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경(有慶)@민유경 - 민유경(閔有慶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하고, 이괄(李适)의 난(亂) 때 행재소(行在所)에 호종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어 예빈시 정(禮賓寺正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65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(有慶)@조선후기 - 이유경(李有慶)@조선후기
조선 후기의 문신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으로, 목사(牧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(有慶)@이수원의아들 - 이유경(李有慶)@이수원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廣州). 충청도 도사(忠淸道都事) 이수원(李守元)의 아들.
1497~155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경(有慶) - 박흥문(朴興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박원량(朴元良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석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유경(有慶)@이현보 - 이현보(李賢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홍귀달(洪貴達)의 문인으로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〈어부가(漁夫歌)〉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.
1467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경(有慶)@이해의증손 - 이유경(李有慶)@이해의증손
조선 전기의 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해(李蟹)의 증손으로, 나주(羅州)의 영강서원(榮江書院)에 배향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유경(有慶)@윤효손 - 윤효손(尹孝孫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세조(世祖)와 성종(成宗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고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 등의 수찬에 참여하였으며, 좌참찬(左參贊) 등을 지냄.
1431~150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경(有慶)@최유경 - 최유경(崔有慶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우왕(禑王)에게 이성계(李成桂)의 위화도회군(威化島回軍)을 고변하였으나, 훗날 태조(太祖)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고위관직을 두루 지내고,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 녹훈됨.
1343~141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경(有經) - 진유경(秦有經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기(豊基). 진호(秦浩)의 아들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당(幽敬堂) - 김의정(金義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(金安老)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,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.
1495~154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문(柳景文) - 유중엄(柳仲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유공석(柳公奭)의 아들. 종질인 유성룡(柳成龍)ㆍ유운룡(柳雲龍)과 함께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. 황준량(黃俊良)ㆍ오건(吳健) 등과 교유함.
1538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유경서(柳景瑞) - 유몽정(柳夢井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희저(柳希渚)의 손자로, 남원 현감(南原縣監) 등을 지냄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 때 정암수(丁巖壽)ㆍ오희길(吳希吉) 등의 무고(誣告)로 인해 옥중에서 장사(杖死)함.
1529~158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임(柳景任) - 유몽정(柳夢鼎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유용량(柳用良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성절사(聖節使)로 명(明) 나라에 파견되어 구원병을 요청하여 일을 성사시켰으며, 귀국 도중 병사함.
1527~159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경현(柳景顯) - 유원지(柳元之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성룡(柳成龍)의 손자이며, 정경세(鄭經世)의 문인으로, 경서(經書)ㆍ제자서(諸子書)에 능통함. 이황(李滉)의 이발기발설(理發氣發說)에 동조하고, 효종(孝宗)의 복상문제(服喪問題) 때 삼년설을 주장함.
1598~167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경휴(兪景休) - 유대정(兪大禎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단성 현감(丹城縣監) 유호(兪灝)의 아들. 기축옥사(己丑獄死)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시절 이이첨(李爾瞻) 등 대북파(大北派)의 전횡이 심하자 사직하고 낙향함.
1552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계(劉啓) - 경제(景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6대 황제. 재위 B.C.157~B.C.141. 오초칠국(吳楚七國)의 반란을 진압하고, 중앙집권제를 확립함.
B.C.188~B.C.14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계(劉季) - 고조(高祖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1대 황제. 재위 B.C.202~B.C.195. 항우(項羽)와 패권을 다투었으며,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.
B.C.247?~B.C.195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계(柳季) - 유하혜(柳下惠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사사(士師)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(直道)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, ‘화성(和聖)’으로 일컬어짐.
B.C.720~B.C.62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유계(柳溪) - 이준(李準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증손인 결기수(結己守) 이현(李玄)의 맏아들이며, 삼휴자(三休子) 윤관(尹寬)의 문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유계(酉溪) - 이준(李埈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흥양(興陽).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으로, 남인(南人)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. 임진왜란(壬辰倭亂)ㆍ정유재란(丁酉再亂)ㆍ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.
1560~163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