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별좌(柳別坐) - 유몽익(柳夢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유용공(柳用恭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사포서 별좌(司圃署別坐)에 제수되었으며, 형조 정랑(刑曹正郞) 등을 역임함.
1522~159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병(劉炳) - 충제(冲帝)
중국 후한(後漢)의 제8대 황제. 재위 144~145년. 순제(順帝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우귀인(虞貴人). 두 살 때 즉위하여 순제의 황후인 양씨(梁氏)가 섭정하고, 조준(趙峻)과 이고(李固) 등이 정사를 보좌했지만 양씨 외척들이 득세하여 정권을 전횡함.
143~14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병산(劉屛山) - 유자휘(劉子翬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스승으로, 저서에는 《병산집(屛山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보(劉保) - 순제(順帝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의 제7대 황제. 재위 125~144. 재위기간에 외척인 양기(梁冀) 등으로 인해 내정이 문란하고, 천재지변의 속출로 사회가 혼란해짐.
?~144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봉(有鳳) - 어유봉(魚有鳳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종(咸從). 김창협(金昌協)의 문인으로, 1722년(경종 2) 신임사화(申壬士禍) 때 김창협이 화를 당하자 유생들과 함께 변호하다가 파직됨. 세자시강원 찬선(世子侍講院贊善)을 지내고, 저서로 《기원집(杞園集)》 등이 있음.
1672~174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봉(留封) - 장량(張良)
중국 한(漢) 나라 고조(高祖) 때의 공신. 유방(劉邦)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(項羽)를 제압하고 한(漢)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,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(猜疑心)을 알아채고 적송자(赤松子)처럼 은거함.
?~B.C.168 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봉(酉峯) - 윤증(尹拯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윤선거(尹宣擧)의 아들이며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박세당(朴世堂)ㆍ박세채(朴世采)ㆍ민이승(閔以升) 등과 교유함.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(少論)의 영수로 추대됨.
1629~171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이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부(兪拊) - 유부(兪跗)
중국 고대 황제(黃帝) 때의 의관(醫官). 탕약(湯藥)이나 침구(鍼灸)를 사용하지 않고 수술로 병을 치료하였다고 하며, 편작(扁鵲)과 함께 명의(名醫)로 일컬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유불(劉黻) - 유보(劉黼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참지정사(參知政事)ㆍ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불릉(劉弗陵) - 소제(昭帝)
중국 한(漢) 나라 제8대 황제. 재위 B.C.87~B.C.74.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(霍光)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, 흉노(匈奴)와 우호관계를 유지함.
B.C.94~B.C.7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비(劉備) - 소열제(昭烈帝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의 제1대 황제. 재위 221~223. 후한(後漢)의 영제(靈帝)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, 후에 제갈량(諸葛亮)의 도움을 받아 오(吳) 나라의 손권(孫權)과 함께 조조(曹操)의 대군을 적벽(赤壁)에서 격파함.
161~223 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비(柳庇) - 유청신(柳淸臣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무신. 몽골어를 배워 여러 차례 원(元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원 나라에 있을 때 왕위를 노리는 심양왕(瀋陽王) 왕고(王暠)에게 가담하여 반역 행위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 나라에 머물다가 죽음.
?~1329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역적ㅣ인명>관인>무신
-
유빈객(劉賓客) - 유우석(劉禹錫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왕숙문(王叔文)ㆍ유종원(柳宗元)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(朗州司馬)로 좌천되고, 만년에는 백낙천(白樂天)과 교유함.
772~84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빈객문집(劉賓客文集) - 유몽득문집(劉夢得文集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(劉禹錫)의 문집. 30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빈객집(劉賓客集) - 유몽득문집(劉夢得文集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(劉禹錫)의 문집. 30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사영(兪思永) - 유대수(兪大脩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진사(進士) 유함(兪涵)의 아들. 이황(李滉)ㆍ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(門人)으로, 내섬시 정(內贍寺正)ㆍ안동 부사(安東府使) 등을 지냄.
1546~158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산(遺山) - 원호문(元好問)
중국 금(金) 나라 말기의 시인. 과거에 급제하여 국사편수관 등을 지냈으나, 나라가 망하자 벼슬을 그만두고 저술에 전념함. 특히 두보(杜甫)의 시에 조예가 깊음.
1190~1257 중국>원ㅣ중국>금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산록(遊山錄)@유두류록 - 유두류록(遊頭流錄)@김종직
조선 성종(成宗) 때 김종직(金宗直)이 지리산(智異山)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(紀行文). 지리산에 관한 기행문 중에 가장 오래되고 상세한 글임.
1472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유산록(遊山錄) - 관동록(關東錄)@홍인우
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(洪仁祐)가 관동(關東)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. 1책. 목판본. 이황(李滉)의 발문(跋文)이 있음.
1553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산선생문집(遺山先生文集) - 유산선생집(遺山先生集)
중국 금(金) 나라 말기의 시인인 원호문(元好問)의 문집. 40권. 원(元) 나라의 장덕휘(張德輝)가 수합ㆍ정리하여 엄충걸(嚴忠傑)이 간행함.
1262 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