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(留) - 진유(陳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흥덕(興德). 선무랑 녹사(宣務郞錄事)를 지낸 진승중(陳承重)의 아들로, 훈도(訓導)를 지내고 1513년(중종 8)에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곤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유(維)@정유 - 정유(鄭維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)로, 함종 현령(咸從縣令) 정함도(鄭咸道)의 맏아들. 고산 현감(高山縣監) 등을 지내고, 아버지와 삼형제가 모두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維)@한유 - 한유(韓維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영의정(領議政) 한효원(韓效元)의 맏아들이고, 정랑(正郞) 한관(韓綰)의 형이며, 풍해군(豊海君) 이함(李菡)의 사위. 감찰(監察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維) - 장유(張維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우의정 김상용(金尙容)의 사위이며, 사계(沙溪)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. 효종비(孝宗妃) 인선왕후(仁宣王后)의 아버지로, 이괄(李适)의 난과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왕을 호종함. 지행합일(知行合一)을 주장하여 양명학적(陽明學的) 사고방식을 보임.
1587~163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경기도>안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유(裕)@황유 - 황유(黃裕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부마. 본관은 회덕(懷德). 판사(判事) 황자후(黃子厚)의 아들로, 태종의 열한 번째 딸인 숙안옹주(淑安翁主)와 혼인함.
1421~145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왕실>인척
-
유(裕)@노유 - 노유(盧裕)
고려시대의 유학. 풍천백(豊川伯) 노지(盧址)의 후손으로, 풍천노씨(豊川盧氏)의 일세조(一世祖). 국자 진사(國子進士)를 지냈으며, 풍천(豊川)에 세거(世居)함.
한국>고려시대 , 황해도>풍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유(裕)@정유 - 정유(鄭裕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춘추관 기사관(春秋館記事官)으로서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삼사(三司)를 두루 거쳐 오랫동안 경연(經筵)에서 강론함.
1503~156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裕)@나유 - 나유(羅裕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무신. 김방경(金方慶)이 제주(濟州)의 삼별초(三別抄)를 토벌할 때 선봉장으로 참전하여 대장군에 올랐고, 합단(哈丹)이 동북변경을 침범하였을 때 공을 세움.
?~129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유(裕)@이배근의아들 - 이유(李裕)@이배근의아들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평(富平). 선공감 정(繕工監正) 이배근(李培根)의 아들로,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부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裕)@이승손의아들 - 이유(李裕)@이승손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선사군(仙槎君) 이승손(李承孫)의 아들이며 이희량(李希良)ㆍ이희검(李希儉)의 아버지. 사장(詞章)과 필법이 탁월함.
1488~15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유(裕) - 한유(韓裕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변(安邊). 조선 태조(太祖)의 정비(正妃)인 신의왕후(神懿王后)의 증조부로, 보리공신(輔理功臣)에 추록되고, 문하시랑 찬성사(贈門下侍郞贊成事) 안원군(安原君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안변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유(逌) - 김유(金逌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진사(進士) 김걸(金傑)의 아들로, 응교(應敎)를 지냄. 협찬공신(協贊功臣) 김지연(金之衍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鎦) - 이류(李鎦)
조선 후기의 문신. 별좌(別坐)를 지냈으며, 《송강집(松江集)》에 정철(鄭澈)이 성혼(成渾)에게 보내는 편지를 전달해준 기록이 보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(騮) - 김류(金騮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1594년(선조 27) 판관(判官)으로서 남원(南原)의 토적(土賊) 고파(高波)를 상대로 패배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유(鮪) - 하유(河鮪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하우석(河禹碩)의 아버지로, 사과(司果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^분(黝^賁) - 분^유(賁^黝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역사(力士)인 맹분(孟賁)과 북궁유(北宮黝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유^여(游^呂) - 여^유(呂^游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유작(游酢)과 여희철(呂希哲)을 함께 부르는 말. '정문사제자(程門四弟子)'로 일컬어진 두 학자를 말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유가(柔嘉) - 명의태후(明懿太后)
고려 제15대 숙종(肅宗)의 비(妃). 본관은 정주(貞州)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유홍(柳洪)의 딸로, 예종(睿宗)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.
?~1112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유가(柳家) - 유종원(柳宗元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당송팔대가(唐宋八代家)의 한 사람. 고문(古文)의 대가로서 한유(韓愈)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. 우언(寓言) 형식을 취한 풍자문(諷刺文)과 산수(山水)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.
773~81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문인
-
유가업(瑜伽業) - 법상종(法相宗)
중국 당(唐) 나라의 현장(玄奬)ㆍ규기(窺基)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(唯識思想) 계통의 불교종파. 존재의 공성(空性)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.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(太賢)을 초조로 삼음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이론>교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