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명(惟明)@박융 - 박융(朴融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박익(朴翊)의 아들이며, 전적(典籍) 박진(朴震)과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박건(朴乾)의 아버지로, 전한(典翰) 등을 지냄. 아우 박소(朴昭)ㆍ박조(朴調)ㆍ박총(朴聰) 등과 함께 사우당(四友堂)으로 불림.
?~142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명기(幽冥記) - 유명록(幽明錄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의경(劉義慶)이 지은 지괴집(志怪集). 30권. 한(漢) 나라에서 송(宋) 나라 때까지의 인물, 야담, 전설, 불교와 도교의 종교 설화 등을 담음. 현재는 소실되어 일부만 전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명록(幽冥錄) - 유명록(幽明錄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의경(劉義慶)이 지은 지괴집(志怪集). 30권. 한(漢) 나라에서 송(宋) 나라 때까지의 인물, 야담, 전설, 불교와 도교의 종교 설화 등을 담음. 현재는 소실되어 일부만 전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몽(諭蒙) - 유중영(柳仲郢)@당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낸 유공작(柳公綽)의 아들로, 이부 낭중(吏部郞中)ㆍ형부 상서(刑部尚書) 등을 지내고 학문이 뛰어나 《상서이십사사잠(尙書二十四司箴)》등의 저술을 찬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몽득(劉夢得) - 유우석(劉禹錫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왕숙문(王叔文)ㆍ유종원(柳宗元)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(朗州司馬)로 좌천되고, 만년에는 백낙천(白樂天)과 교유함.
772~84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몽득집(劉夢得集) - 유몽득문집(劉夢得文集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(劉禹錫)의 문집. 30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무(幼武) - 이유무(李幼武)
중국 송(送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《송명신언행록(宋名臣言行錄)》을 승계하여 《도학명신언행록(道學名臣言行錄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무(惟茂) - 임유무(林惟茂)
고려 원종(元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진주(鎭州). 권신 임연(林衍)의 아들. 원종(元宗)을 폐하고 안경공 창(安慶公淐)을 즉위시켰는데, 몽고의 압력에 따라 원종은 복위되고 자형인 대장군 최종소(崔宗紹)와 함께 저자에서 살해됨.
?~1270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무신
-
유문(有文) - 박유문(朴有文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1361년(공민왕 10)에 홍건적(紅巾敵)이 침입하여 공민왕이 남천(南遷)할 때 호종한 공으로 신축호종공신(辛丑扈從功臣)에 책록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문(有紋) - 한유문(韓有紋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양촌(陽村) 권근(權近)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, 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거쳐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 등을 역임함.
?~143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문숙(劉文叔) - 광무제(光武帝)
중국 후한(後漢)의 초대 황제. 재위 25~57. 신(新) 나라 왕망(王莽)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.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(田租)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,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(禮敎主義)의 기초를 다짐.
B.C.6~A.D.57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문요(劉文饒) - 유관(劉寬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~영제(靈帝) 때의 문신. 태위(太尉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품이 온순하고 인자하여 남양 태수(南陽太守)로 있을 때 아전이나 백성들이 과실을 범하면 아프지 않은 부들 채찍으로 벌을 주었다고 함.
120~18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문절(柳文節) - 유희춘(柳希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. 유계린(柳桂隣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ㆍ최산두(崔山斗)의 문인(門人).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경사(經史)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《미암일기(眉巖日記)》등 많은 저술을 남김.
1513~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미암(柳眉巖) - 유희춘(柳希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. 유계린(柳桂隣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ㆍ최산두(崔山斗)의 문인(門人).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경사(經史)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《미암일기(眉巖日記)》등 많은 저술을 남김.
1513~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민(惟敏) - 이유민(李惟敏)
조선 전기의 유학. 임운(林芸)이 그에게 보내는 시가 《첨모당집(瞻慕堂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반(幼槃) - 사매(謝邁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. 사일(謝逸)의 종제로, 시문(詩文)에 뛰어나 사조(謝脁)에 비견됨.
1074~111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유발(柳浡) - 유흡(柳洽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종덕(柳種德)의 아들로, 유종학(柳種學)에게 출계(出系)함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유방(劉邦) - 고조(高祖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1대 황제. 재위 B.C.202~B.C.195. 항우(項羽)와 패권을 다투었으며,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.
B.C.247?~B.C.195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방원(流芳院) - 유천조신(柳川調信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문신. 대마도주(對馬島主) 종의지(宗義智)의 가신(家臣). 풍신수길(豐臣秀吉) 때부터 덕천막부(德川幕府) 초까지 아들 유천지영(柳川智永)ㆍ손자 유천조흥(柳川調興) 삼대가 조선과 일본의 강화 회담 및 외교 사무를 담당함.
1539~1605 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벽(劉闢) - 유벽(劉辟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역적. 어사 중승(御史中丞)ㆍ탁지 부사(支度副使) 등을 지냈으나, 서천 절도사(西川節度使)를 지낼 때 난을 일으켜 동천 절도사(東川節度使) 고숭문(高崇文)에게 토벌당함.
?~80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역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