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위성삼첩곡(渭城三疊曲) - 위성곡(渭城曲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(王維)가 지은 악곡. 왕유가 원이사(元二使)를 송별(送別)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,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(陽關三疊曲)이라고도 부름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위세(緯世) - 문위세(文緯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유희춘(柳希春)ㆍ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임계영(任啓英)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용담 현령(龍潭縣令)이 되었고, 정유재란 때에도 왜적을 무찌른 공으로 파주 목사(坡州牧使)에 제수됨.
1534~160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소(緯素) - 나위소(羅緯素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정묘호란 때 이원익(李元翼)을 도와 무기와 군량을 조달했으며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83~166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소주(韋蘇州) - 위응물(韋應物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젊었을 때 의협심이 강하여 현종(玄宗)의 근위사관으로서 분방한 생활을 하였으나, 안녹산(安祿山)의 난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한 뒤 좌사 낭중(左司郞中)ㆍ소주 자사(蘇州刺史) 등을 지냄.
737~80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수(渭叟)@김공망 - 김공망(金公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부장(部將)을 지낸 김성(金城)의 아들이며, 주계군(朱溪君) 이심원(李深源)의 문인. 1506년(중종 1) 문과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냄.
1482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수(渭叟) - 김빈(金濱)
조선 전기의 학자. 남효온(南孝溫)과 죽마고우(竹馬故友)로 담양 교관(潭陽敎官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학자
-
위순암(委順庵) - 선우추(鮮于樞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신ㆍ서예가. 태상시 전부(太常寺典簿) 등을 지냈으며, 시문(詩文)과 서화(書畫)에 뛰어났는데, 특히 초서(草書)에 능하였음.
1246~130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신(位辛) - 웅화(熊禾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무이산(武夷山)에 들어가 홍원서당(洪源書堂)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, 사서(四書)를 주소(註疏)함.
1135~119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신(僞辛)@창왕 - 창왕(昌王)
고려 제33대 왕. 재위 1388~1389. 우왕(禑王)의 아들. 이색(李穡)ㆍ조민수(曺敏修)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곧 이성계(李成桂)에 의해 폐위됨.
1380~138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위신(僞辛) - 우왕(禑王)
고려 제32대 국왕. 재위 1374~1388. 수시중(守侍中) 이인임(李仁任)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(李成桂)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.
1365~138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위씨(韋氏) - 위총(韋叢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원진(元稹)의 아내. 태자소보(太子少保)를 지낸 위하경(韋夏卿)의 딸로 혼인한 지 7년만에 병으로 죽자, 남편인 원진이 아내를 그리며 애도시를 지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위씨(魏氏) - 조식(曹植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시인.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(文帝) 조비(曹丕)의 아우. 오언시(五言詩)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.
192~232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제후
-
위암(韋菴) - 신상(申鏛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《연산군일기》 편찬에 참여함.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.
1480~1530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앙(衛鞅) - 공손앙(公孫鞅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공자(公子). 법가(法家)의 대표적인 인물로, 진(秦) 효공(孝公)을 도와 법령을 제정하는 등 진제국(秦帝國) 성립의 기반을 세웠으나, 가혹한 법 집행으로 인해 미움을 받아 처형됨.
B.C.390~B.C.338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위앵(魏罃) - 혜왕(惠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제후.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(大梁)으로 옮기고 국호를 ‘양(梁)’으로 고쳤으며, 요(堯)ㆍ순(舜)의 인의정치(仁義政治)를 표방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위양(威襄) - 한난(韓蘭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. 청주한씨(淸州韓氏)의 시조로, 기자(箕子)의 후손으로 전해짐. 태조의 즉위와 견훤(甄萱)과의 전투에 공이 있어 삼중대광 개국벽상공신(三重大匡開國壁上功臣)에 녹훈(錄勳)되고, 문하태위(門下太尉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양원(魏陽元) - 위서(魏舒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. 산도(山濤)의 대임으로 사도(司徒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침중한 천성으로 널리 일컬어짐.
209~29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어(渭漁) - 여상(呂尙)
중국 은(殷) 말~주(周) 초의 무신ㆍ제후. 영락(零落)하여 위수(渭水)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(周) 문왕(文王)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(齊侯)에 봉해짐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제후
-
위열(威烈)@한난 - 한난(韓蘭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. 청주한씨(淸州韓氏)의 시조로, 기자(箕子)의 후손으로 전해짐. 태조의 즉위와 견훤(甄萱)과의 전투에 공이 있어 삼중대광 개국벽상공신(三重大匡開國壁上功臣)에 녹훈(錄勳)되고, 문하태위(門下太尉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열(威烈)@김취려 - 김취려(金就礪)@고려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언양(彦陽)으로, 김부(金富)의 아들. 거란군(契丹軍)을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움.
?~123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