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궁후예(有窮后羿) - 예(羿)
중국 고대 전설상의 명궁(名弓). 하(夏) 나라 때 유궁씨(有窮氏)의 수령으로 태강(太康)을 축출하고 왕이 되었다가 한착(寒浞)에게 피살되었다는 설과, 요(堯) 임금의 신하로 열 개의 태양 중에 아홉 개를 쏘아 떨어뜨리고 사나운 괴수를 퇴치하였다는 설이 있음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유극기(柳克己) - 유감(柳堪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시절 《무정보감(武定寶鑑)》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, 윤원형(尹元衡) 실각 후 사복시 정(司僕寺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14~15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극임(柳克任) - 유감(柳堪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시절 《무정보감(武定寶鑑)》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, 윤원형(尹元衡) 실각 후 사복시 정(司僕寺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14~15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극후(柳克厚) - 유전(柳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상서원 직장(尙瑞院直長) 유예선(柳禮善)의 아들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31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근(惟謹) - 이유근(李惟謹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평(咸平). 승의랑(承議郞) 이시(李偲)의 맏아들로, 1561년(명종 1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(禮曹正郞) 등을 지냄.
152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금강록(遊金剛錄)@금강록 - 금강록(金剛錄)@이원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인 이원(李黿)의 잡저(雜著). 저자가 1493년(성종 24)에 파직된 후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고 지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금강산록(遊金剛山錄) - 관동록(關東錄)@홍인우
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(洪仁祐)가 관동(關東)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. 1책. 목판본. 이황(李滉)의 발문(跋文)이 있음.
1553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기(劉幾) - 유휘(劉煇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인종 때 진사(進士)에 합격하여 대리평사(大理評事)ㆍ첨서하중부절도판관(簽書河中府節度判官) 등을 지냈으며, 저서에 《동귀집(東歸集)》이 있음.
1030~106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기(惟幾) - 윤유기(尹惟幾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. 고산(孤山) 윤선도(尹善道)의 아버지로,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ㆍ판결사(判決事) 등을 지냄.
1544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기(有奇) - 유유기(柳有奇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고흥(高興). 공민왕(恭愍王) 때 도첨의 시중(都僉議侍中) 등을 지낸 유탁(柳濯)의 아버지로,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기(裕基) - 이유기(李裕基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맹진(李孟畛)의 아들로, 도진무(都鎭撫)를 역임하였으며, 세조(世祖) 때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기노(劉寄奴) - 무제(武帝)@남북조(송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제1대 황제. 재위 420~422. 동진(東晉)의 공제(恭帝)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.
363~42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기성(兪杞城) - 유홍(兪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유여림(兪汝霖)의 손자로,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사건과 종계(宗系)를 변무(辨誣)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.
1524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길(惟吉) - 정유길(鄭惟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영의정(領議政) 정광필(鄭光弼)의 손자. 우의정(右議政)ㆍ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내고, 시문(詩文)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(林塘體)라는 평을 받음.
1515~15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길(裕吉) - 여유길(呂裕吉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여이징(呂爾徵)의 아버지로, 임진왜란 때 소실된 실록(實錄)의 재간(再刊)에 참여하였으며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이름. 저서에 《춘강집(春江集)》이 있음.
1558~161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내한(柳內翰) - 유색(柳穡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유영립(柳永立)의 아들. 근친인 소북(小北)의 영수 유영경(柳永慶)이 전랑(銓郞)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,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(韓繼男)을 탄핵함.
1561~16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년(有年) - 양유년(梁有年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형과 도급사(刑科都給事) 등을 지냈으며, 1606년(조선 선조 39)에 주지번(朱之蕃)과 함께 황제의 원손(元孫)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. 돌아갈 때 허난설헌(許蘭雪軒)의 《난설헌집(蘭雪軒集)》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녕(有寧) - 방유녕(方有寧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1489년(성종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(兵曹參判)ㆍ동지성균관사(同知成均館事) 등을 지냄.
1460~152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녕(裕寧) - 명헌왕후(明憲王后)
조선 제24대 헌종(憲宗)의 계비(繼妃). 본관은 남양. 영돈녕부사(領敦寧府事)를 지낸 홍재룡(洪在龍)의 딸. 자녀는 없음.
1831~1904 한국>근대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유노(劉奴) - 송(宋)@남북조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남조(南朝) 최초의 왕조. 동진(東晉) 말기에 유유(劉裕)가 진(晉) 나라 공제(恭帝)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, 8대 60년간 존속.
420~47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