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우(宇) - 권우(權宇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생원 권대기(權大器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성리학(性理學)에 밝았고 광해군(光海君)의 사부(師傅)에 제수되었으며, 사후(死後)에 좌의정(左議政)에 추증됨.
1552~159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宇)@김우 - 김우(金宇)
조선 정종(定宗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희천(熙川).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좌군 도총제와 병조 판서를 역임하였음.
?~1418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희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우(宇)@안우 - 안우(安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1524년(중종 1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밀양(密陽)ㆍ평산(平山)ㆍ선산 부사(善山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瑀)@김우 - 김우(金瑀)
조선 전기의 문신. 노수신(盧守愼)과 교유하였고, 훈도(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瑀)@최우 - 최우(崔瑀)
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. 최충헌(崔忠獻)의 아들로,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(前代)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,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(江華)로 천도(遷都)함.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.
?~1249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우(瑀) - 왕우(王瑀)@왕온의아들
고려 후기의 종친. 예성부원대군(蘂城府院大君) 왕온(王昷)의 둘째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우(瑀)@박우 - 박우(朴瑀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창의(倡義)하여 공을 세우고, 이괄(李适)의 난(亂)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(振武功臣)에 책록됨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쌍령(雙嶺)에서 전사함.
1576~163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우(瑀)@조선 - 이우(李瑀)@조선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덕수(德水)로, 이이(李珥)의 아우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ㆍ금(琴)을 잘하여 ‘사절(四絶)’이라 불림. 어머니 신사임당(申師任堂)의 화풍을 따르고, 특히 화훼(花卉)와 초충(草蟲)을 잘 그림.
1542~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瑀)@강우 - 강우(姜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수의부위(修義副尉)를 지낸 강세응(姜世應)의 아들. 효행으로 정려각(旌閭閣)이 세워짐.
1495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우(瑀)@공양왕의동생 - 왕우(王瑀)@공양왕의동생
고려 공양왕(恭讓王) 때의 종친. 신종(神宗)의 7대손이며 공양왕(恭讓王)의 아우.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,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우(瑀)@고려 - 이우(李瑀)@고려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문하시중(門下侍中) 이암(李嵒)과 어사대부(御史大夫) 이교(李嶠)의 아버지로, 여러 지역의 외관을 거쳤으며 철원군(鐵原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祐) - 권우(權祐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관직은 직장(直長) 등을 역임하였고 충주(忠州)에 정자(亭子)를 지었는데, 황정욱(黃廷彧)이 호서 방백(湖西方伯)으로 부임했을 때 정자에 시를 남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祐)@안우 - 안우(安祐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탐진(耽津). 최영(崔瑩) 등과 함께 조일신(趙日新)의 난을 평정하고 기철(奇轍)을 주살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됨. 재상 김용(金鏞)과 함께 정세운(鄭世雲)을 살해한 뒤, 그 또한 김용의 하수인에게 살해됨.
?~136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우(祐)@김우 - 김우(金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김륵(金玏)의 조부이며, 박임종(朴林宗)의 사위. 성주 목사(星州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祐)@박우 - 박우(朴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,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(善政)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.
1476~154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禹)@공우 - 공우(貢禹)
중국 전한(前漢) 원제(元帝) 때의 문신. 현량(賢良)으로 천거되어 간의대부(諫議大夫)를 지냄. 왕길(王吉)과 절친한 친구 사이로, 세간에 “왕길이 먼저 벼슬길에 오르니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 임금의 소명(召命)을 기다린다”라는 말이 전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우(芋) - 토란(土卵)
천남성과(天南星科)의 다년초(多年草).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,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. 전통 민화(民畵)나 문양(紋樣)에서 무병장수(無病長壽)를 상징하며, 중국의 민산(岷山)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.
자연물>식물
-
우(芌) - 토란(土卵)
천남성과(天南星科)의 다년초(多年草).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,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. 전통 민화(民畵)나 문양(紋樣)에서 무병장수(無病長壽)를 상징하며, 중국의 민산(岷山)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.
자연물>식물
-
우(藕) - 유우(柳藕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스승 김굉필(金宏弼)이 죽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과 교육에 전심함. 《주역(周易)》에 정밀하고, 천문ㆍ복서(卜筮)ㆍ음률ㆍ서화에도 정통함.
1473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우(虞) - 순(舜)
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. 요(堯) 임금의 선양(禪讓) 후 사흉(四凶)인 곤(鯀)ㆍ공공(共工)ㆍ환두(驩兜)ㆍ삼묘(三苗)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(聖君)으로 칭송받음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