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월석(劉越石) - 유곤(劉琨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문신ㆍ시인. 혜제(惠帝) 때 오랑캐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맹세한 사직지신(社稷之臣). 좌사(左思)ㆍ곽박(郭璞)과 함께 동진(東晉)의 3대 시걸(詩傑)로 꼽힘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유(劉裕) - 무제(武帝)@남북조(송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제1대 황제. 재위 420~422. 동진(東晉)의 공제(恭帝)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.
363~42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유인(劉惟寅) - 유청(劉淸)
중국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 때의 학자. 《중용장구상설(中庸章句詳說)》을 편집하고, 그 사이에 사백선(史伯璿)의 견해와 팽정견(彭廷堅)의 표제를 덧붙여 《중용(中庸)》을 공부하는 데 지침서를 마련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유주(柳柳州) - 유종원(柳宗元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당송팔대가(唐宋八代家)의 한 사람. 고문(古文)의 대가로서 한유(韓愈)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. 우언(寓言) 형식을 취한 풍자문(諷刺文)과 산수(山水)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.
773~81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문인
-
유은(庾隱) - 이중량(李仲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농암(聾巖) 이현보(李賢輔)의 아들로, 효행(孝行)과 학행(學行)이 뛰어났으며,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(善政)을 베풂.
1504~158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은(遊隱) - 김계보(金季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취려(金就礪)의 8세손이며, 능성 현령(綾城縣令) 김약(金躍)의 아들. 1432년(세종 14)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냈으나, 세조가 즉위하자 남원(南原)으로 내려가 은거했음.
?~145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은옹(遊隱翁) - 김계보(金季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취려(金就礪)의 8세손이며, 능성 현령(綾城縣令) 김약(金躍)의 아들. 1432년(세종 14)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냈으나, 세조가 즉위하자 남원(南原)으로 내려가 은거했음.
?~145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은지(柳隱之) - 유은지(柳殷之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세조(世祖)를 도와 정난공신(靖難功臣)이 된 유수(柳洙)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(同知中樞院事)를 지냄.
1370~144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음(柳陰) - 한효윤(韓孝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문천 군수(文川郡守)를 지낸 한여필(韓汝弼)의 아들. 1570년(선조 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경성 판관(鏡城判官)ㆍ종부시 주부(宗簿寺主簿) 등을 지냄.
1536~158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의(惟毅) - 송유의(宋惟毅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송기(宋圻)의 아버지로, 돈녕부 봉사(敦寧府奉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의(有義) - 정유의(鄭有義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청주 목사(淸州牧使) 정결(鄭潔)의 아들이며 종부시 첨정(宗簿寺僉正) 정구(鄭球)의 아버지로, 무안 현감(務安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의(柳醫) - 유지번(柳之蕃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내의(內醫). 명종(明宗) 때 의원 김윤은(金允誾)과 함께 《달학이해방(疸瘧易解方)》을 편집하였으며, 중궁(中宮)의 산실의원(産室醫員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유의(由誼) - 민유의(閔由誼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충선왕 때 첨의정승(僉議政丞)을 지낸 민지(閔漬)의 증손으로, 증문하찬성사(贈門下贊成事) 민선(閔璿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의경세설(劉義慶世說) - 세설신어(世說新語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(劉義慶)이 편찬한 일화집(逸話集). 후한(後漢) 말부터 동진(東晉)까지의 명사(名士)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, 36편(篇)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유의륭(劉義隆) - 문제(文帝)@남북조(송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송(宋) 나라의 제3대 황제. 재위 424~453. 귀족을 중용하고 문치(文治)를 위주로 하여 원가(元嘉)의 치세(治世)를 주도함.
407~45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이능(柳爾能) - 유세명(柳世鳴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유원지(柳元之)의 문인으로, 교리(校理) 시절에 송시열(宋時烈)ㆍ김수항(金壽恒)ㆍ김석주(金錫胄)ㆍ민정중(閔鼎重)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(箚子)를 올렸으며,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역임함.
1636~169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이발(柳而發) - 유식(柳植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, 그가 술그릇과 화분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익(劉翼) - 효숭황(孝崇皇)
중국 후한(後漢)의 추존왕. 후한의 제11대 황제인 환제(桓帝)의 아버지로, 효숭황(孝崇皇)으로 추존(追尊)되었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익(惟翊) - 송유익(宋惟翊)
고려 전기의 문신. 여산송씨(礪山宋氏)의 시조로, 은청광록대부(銀靑光祿大夫)에 오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(劉駰) - 유인(劉因)
중국 원(元) 나라 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. 학행(學行)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(集賢殿學士)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. 정주학(程朱學)을 신봉하여 허형(許衡)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(二大家)로 일컬어짐.
1249~1293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