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위열(威烈) - 고형산(高荊山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횡성(橫城). 남곤(南袞)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일으켜 조광조(趙光祖) 등을 축출함.
1453~1528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횡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왕(威王)@위열왕 - 위열왕(威烈王)
중국 주(周) 나라의 천자. 재위 B.C.425~B.C.402. 고왕(考王)의 아들로, 진(晉) 나라 대부 한건(韓虔)ㆍ조적(趙籍)ㆍ위사(魏斯)를 제후로 봉함.
?~B.C.402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위왕(衛王)@이범 - 이범(李範)
중국 당(唐) 나라 예종(睿宗)의 넷째 아들. 현종(玄宗)의 동생으로, 왕유(王維)와 같은 문인 아사(文人雅士)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. 현종 때 기주 자사(岐州刺史)ㆍ태자 태부(太子太傅) 등을 지냄.
?~72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왕자
-
위왕(衛王) - 상흥제(祥興帝)
중국 송(宋) 나라의 마지막 황제. 재위 1278~1279. 도종(度宗)의 막내아들로, 형 단종(端宗)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(元)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, 이에 송은 멸망함.
?~127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위왕(魏王) - 혜왕(惠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제후.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(大梁)으로 옮기고 국호를 ‘양(梁)’으로 고쳤으며, 요(堯)ㆍ순(舜)의 인의정치(仁義政治)를 표방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위우(僞禑) - 우왕(禑王)
고려 제32대 국왕. 재위 1374~1388. 수시중(守侍中) 이인임(李仁任)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(李成桂)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.
1365~138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위원(偉元)@왕부 - 왕부(王裒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효자. 아버지인 왕의(王儀)가 사마소(司馬昭)에게 억울하게 죽은 것을 비통하게 여겨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위원(偉元) - 박춘호(朴春豪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의병ㆍ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.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죽천(竹川) 박광전(朴光前)의 손자. 박근제(朴根悌)의 아들로, 병자호란 때 창의(倡義)하여 의병을 모집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원개(魏元凱) - 충지(冲止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승려. 수선사(修禪社)의 제6세 사주(社主). 위호소(魏號紹)의 아들로, 원오국사(圓悟國師) 문하에서 선교일치(禪敎一致)의 종풍(宗風)을 계승하였으며, 유선일치(儒禪一致)의 사상조류를 수용함.
1226~129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위원성(魏元成) - 위징(魏徵)
중국 수(隋)~당(唐) 나라의 문신. 수 나라 말기의 동란 때는 이밀(李密)의 서기가 되었다가, 태종(太宗)이 제위에 오르자 간의대부(諫議大夫)가 되어 죽을 때까지 간신(諫臣)으로서 훌륭하게 태종을 보필함.
580~643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은(魏隱) - 위야(魏野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 때의 문인ㆍ은자.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고 섬주(陝州) 동교(東郊)에 초당을 짓고 거문고와 시를 즐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문사>문인
-
위자(魏紫) - 모란(牡丹)
작약과(芍藥科)에 속하는 낙엽관목(落葉灌木).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, 부귀(富貴)를 상징함. 설총(薛聰)의 〈화왕계(花王戒)〉로 유명함.
자연물>식물
-
위장(偉長) - 서간(徐幹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인. 박학하고 글재주가 뛰어났으나 벼슬하지 않음. 건안칠자(建安七子) 가운데 한 명. 《중론(中論)》ㆍ〈귤부(橘賦)〉 등의 작품이 있음.
171~218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위장공(衛莊公) - 장공(莊公)@춘추전국(衛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480~B.C.478. 무공(武公)의 아들로, 영공(靈公)의 부인을 죽이려다 발각되어 진(晉) 나라로 망명함. 영공의 뒤를 이어 자신의 아들 괴첩(蒯輒)이 출공(出公)으로 즉위하여 그의 귀국을 막았으나, 결국 돌아와 즉위함.
?~B.C.478.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위재(韋齋) - 주송(朱松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아버지로, 주희의 어린시절 스승이었음. 금(金) 나라와의 투쟁을 강하게 주장하다가 지방으로 좌천되었으며, 이부랑(吏部郞) 등을 역임하였음.
1097~114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위재(韋齋)@조효연 - 조효연(曺孝淵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조치우(曺致虞)의 아들이며 이우(李堣)의 문인. 함안 군수(咸安郡守) 등을 지냈으며, 시문(詩文)에 능했음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이 묘갈명(墓碣銘)을 씀.
1486~153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위정(威靖) - 김정경(金定卿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산(安山). 정종(定宗)의 부마인 김한(金澣)의 아버지로,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개성부 유후(開城府留後) 등을 지냄.
1345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안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위제(魏帝) - 도무제(道武帝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초대 황제. 재위 386~409.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(漢人)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(北魏)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, 아들 탁발소(拓跋紹)에게 살해됨.
371~40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위조(渭釣) - 여상(呂尙)
중국 은(殷) 말~주(周) 초의 무신ㆍ제후. 영락(零落)하여 위수(渭水)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(周) 문왕(文王)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(齊侯)에 봉해짐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제후
-
위조(魏曹) - 무제(武帝)@삼국(위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왕조를 세운 장군. 시부(詩賦) 등의 문재(文才)를 지녀 건안문단(建安文壇)을 영도(領導)함.
155~220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