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용탄(龍灘) - 이연경(李延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홍문관 교리(弘門館校理)로 재직할 때 조광조(趙光祖)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,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.
1484~154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용탄자(龍灘子) - 이연경(李延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홍문관 교리(弘門館校理)로 재직할 때 조광조(趙光祖)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,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.
1484~154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용필(龍弼) - 김용필(金龍弼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공우(金公祐)의 둘째 아들로, 수사공(守司空)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용학(龍學) - 장수(張壽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원풍(元豊) 연간에 문언박(文彥博) 등 13인의 기영(耆英)과 더불어 진솔회(眞率會)를 만들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용학석(庸學釋) - 용학석의(庸學釋義)
조선 명종(明宗) 때 안위(安瑋)와 문명개(文命凱)가 이황(李滉)의 확정되지 않은 《대학(大學)》ㆍ《중용(中庸)》에 대한 학설을 모아 간행한 책. 이황의 큰 반발을 샀음.
1567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중화 , 문헌>서명
-
용향(龍鄕) - 용인(龍仁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(明堂)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,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(陽智)ㆍ죽산(竹山)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.
경기도>용인 , 지명>행정지명
-
용헌(容軒) - 이원(李原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암(李嵒)의 손자이며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.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,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.
1368~143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용헌(慵軒)@황사우 - 황사우(黃士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친척인 김안로(金安老)가 정권을 잡자 권세를 부리며, 뇌물을 받고 벼슬을 팔아 치부했다는 비판을 받음.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우찬성(右贊成) 등을 지냄.
1486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용헌(慵軒) - 이종준(李宗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시서화(詩書畵)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냈으나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.
?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용헌(慵軒)@조세영 - 조세영(趙世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양(豊壤). 조지부(趙之孚)의 아들. 학문이 널리 알려져 1535년에 조사수(趙士秀) 등과 함께 사유록(師儒錄)에 올랐고, 사성(司成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용헌선생문집(容軒先生文集) - 용헌집(容軒集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인 이원(李原)의 시문집. 1476년(성종 7) 손자 이륙(李陸)에 의해 《철성연방집(鐵城聯芳集)》에 편입시켜 간행되었으며, 1957년 후손 이우기(李宇基)ㆍ이정태(李庭泰) 등에 의해 중간됨.
14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문헌>서명
-
용현(用賢)@박용현 - 박용현(朴用賢)
조선 전기의 화가. 본관은 밀양(密陽). 구암(龜巖) 이정(李楨)이 지은 제시(題詩) 〈제화병(題畫屛)〉이 《구암집(龜巖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용현(用賢) - 고용현(高用賢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낸 고경(高慶)의 아들로, 정몽주(鄭夢周)ㆍ이색(李穡)과 교유하였음.
1302~136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옥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용현(龍縣) - 용인(龍仁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(明堂)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,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(陽智)ㆍ죽산(竹山)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.
경기도>용인 , 지명>행정지명
-
용현(龍縣)@용궁 - 용궁(龍宮)
경상도 예천(醴泉)과 상주(尙州) 사이에 있던 고을 이름. 명승지로 수월루(水月樓)ㆍ백화사(白華寺)가 있음. 후에 예천에 병합됨.
경상도>용궁 , 지명>행정지명
-
용협(用協) - 김극일(金克一)@1382
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.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을 지냄.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(世宗) 때 효자 정려(孝子旌閭)가 건립되고, 성종(成宗) 때 김종직(金宗直)이 지은 효자 비문(孝子碑文)이 세워짐.
1382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용혜(容惠) - 정종(靖宗)
고려 제10대 왕. 재위 1035~1046. 현종(顯宗)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성왕후 김씨(元成王后金氏). 형인 덕종(德宗)의 유업을 이어받아 천리장성을 완성하는 등 변방의 수비를 강화하고 거란과 화친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함.
1018~1046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용호(龍湖)@박문영 - 박문영(朴文楧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,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1606년(선조 3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박이장(朴而章)이 덕천서원(德川書院)에 왔을 때 함께 원록(院錄)을 중수(重修)함.
1570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ㅣ경상도>산음 , 인명>문사>유학
-
용호(龍湖)@조존성 - 조존성(趙存性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조창원(趙昌遠)의 아버지로, 성혼(成渾)ㆍ박지화(朴枝華)의 문하에서 수학함. 강화 부사(江華府使)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,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1554~162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용호(龍湖) - 맹호성(孟好性)
고려 말~조선 초의 충신.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(太祖)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(杜門洞)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(太學生) 72명 중 한 사람.
1337~?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은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