歐陽修)ㆍ한기(韓琦) 등과 붕당을 형성함.
989~105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용동(龍洞) - 용추동(龍湫洞)
경상도 문경(聞慶)에 있던 마을 이름. 김안국(金安國)이 신연(申淵)과 이곳에서 술을 마시며 즐겼던 일을 회상하는 내용이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실려 있음.
경상도>문경 , 지명>자연지명
-
용동서원(龍洞書院) - 문충사(文忠祠)
조선 순종(純宗) 때 충청도 영동(永同)에 건립된 사당. 한말(韓末)의 유학자이자 우국지사인 송병선(宋秉璿)ㆍ송병순(宋秉珣) 형제를 배향한 곳으로, 1966년에 지금의 대전광역시 동구(東區) 용운동(龍雲洞)으로 이전함.
1908 한국>근대 , 충청도>영동 , 유적>건물>사당
-
용두봉(龍頭峯) - 잠두봉(蠶頭峯)
서울 마포 일대의 한강변에 위치한 산 이름.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에 의해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면서 이 곳에서 많은 신자들이 참수당함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용량(用良) - 유용량(柳用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유희저(柳希渚)의 아들이며, 임진왜란 때 성절사(聖節使)로 공을 세웠던 유몽정(柳夢鼎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용로(容老) - 이행(李荇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폐비윤씨(廢妃尹氏)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, 중종의 원비 신씨(愼氏)의 복위를 반대함.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을 찬진함.
1478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용릉(舂陵) - 주돈이(周敦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 형제의 스승으로, 도가사상(道家思想)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. 저서에 《태극도설(太極圖說)》ㆍ《통서(通書)》등이 있음.
1017~107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용릉군(龍陵君) - 윤우신(尹又新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윤징(尹澄)의 아들로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용릉수(舂陵叟) - 주돈이(周敦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 형제의 스승으로, 도가사상(道家思想)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. 저서에 《태극도설(太極圖說)》ㆍ《통서(通書)》등이 있음.
1017~107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용릉옹(舂陵翁) - 주돈이(周敦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 형제의 스승으로, 도가사상(道家思想)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. 저서에 《태극도설(太極圖說)》ㆍ《통서(通書)》등이 있음.
1017~107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용릉절후(舂陵節侯) - 유매(劉買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고조. 장사정왕(長沙定王) 유발(劉發)의 아들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용릉후(舂陵侯) - 유발(劉發)
중국 전한(前漢)의 제6대 경제(景帝)의 열째 아들. 후한(後漢)의 광무제(光武帝)의 5대조.
?~B.C.129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용만(龍巒) - 권기(權紀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권호문(權好文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유성룡(柳成龍)에게서도 배웠음. 육경(六經)에 통달하고, 예문(禮文)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.
1546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용만(龍灣)@서중행 - 서중행(徐中行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복건 부사(福建副使)ㆍ강서 포정사(江西布政使)를 지냈으며, 전칠자(前七子)의 복고설(復古說)을 계승하여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.
1517~157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용만(龍灣) - 의주(義州)
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. 북서쪽으로 압록강(鴨綠江)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. 993년(성종 12) 서희(徐熙)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(江東六州)의 하나.
평안도>의주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