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인(惟仁) - 박융(朴融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박익(朴翊)의 아들이며, 전적(典籍) 박진(朴震)과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박건(朴乾)의 아버지로, 전한(典翰) 등을 지냄. 아우 박소(朴昭)ㆍ박조(朴調)ㆍ박총(朴聰) 등과 함께 사우당(四友堂)으로 불림.
?~142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(惟仁)@정유인 - 정유인(鄭惟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남부 주부(南部主簿)를 지낸 정노겸(鄭勞謙)의 아들이자 우의정(右議政)을 지낸 정지연(鄭芝衍)의 아버지로, 봉상시 정(奉常寺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(有仁) - 이유인(李有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계번(李繼蕃)의 아들로, 1459년(세조 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예조 참판(禮曹參判) 등을 지냄.
?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(裕仁) - 이유인(李裕仁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자(李磁)의 아들로, 1561년(명종 1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함경 감사(咸鏡監司) 등을 지냄. 구사맹(具思孟)의 《팔곡잡고(八谷雜稿)》에 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음.
1533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인중(柳仁仲) - 유희춘(柳希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. 유계린(柳桂隣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ㆍ최산두(崔山斗)의 문인(門人).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경사(經史)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《미암일기(眉巖日記)》등 많은 저술을 남김.
1513~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인지(柳訒之) - 유조인(柳祖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으로, 충효와 절의로 천거되어 이천 현감(伊川縣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선조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원종공신(扈聖原從功臣)에 책록됨.
1522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인화(柳仁和) - 유돈(柳墩)@고려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와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역임함.
?~1309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일(惟一) - 이순(李純)@조선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성혼(成渾)ㆍ이위빈(李渭濱)ㆍ김경삼(金景參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일(惟一)@1525 - 정유일(鄭惟一)@1525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충의위 어모장군(忠義衛禦侮將軍) 정황(鄭璜)의 아들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25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일(惟一)@1533 - 정유일(鄭惟一)@1533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(大事諫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 시부(詩賦)에 뛰어났으며,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(退溪說)을 발전시킴.
1533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일(有一)@김유일 - 김유일(金有一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황(丁熿)의 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일(有一) - 함유일(咸有一)
고려 인종(仁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항양(恒陽)으로, 강좌칠현(江左七賢)의 한 사람인 함순(咸淳)의 아버지. 1135년(인종 13) 묘청(妙淸)의 난에 공이 있어 서경유수 녹사(西京留守錄事)가 되고, 병부 낭중(兵部郞中)ㆍ공부 상서(工部尙書) 등을 지냄.
1106~118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일재(惟一齋) - 김언기(金彦璣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도산(陶山)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. 이황이 죽은 후 여강(廬江)에 서원을 세우고, 백련사(白蓮寺)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(崇儒抑佛)에 노력함.
152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자(孺子)@안유자 - 안유자(晏孺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왕자. 경공(景公)의 총첩(寵妾)인 예희(芮姬)의 소생으로, 경공이 죽자 국하(國夏)와 고장(高張)의 도움으로 왕에 올랐으나, 천첩 출신임을 꺼려 양생(陽生)을 추대한 대부 전걸(田乞) 등에 의해 살해됨.
?~B.C.48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유자(孺子) - 서치(徐穉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 때의 고사(高士). 예장 태수(豫章太守) 진번(陳蕃)이 빈객을 접대하는 일이 없었으나, 오직 그를 위해 하나의 의자를 마련하여 그가 오면 내어놓고 떠난 후에 다시 걸어두었다는 고사로 유명함.
97~16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유자(有子) - 유약(有若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공자의 모습과 닮아 공자가 죽은 뒤 제자들이 그를 스승처럼 섬기려 하였으나 증삼(曾參)의 반박으로 무산됨.
B.C.518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자(柳子) - 유종원(柳宗元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당송팔대가(唐宋八代家)의 한 사람. 고문(古文)의 대가로서 한유(韓愈)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. 우언(寓言) 형식을 취한 풍자문(諷刺文)과 산수(山水)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.
773~81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문인
-
유자산(庾子山) - 유신(庾信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시인(詩人). 서능(徐陵)과 함께 화려한 궁체시(宮體詩)를 즐겨 지음. 북조(北朝) 서위(西魏)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당한 뒤 청신한 시풍(詩風)으로 바뀌어 남북조 시문(詩文)을 집대성함.
513~58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유자후(柳子厚) - 유종원(柳宗元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당송팔대가(唐宋八代家)의 한 사람. 고문(古文)의 대가로서 한유(韓愈)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. 우언(寓言) 형식을 취한 풍자문(諷刺文)과 산수(山水)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.
773~81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문인
-
유작(劉灼) - 유극장(劉克莊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내고, 육유(陸游)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, 강호시파(江湖詩派)를 주도함.
1187~126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