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용연검(龍淵劍) - 용천검(龍泉劍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명검(名劍). 구야자(歐冶子)와 간장(干將)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,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뇌환(雷煥)이 예장(豫章)의 풍성(豊城)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. 원래는 용연검(龍淵劍)으로 불렸으나 당(唐) 나라 고조의 휘(諱)인 ‘연(淵)’을 피하여 용천(龍泉)이라 하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물품>기타용품>무기
-
용온(用韞) - 풍기(馮琦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明神宗) 때의 문신. 정사에 임하여 부지런하고 엄숙하였으며, 학문에 조예가 깊음.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북해집(北海集)》ㆍ《경제유편(經濟類編)》 등이 있음.
1558~160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와(慵窩) - 유승현(柳升鉉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영조(英祖) 때 학자인 유도원(柳道源)의 아버지로, 1719년(숙종 45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냄. 저서로 《용와집(慵窩集)》이 있음.
1680~17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왕담(龍王潭) - 천지(天池)
함경도와 중국 길림성(吉林省)에 걸쳐 있는 백두산(白頭山) 정상의 화구호(火口湖).
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용원부원군(龍原府院君)@윤자신 - 윤자신(尹自新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윤식(尹湜)의 아들로, 정여립(鄭汝立)의 역모사건 때 정즙(鄭緝) 등을 체포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종묘의 신주를 잘 보존하여 죽은 뒤에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추록됨.
1529~160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용원부원군(龍原府院君) - 조인벽(趙仁璧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판도판서(版圖判書) 조돈(趙暾)의 아들로, 환조(桓祖)의 딸 정화공주(貞和公主)와 혼인함. 김용(金鏞)의 토벌에 공을 세워 이등공신이 되고, 우왕(禑王) 때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하였으며, 위화도 회군(威化島回軍)에도 참여함.
?~139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덕원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용원부원군(龍源府院君) - 조인벽(趙仁璧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판도판서(版圖判書) 조돈(趙暾)의 아들로, 환조(桓祖)의 딸 정화공주(貞和公主)와 혼인함. 김용(金鏞)의 토벌에 공을 세워 이등공신이 되고, 우왕(禑王) 때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하였으며, 위화도 회군(威化島回軍)에도 참여함.
?~139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덕원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용유사(龍游寺) - 금산사(金山寺)@중국
중국 강소성(江蘇省) 진강(鎭江) 서북쪽 금산(金山) 위에 있는 사찰. 동진(東晉) 때 창건된 중국의 대표적 선찰(禪刹)로, 송(宋) 나라 때 승려 요원(了元)과 소식(蘇軾)이 노닐었던 곳으로 유명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유적>건물>사찰
-
용유사(龍遊寺) - 금산사(金山寺)@중국
중국 강소성(江蘇省) 진강(鎭江) 서북쪽 금산(金山) 위에 있는 사찰. 동진(東晉) 때 창건된 중국의 대표적 선찰(禪刹)로, 송(宋) 나라 때 승려 요원(了元)과 소식(蘇軾)이 노닐었던 곳으로 유명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유적>건물>사찰
-
용은(舂隱) - 김숙(金淑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1454년(단종 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ㆍ부사(府使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은거사(慵隱居士) - 유대일(兪大逸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좌의정(左議政) 유홍(兪泓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지냄. 그의 시문집인 《용은집(慵隱集)》이 《송당집(松塘集)》에 실려 있음.
1572~164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은부원군(龍恩府院君) - 윤식(尹湜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. 윤시영(尹時英)의 아들로 윤시호(尹時豪)에게 출계함. 윤자신(尹自新)의 아버지. 당제(堂弟)인 윤결(尹潔)이 화를 입자 은둔하였으며, 죽은 후 영의정(領議政) 용은부원군(龍恩府院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용의(容懿) - 원성왕후(元成王后)
고려 제8대 현종(顯宗)의 제3비. 본관은 안산(安山). 김은부(金殷傅)의 딸로,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. 덕종(德宗)ㆍ정종(靖宗) 두 아들과 인평왕후(仁平王后)ㆍ경숙공주(景肅公主) 등을 낳음.
?~1028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용이(容耳) - 신항(申沆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종의 장녀인 혜숙옹주(惠淑翁主)와 혼인하여 고원위(高原尉)에 봉해졌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77~150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용익(龍翼) - 남용익(南龍翼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의령(宜寧).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지내고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문명을 떨쳤으나, 기사환국(己巳換局)에 연루되어 명천(明川)에 유배되어 죽음.
1628~16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용재(容齋) - 이행(李荇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폐비윤씨(廢妃尹氏)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, 중종의 원비 신씨(愼氏)의 복위를 반대함.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을 찬진함.
1478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재(庸齋) - 정문휼(鄭文遹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주희가 그에게 상례(喪禮)를 편찬하게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용재(慵齋) - 성현(成俔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(副棺斬屍)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(伸寃)되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음률(音律)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.
1439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용재(慵齋)@이종준 - 이종준(李宗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시서화(詩書畵)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냈으나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.
?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용재(用梓) - 사용재(謝用梓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절강인(浙江人). 임진왜란 때 조선에 서일관(徐一貫) 등과 사신(使臣)으로 와서 경성(京城)의 왜적 진영에 들어가 행장(行長)을 타이르는 등 교섭 관계에 힘씀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