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(愉)@송유 - 송유(宋愉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은진(恩津). 신덕왕후(神德王后)가 붕어(崩御)한 뒤 위패가 태조묘(太祖廟)에 부(附)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(懷德)에 쌍청당(雙淸堂)을 짓고 은거함.
1388~144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학자
-
유(攸) - 사마유(司馬攸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무제(武帝)의 동생. 아버지 사마소(司馬昭)가 차남 사마유(司馬攸)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(司馬炎)을 세자로 삼음. 사공(司空) 등의 벼슬을 지냄.
248~28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유(有) - 신유(愼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의정부 우참찬(議政府右參贊)을 지낸 신희복(愼希復)의 아들로, 세자익위사 위수(世子翊衛司衛率)ㆍ통례원 상례(通禮院相禮)ㆍ한성부 서윤(漢城府庶尹) 등을 지냄.
1527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柔) - 유유(柳柔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를 지낸 유순선(柳順善)과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낸 유종선(柳從善)의 아버지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楺) - 심유(沈楺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참의(參議)를 지낸 심세진(沈世縝)의 아들로 호조 참판(戶曹參判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유(濡)@권유 - 권유(權濡)
조선 현종(顯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두경(權斗經)의 아버지. 권벌(權橃)의 후손으로 권목(權霂)와 함께 《충재집(冲齋集)》을 간행하는 데 힘씀.
1628~168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유(濡) - 이유(李濡)
조선 현종(顯宗)~경종(景宗) 때의 문신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이며, 김창집(金昌集)ㆍ이이명(李頤命)ㆍ민진후(閔鎭厚) 등과 교유함. 우의정(右議政)ㆍ좌의정(左議政)ㆍ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645~172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濡)@최유 - 최유(崔濡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역신(逆臣). 두 차례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, 횡포로 인해 탄핵을 받자 원 나라로 도망침. 기황후(奇皇后)를 설득하여 덕흥군(德興君) 왕혜(王譓)를 왕으로 세우기로 모의하고 고려에 침입했다가 패한 후 압송되어 처형됨.
?~136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(瀏)@신유 - 신유(申瀏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평산(平山)으로, 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. 효종(孝宗) 때 나선정벌(羅禪征伐)에 참여해 전공(戰功)을 세우고, 포도대장(捕盜大將)을 지냄.
1619~168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인동 , 인명>관인>무신
-
유(瀏) - 임유(任瀏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한성 판관(漢城判官)을 지낸 임팽손(任彭孫)의 아들로, 1501년(연산군 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훈련원 부정(訓練院副正) 등을 지냄.
1453~1528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瑜)@남유 - 남유(南瑜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의령(宜寧)으로, 공조 참의(工曹參議) 남응룡(南應龍)의 아들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나주 목사(羅州牧使)로서 이순신(李舜臣)을 도와 노량해전(露梁海戰)에서 싸우다가 전사함.
?~159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당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유(瑜) - 왕유(王瑜)
고려 후기의 종친. 보성군(寶城君) 왕희(王熙)의 아들. 《목은고(牧隱藁)》의 〈양주통도사석가여래사리지기(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)〉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.
?~136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유(瑜)@조유 - 조유(趙瑜)
조선 전기의 유학.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인 조달생(趙達生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(瑜)@이유 - 금성대군(錦城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여섯째 아들. 태조(太祖)의 여덟째 아들인 의안대군(宜安大君) 이방번(李芳蕃)의 후사로 출계함. 수양대군(首陽大君)에 맞서 조카 단종(端宗)을 보호하다가 삭녕(朔寧)에 유배된 후, 단종복위를 모의한 일이 실패하여 처형당함.
1426~145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유(瑜)@박유 - 박유(朴瑜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박민헌(朴民獻)의 아버지로, 좌랑(佐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瑠)@박류 - 박류(朴瑠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백담(栢潭) 구봉령(具鳳齡)의 셋째 아들인 오암(午巖) 구성윤(具誠胤)의 사위로, 우졸재(迂拙齋) 박한주(朴漢柱)가 죽자 동료들과 여표(閭表)를 세울 것을 계획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유(瑠)@권유 - 권유(權瑠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금산 군수(金山郡守) 권빈(權璸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瑠) - 이류(李瑠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형인 월산대군(月山大君) 이정(李婷)의 손자로, 성종의 첫 번째 서자인 계성군(桂城君) 이순(李恂)에게 출계함. 윤임(尹任)이 명종(明宗) 대신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아 거열형(車裂刑)을 당하였으나 선조(宣祖) 때 신원됨.
?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유(瑬) - 김류(金瑬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으로, 송익필(宋翼弼)의 문인.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하였고, 이귀(李貴) 등과 함께 인조반정(仁祖反正)을 주도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 시문(詩文)과 서법(書法)에 뛰어남.
1571~164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(由) - 중유(仲由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공자의 훈계로 입문(入門)하여 헌신적으로 공자를 섬김. 정치(政治) 방면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노 나라와 위(衛)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괴외(蒯聵)의 내란 때 전사함.
B.C.543~B.C.48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