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위국공(魏國公)@조맹부 - 조맹부(趙孟頫)
중국 원(元) 나라의 서화가ㆍ문인. 송(宋)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(翰林學士承旨)를 지내고, 사후 위국공(魏國公)에 추봉됨. 서화(書畵)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.
1254~132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
-
위국공(魏國公)@유갑 - 유갑(劉韐)
중국 송(宋) 나라의 충신. 흠종(欽宗) 때 금(金)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모욕을 당하자 스스로 자결함.
1067~112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국충헌왕(魏國忠獻王) - 한기(韓琦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재상.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, 신종 때 왕안석(王安石)의 청묘법(靑苗法) 실시와 거란(契丹)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.
1008~107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금산성(位金山城) - 우금산성(禹金山城)
삼국시대 전라북도 부안(扶安)에 축조한 산성. 복신(福信) 등의 백제부흥군이 나당연합군(羅唐聯合軍)의 김유신(金庾信)ㆍ소정방(蘇定方)에 맞서 싸우다가 패배한 곳으로, 백제 최후의 항거 거점이 됨.
한국>백제 , 전라도>부안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위급사(魏給事) - 위시량(魏時亮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목종(穆宗) 때의 문신ㆍ학자.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(兵科給事中)으로서 한림 검토(翰林檢討) 허국(許國)과 함께 반조(頒詔)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. 저서에 《대유학수(大儒學粹)》 등이 있음.
1529~159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기후(魏其侯) - 두영(竇嬰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외척ㆍ문신. 효문후(孝文后) 두씨(竇氏)의 조카로, 대장군(大將軍)을 거쳐 승상(丞相)에 이르러 천하에 권위를 떨쳤으나, 뒤에 효경후(孝景后)의 노염을 사서 기시(棄市)됨.
?~B.C.13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위남(葦南) - 박희중(朴熙中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. 구례 감무(求禮監務)를 지낸 박온(朴溫)의 아들로, 영암 군수(靈巖郡守)ㆍ예문관 직제학(藝文館直提學) 등을 지냄.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《해동필원(海東筆苑)》에 이름이 오름.
1364~144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위당(僞唐) - 남당(南唐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때 이변(李昪)이 오국(吳國)의 예제(睿帝)를 몰아내고 금릉(金陵)에 세운 나라. 3대 38년 만에 송(宋) 나라에게 멸망됨.
937~975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시간>국명
-
위도(衛道) - 진공(陳鞏)
중국 송(宋)의 유학. 선학(禪學)에 심취하여 주희(朱熹)와 함께 선학(禪學)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은 편지가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유학
-
위도(魏都) - 문후(文侯)@춘추전국(魏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445~B.C.396. 무후(武侯)의 아버지로, B.C.403년에 주(周) 나라로부터 제후에 책봉됨. 단간목(段干木)ㆍ악양(樂羊) 등의 인재를 적소에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함.
?~B.C.396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위라(韋羅) - 가비마라(迦毘摩羅)
2세기경 인도 마갈타국(摩竭陀國) 승려. 남인도에서 설법하였으며, 《무아론(無我論)》100게송을 지음. 대승불교를 일으킨 용수(龍樹)의 스승.
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위령백(威寧伯) - 왕월(王越)
중국 명(明) 나라 대종(代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환관 왕직(汪直) 등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림. 조선 성종(成宗) 때 경복궁(景福宮) 안에서 멀리 바람에 날려온 그의 시권(詩券)을 주워 주년사(奏年使) 편에 부쳤다 함.
1423~149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례(慰禮) - 직산(稷山)
충청도 천안(天安) 직산면(稷山面) 일대 지역의 옛 이름.
충청도>직산 , 지명>행정지명
-
위례성(慰禮城)@직산 - 직산(稷山)
충청도 천안(天安) 직산면(稷山面) 일대 지역의 옛 이름.
충청도>직산 , 지명>행정지명
-
위로(渭老) - 여상(呂尙)
중국 은(殷) 말~주(周) 초의 무신ㆍ제후. 영락(零落)하여 위수(渭水)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(周) 문왕(文王)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(齊侯)에 봉해짐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제후
-
위로(衛老) - 등경(鄧絅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《근사록(近思錄)》에 주희(朱熹)와 주고받은 문답이 실려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위룡(渭龍) - 강위룡(姜渭龍)
조선 전기의 유학. 유희춘(柳希春)에게 배우고 임운(林芸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위릉(渭陵) - 원제(元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10대 황제. 재위 B.C.48~B.C.33. 학문을 좋아했으나 성품이 유약하여 정치를 주관하지 못해 부왕 선제(宣帝)가 이룬 왕업을 쇠미하게 하였음.
B.C.75~B.C.3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위만(魏瞞) - 무제(武帝)@삼국(위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왕조를 세운 장군. 시부(詩賦) 등의 문재(文才)를 지녀 건안문단(建安文壇)을 영도(領導)함.
155~220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국왕
-
위무(衛武) - 무공(武公)@춘추전국(衛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제후. 55년간 재위하면서 주(周)를 도와 융적(戎狄)를 평정하고, 〈억(抑)〉이란 시를 지어 스스로를 경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