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장(劉莊) - 명제(明帝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의 제2대 황제. 재위 57~75.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,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.
28~7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장(劉萇) - 효인황(孝仁皇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의 아버지. 효원황(孝元皇)에 추존(追尊)된 유숙(劉淑)의 아들로, 영제 즉위 후 효인황(孝仁皇)으로 추존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장(幼章) - 하소지(河紹地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전력부위(展力副尉) 하원(河源)의 생부이자, 하위지(河緯地)의 동생. 1447년(세종 2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409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장(柳庄) - 유가장(柳家庄)
중국 북경(北京)으로 가는 길에 있는 상가촌(上家村)에 속한 마을 이름. 김성일(金誠一)의 《학봉속집(鶴峯續集)》 〈조천기행(朝天紀行)〉에 이곳에 대한 언급이 있음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유장(柳蔣) - 유보(柳溥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호조(戶曹)와 공조(工曹)의 판서(判書)를 거쳐 우의정(右議政)을 역임함. 주계군(朱溪君) 이심원(李深源)의 사위.
?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재(劉載) - 무제(武帝)@남북조(전조)
중국 남북조시대 전조(前趙)의 왕. 재위 310~318. 고조(高祖) 유연(劉淵)의 넷째 아들로, 형인 태자 유화(劉和)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. 즉위 후 진(晉)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(懷帝)와 민제(愍帝)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(國亂) 속에 죽음.
?~31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재(幼材) - 이재(李栽)
조선 효종(孝宗)~영조(英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재령(載寧). 주리론(主理論)으로 영남학파를 이끈 성리학의 대가로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, 저서로 《성유록(聖喩錄)》ㆍ《금수기문(錦水記聞)》ㆍ《주서강록간보(朱書講錄刊補)》 등이 있음.
1657~173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재(裕哉) - 유공작(柳公綽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으로,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의 조부. 간성 군수(杆城郡守)와 통례원 인의(通禮院引儀)를 역임함.
1481~155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절(幼節) - 육항(陸抗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무신. 육손(陸遜)의 둘째 아들로, 무장(武將)으로 활약함. 손호(孫皓)가 즉위하자 17조목의 건의를 하고, 서진(西晉)의 장수 양호(羊祜)와의 싸움에서 일화를 남김.
226~274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정(惟精)@박유정 - 박유정(朴惟精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박원령(朴元秢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정(惟精) - 김유정(金惟精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평양부원군(平陽府院君) 김승주(金承霔)의 아버지로, 정주 목사(定州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(惟貞) - 이유정(李惟貞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평난공신(平難功臣) 이준(李準)의 아버지로,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(有定) - 신유정(辛有定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1386년(우왕 12) 남해에서 왜구를 격퇴시키고, 이성계(李成桂)의 휘하에서 무공을 세움. 조선 건국 후 원종공신(原從功臣)이 되었으며, 평안도 도안무사(平安道都安撫使) 등을 지냄.
1347~142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유정(柳亭) - 양여공(梁汝恭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1431년(세종 13) 유연생(柳衍生)의 무고(誣告)로 사형됨. 효성이 지극하고 시와 글씨에 능했음.
1378~143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(柳亭)@장옥 - 장옥(張玉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유배당했고, 김안로(金安老) 일당에게 몰려 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음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한 뒤 판교(判校) 등을 역임함.
1493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(維禎) - 허국(許國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1567년 목종(穆宗)이 등극하였을 때 한림 검토(翰林檢討)로서 병과 급사중(兵科給事中) 위시량(魏時亮)과 함께 반조(頒詔)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. 저서에 《조선일기(朝鮮日記)》ㆍ《문목공집(文穆公集)》 등이 있음.
1527~159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정량(劉貞亮) - 구문진(俱文珍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환관. 순종(順宗) 때 왕숙문(王叔文) 일당을 몰아내고 위기에 처한 조정을 구신(舊臣)에게 돌려주는 데 공을 세움.
?~8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환관
-
유정보(柳靜甫) - 유발(柳潑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유학. 백광훈(白光勳)의 《옥봉시집(玉峯詩集)》에, 그와 이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유정부(柳正夫) - 유격(柳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어 선릉 참봉(宣陵參奉)을 지내고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에 다섯 차례나 임명되었으며, 서예에 뛰어났음.
1545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정부(游定夫) - 유작(游酢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정호학(程顥學)에 매진하여 '정문사제자(程門四弟子)'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, 감찰어사(監察御史)ㆍ지호주(知濠州) 등을 지냄.
1053~11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