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용재담화(慵齋談話) - 용재총화(慵齋叢話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(成俔)의 잡록류(雜錄類)에 속하는 수필집(隨筆集). 조선시대 수필문학(隨筆文學)의 백미(白眉)로 일컬어짐. 3권 3책,
152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문헌>서명
-
용재선생유고(慵齋先生遺稿) - 용재유고(慵齋遺稿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종준(李宗準)의 시문집. 1책. 목판본. 1824년(순조 24) 후손 이창욱(李昌郁)이 편집하고, 권사협(權思浹)과 이순빈(李淳賓)이 교정하여 간행함.
182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용재선생집(容齋先生集) - 용재집(容齋集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이행(李荇)의 시문집. 7책. 활자본. 1586년(선조 19) 손자 이광(李洸)이 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로 있을 때 간행함. 권두에 주세붕(周世鵬)의 행장(行狀)과 권말에 이안눌(李安訥)의 중간 발문이 실려 있음.
1586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용졸재(用拙齋) - 신식(申湜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황(李滉)ㆍ성운(成運)의 문인으로 대사헌(大司憲)을 지냄. 학식이 높고, 예악(禮樂)에도 밝았으나, 정여립(鄭汝立)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(昆陽)에 유배됨.
1551~162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주(湧州) - 덕원(德源)
함경도 문천(文川)ㆍ원산(元山)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조선 태조(太祖)의 4대 선조인 목조(穆祖)ㆍ익조(翼祖)ㆍ도조(度祖)ㆍ환조(桓祖)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(都護府)로 승격시켜 부사(府使)를 두고 다스림.
함경도>덕원 , 지명>행정지명
-
용주(龍州) - 용궁(龍宮)
경상도 예천(醴泉)과 상주(尙州) 사이에 있던 고을 이름. 명승지로 수월루(水月樓)ㆍ백화사(白華寺)가 있음. 후에 예천에 병합됨.
경상도>용궁 , 지명>행정지명
-
용주(龍洲) - 조경(趙絅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조익남(趙翼男)의 아들이며 윤근수(尹根壽)의 문인(門人)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척화(斥和)를 주장하고, 대제학(大提學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586~166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거창ㅣ경기도>포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주(龍珠) - 김용주(金龍珠)
고려 문종(文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공우(金公祐)의 셋째 아들로, 여진(女眞)의 난을 평정하여 추충공신(推忠功臣)에 녹훈되고, 개성군(開城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용주선생유고(龍洲先生遺稿) - 용주유고(龍洲遺稿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인 조경(趙絅)의 시문집. 목판본. 23권 9책. 1674년(숙종 1) 아들 조위봉(趙威鳳)이 교정 편차하고, 1703년(숙종 29) 손자 조구원(趙九畹)이 순천(順天)에서 간행함.
170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순천 , 문헌>서명
-
용중(用中) - 권용중(權用中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풍기 군수(豐基郡守)로 있던 주세붕(周世鵬)에게서 이름과 자(字)를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용중(用中)@임용중 - 임용중(林用中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주희ㆍ장식(張栻)과 함께 형산(衡山)에서 노닐며 시를 지어 《남악창수집(南嶽倡酬集)》을 엮음. 저서로 《초당집(草堂集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용지(勇智) - 안용지(安勇智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선산 부사(善山府使) 안우(安宇)의 아버지로, 순천 부사(順天府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지(用之) - 유려(劉礪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유지(劉砥)의 동생으로, 형과 함께 주희(朱熹)를 스승으로 섬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용진(龍津) - 오희맹(吳希孟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조선 중종(中宗) 때 명 나라의 황태자가 태어나자 조사(詔使) 공용경(龔用卿)과 함께 부사(副使)로 조선에 와 황제의 조서(詔書)를 전달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천(龍川) - 진량(陳亮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 때의 학자. 영강(永康) 출신으로, 재기(才氣)가 뛰어나 병법을 담론하길 좋아하고, 일찍이 옛사람이 무력을 사용한 것과 승리하고 패배한 것에 대한 사적을 상고하여 작고론(酌古論)을 저술하기도 함.
1143~119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용천(龍泉)@용천검 - 용천검(龍泉劍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명검(名劍). 구야자(歐冶子)와 간장(干將)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,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뇌환(雷煥)이 예장(豫章)의 풍성(豊城)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. 원래는 용연검(龍淵劍)으로 불렸으나 당(唐) 나라 고조의 휘(諱)인 ‘연(淵)’을 피하여 용천(龍泉)이라 하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물품>기타용품>무기
-
용천군(龍川君) - 이수한(李壽鷴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맏아들이며, 이걸(李傑)ㆍ이탁(李倬)ㆍ이준(李俊)ㆍ이위(李偉)ㆍ이경(李儆)ㆍ이현(李俔)의 아버지로, 용천군(龍川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용천부원군(龍川府院君) - 조림(趙琳)@고려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총관(摠管)을 지낸 조양기(趙良琪)의 아들이며, 예의 판서(禮儀判書)를 지낸 조돈(趙暾)의 형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덕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용춘(龍春) - 김용춘(金龍春)
신라 진지왕(眞智王)의 아들. 어머니는 지도부인(知道夫人) 박씨. 태종 무열왕(太宗武烈王)의 아버지로, 654년(태종무열왕 1) 4월 무열왕에 의해 문흥대왕(文興大王)으로 추봉됨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ㅣ인명>왕실>국왕
-
용출산(龍出山) - 마이산(馬耳山)
전라도 진안(鎭安) 남쪽에 있는 산 이름. 두 개의 암봉(岩峰)으로 이루어진 산으로, 동봉(東峰)과 서봉(西峰)의 모양이 말의 귀처럼 생겼다 하여 마이산(馬耳山)이라는 이름이 붙음.
전라도>진안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