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추(有秋) - 이여(李畬)@1503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인로(李仁老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문학(文學)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(易學)에 정통함. 형 이치(李菑)와 함께 진천(鎭川)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.
1503~154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추(有秋)@전유추 - 전유추(田有秋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담양(潭陽)으로, 전영발(田穎發)의 아들. 장흥(長興)의 감호(甘湖)에 은거하여 평생 후학 교육에 힘썼으며, 감호사(鑑湖祠)에 배향됨.
1594~167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학자
-
유춘(囿春) - 정태화(鄭太和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효종(孝宗)의 부마인 정재륜(鄭載崙)의 생부. 뛰어난 문재(文才)와 바른 처신으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고, 영의정(領議政) 재임시 예송(禮訟) 논쟁, 대동법(大同法) 시행 등의 국무를 처결함.
1602~167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춘(有春) - 유유춘(柳有春)
조선 후기의 무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선조(宣祖) 때 교리(校理)를 지낸 유중룡(柳仲龍)의 아버지로 충의위(忠義衛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충(惟忠) - 오유충(吳惟忠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과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조선에 원군으로 파견되어 참전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유충(有忠) - 송유충(宋有忠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 서원군(西原君) 송훤(宋暄)의 아버지로, 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 청주군(淸州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충(有忠) - 송유충(宋有忠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 서원군(西原君) 송훤(宋暄)의 아버지로 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 청주군(淸州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취(類聚) - 의방유취(醫方類聚)
조선 세종(世宗) 때 왕명으로 편찬된 의학사전. 《향약집성방(鄕藥集成方)》ㆍ《동의보감(東醫寶鑑)》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의서(醫書)로 꼽힘.
14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유치산(游廌山) - 유작(游酢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정호학(程顥學)에 매진하여 '정문사제자(程門四弟子)'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, 감찰어사(監察御史)ㆍ지호주(知濠州) 등을 지냄.
1053~11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칠(柳七) - 유영(柳永)
중국 북송(北宋)의 문인. 사(詞)에 능숙하여, 북송의 주방언(周邦彦), 남송(南宋)의 강기(姜夔)ㆍ신기질(辛棄疾)과 함께 사대사인(四大詞人)으로 불림. 저서에 《악장집(樂章集)》이 있음.
987~105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유침(劉枕) - 유령(劉伶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인. 죽림칠현(竹林七賢)의 한 사람으로,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, 〈주덕송(酒德頌)〉을 지어 술을 예찬함.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(愛酒家)의 전형으로 일컬어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유침(惟沈) - 정유침(鄭惟沈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문신인 정자(鄭滋)ㆍ정철(鄭澈)과 인종(仁宗)의 후궁인 귀인정씨(貴人鄭氏)의 아버지로, 돈녕부 판관(敦寧府判官)을 지냄.
1493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탄(柳灘) - 진호(秦浩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풍기(豊基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 진유경(秦有經)의 아버지이며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, 선공감 정(繕工監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태(惟泰) - 이유태(李惟泰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동부승지(同副承旨) 등을 지내고 예학(禮學)에 뛰어났으며, 송시열(宋時烈)ㆍ송준길(宋浚吉)ㆍ윤선거(尹宣擧)ㆍ유계(兪棨)와 더불어 호서산림(湖西山林) 오현(五賢)으로 일컬어짐. 저서로는 《초려집(草廬集)》 등이 있음.
1607~168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태감(劉太監) - 유원(劉遠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1545년 조선 인종(仁宗)의 국상(國喪) 때 태감(太監)으로서 행인(行人) 왕학(王鶴)과 함께 황제가 내린 제전(祭典)ㆍ시호(諡號)ㆍ부의(賻儀)를 가지고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통군(劉統軍) - 유창예(劉昌裔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무신. 양혜림(楊惠琳)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를 설복(說服)시킴. 검교상서좌복야 겸 좌룡무통군(檢校尙書左僕射兼左龍武統軍) 등을 지내고 팽성군공(彭城郡公)에 봉해짐.
?~8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유파산(柳巴山) - 유중엄(柳仲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유공석(柳公奭)의 아들. 종질인 유성룡(柳成龍)ㆍ유운룡(柳雲龍)과 함께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. 황준량(黃俊良)ㆍ오건(吳健) 등과 교유함.
1538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유패공(劉沛公) - 고조(高祖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1대 황제. 재위 B.C.202~B.C.195. 항우(項羽)와 패권을 다투었으며,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.
B.C.247?~B.C.195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평(游平) - 두무(竇武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의 비(妃)인 두후(竇后)의 아버지. 진번(陳蕃)과 함께 국정을 보필하였으며, 환제가 죽은 뒤 영제(靈帝)를 옹립하여 이응(李膺)ㆍ두밀(杜密)과 함께 환관 조절(曹節)ㆍ왕보(王甫) 등을 죽이려다 발각되어 자결함.
?~16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유평보(劉平甫) - 유평(劉玶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유자휘(劉子翬)의 아들로, 소무군사호참군(邵武軍司戶參軍)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희(朱熹) 등과 교유함.
1138~118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