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월천대형(月川大兄) - 조목(趙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횡성(橫城). 조대춘(趙大春)의 아들이고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(大科)를 포기하고 경전(經傳)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24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월천부원군(月川府院君) - 이정암(李廷馣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사직서 영(社稷署令) 이탕(李宕)의 아들로,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. 임진왜란 때 연안(延安)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1541~160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월천사우(月川祠宇) - 강성서원(江城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전라도 장흥(長興)에 건립된 서원. 옛 이름은 월천사(月川祠)였는데, 1785년(정조 9)에 사액되었으며, 문익점(文益漸)ㆍ문위세(文緯世) 등을 배향함.
164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흥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월천서사(月川書舍) - 월천서당(月川書堂)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안동(安東)에 건립한 서당. 1539년(중종 34) 월천(月川) 조목(趙穆)이 학문을 배우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하였으며, 현판은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이 씀.
153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월천선생문집(月川先生文集) - 월천집(月川集)@조목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조목(趙穆)의 문집. 목판본. 6권 3책. 예안 현감(禮安縣監) 이석관(李碩寬)의 청탁에 따라 저자의 아들 조석붕(趙錫朋)이 소장한 초고(草稿) 4권을 허목(許穆)이 산정(刪定)하여 간행함.
16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문헌>서명
-
월천옹(月川翁) - 조목(趙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횡성(橫城). 조대춘(趙大春)의 아들이고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(大科)를 포기하고 경전(經傳)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24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월천유고(月川遺稿) - 월천집(月川集)@조목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조목(趙穆)의 문집. 목판본. 6권 3책. 예안 현감(禮安縣監) 이석관(李碩寬)의 청탁에 따라 저자의 아들 조석붕(趙錫朋)이 소장한 초고(草稿) 4권을 허목(許穆)이 산정(刪定)하여 간행함.
16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문헌>서명
-
월천인(月川人) - 조목(趙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횡성(橫城). 조대춘(趙大春)의 아들이고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(大科)를 포기하고 경전(經傳)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24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월천주인(月川主人) - 조목(趙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횡성(橫城). 조대춘(趙大春)의 아들이고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(大科)를 포기하고 경전(經傳)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24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월촌(月村) - 이성임(李聖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태조(太祖)의 7대손이며, 이형(李詗)의 아들. 1583년(선조 16) 서장관(書狀官)으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지냄. 용모ㆍ문사(文辭)ㆍ언론(言論)ㆍ서화(書畵)ㆍ가성(歌聲)이 뛰어나서 오옥(五玉) 선생이라 불렸으며, 김성일(金誠一)과 교유함.
1555~159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월탄(月灘) - 명월탄(明月灘)
충청도 충주(忠州)에 있는 개울 이름. 월락탄(月落灘)이라 부르기도 하는데, 우륵(于勒)이 노닐던 곳이라 함.
충청도>충주 , 지명>자연지명
-
월파(月坡) - 유팽로(柳彭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경안(柳景顔)의 아들로, 성균관 학유(成均館學諭)를 지냈음.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(高敬命)의 종사관(從事官)이 되어 금산(錦山)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전사함.
1554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옥과 , 인명>관인>문신
-
월파옹(月波翁) - 차종로(車宗老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여말 선초의 학자이자 화가인 차원부(車原頫)의 아버지로, 지방어사(知防禦使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월포(月圃) - 최충(崔冲)
고려 목종(穆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해주(海州). 문헌공도(文憲公徒)의 창시자로, 구재학당(九齋學堂)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(文敎) 진흥과 사학(私學) 발전에 크게 공헌함. 문하시중(門下侍中) 등을 지냄.
984~1068 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월포(月浦)@강사상 - 강사상(姜士尙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강온(姜溫)의 아들. 1568년(선조 1) 조광조(趙光祖)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,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.
1519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월포(月浦)@홍경우 - 홍경우(洪儆禹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천석(洪天錫)의 아들로, 곽산 현령(郭山縣令)ㆍ봉상시 첨정(奉常寺僉正) 등을 지냄.
1606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월포(月浦) - 나영걸(羅英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조일신(趙日新)의 난 때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에 올랐으나, 조일신이 처형당하자 그 당류로 지목되어 장류(杖流)당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월헌(月軒)@황맹헌 - 황맹헌(黃孟獻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영의정 황희(黃喜)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(金海府使) 황관(黃瓘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고, 이과(李顆)의 옥사(獄事)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(定難功臣)에 책록됨.
1472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월헌(月軒) - 정수강(丁壽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때 다시 등용되어 정국원종공신(靖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월헌집(月軒集)》이 있음.
1454~152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월형산(月兄山) - 월악산(月岳山)
충청도 충주(忠州)와 청풍(淸風) 경계에 있는 산 이름. 예로부터 뛰어난 풍광(風光)으로 유명하며, 소백산맥(小白山脈)의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함. 현재 충청북도 제천시(堤川市) 한수면(寒水面)과 덕산면(德山面)의 경계에 속함.
충청도>충주ㅣ충청도>청풍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