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포(柳浦) - 구인후(具仁垕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무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(御營大將)이 되고 영국공신(寧國功臣)에 책록됨. 벼슬은 좌의정(左議政)에 이름.
1578~165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유풍악록(遊楓嶽錄) - 관동록(關東錄)@홍인우
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(洪仁祐)가 관동(關東)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. 1책. 목판본. 이황(李滉)의 발문(跋文)이 있음.
1553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필(惟弼) - 문유필(文惟弼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덕병(德柄) 문극겸(文克謙)의 아들로, 추밀원사(樞密院使)ㆍ판삼사사(判三司事) 등을 지냄.
?~122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하(劉賀) - 폐제(廢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황제. 무제(武帝)의 손자로, 소제(昭帝)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으나 음란하고 무절제한 생활로 인해 27일만에 곽광(霍光) 등 대신들에 의하여 폐위됨.
?~B.C.59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하(柳下)@김진옥 - 김진옥(金鎭玉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승지(承旨)를 지낸 김만균(金萬均)의 아들이며,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. 음보(蔭補)로 기용된 뒤 강원 감사(江原監司) 등을 지냄. 대보단(大報壇)을 건의(建議)하여 설치됨.
1659~17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하(柳下) - 황여헌(黃汝獻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장수(長水). 영의정 황희(黃喜)의 현손으로, 김해 부사(金海府使)를 지낸 황관(黃瓘)의 아들이며 황맹현(黃孟獻)의 아우.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, 〈죽지사(竹枝詞)〉라는 작품은 명(明)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.
1486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하동(柳河東) - 유종원(柳宗元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당송팔대가(唐宋八代家)의 한 사람. 고문(古文)의 대가로서 한유(韓愈)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. 우언(寓言) 형식을 취한 풍자문(諷刺文)과 산수(山水)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.
773~81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문인
-
유함(惟咸) - 백유함(白惟咸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조 정랑(吏曹正郞)이 되었을 때 당쟁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다가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 사건 때 복직함. 임진왜란 때 의주(義州)로 왕을 호종(扈從)했고, 명사(明使) 정응태(丁應泰)를 접반(接伴)함.
1546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함(惟諴) - 이유함(李惟諴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하수일(河受一)의 매서(妹壻)로, 1591년(선조 24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장원하여 영천 군수(榮川郡守) 등을 지냄.
1557~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합(類合) - 신증유합(新增類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유희춘(柳希春)이 《유합(類合)》을 증보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한자 입문서. 《천자문(千字文)》ㆍ《훈몽자회(訓蒙字會)》등과 함께 널리 이용됨. 2권 1책.
1576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유항(劉恒) - 문제(文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5대 황제. 재위 B.C.180~B.C.157. 전조(田租)ㆍ인두세(人頭稅) 감면, 가혹한 형벌 폐지,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.
B.C.202~B.C.15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항(有恒) - 탁유항(卓有恒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탁련(卓璉)의 맏아들로, 기자전 참봉(箕子殿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정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항(柳巷) - 한수(韓脩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. 이제현(李齊賢)에게 경사(經史)와 서법(書法)을 배우고,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찬화공신(贊化功臣)에 책록됨.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,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.
1333~138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항선생시집(柳巷先生詩集) - 유항시집(柳巷詩集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한수(韓脩)의 저서. 저자의 문인(門人)인 성석용(成石瑢)과 이통훈(李通訓)이 1400년(정종 2) 전라도 금산(錦山)에서 간행함. 1책. 목판본.
140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금산 , 문헌>서명
-
유항선생집(柳巷先生集) - 유항시집(柳巷詩集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한수(韓脩)의 저서. 저자의 문인(門人)인 성석용(成石瑢)과 이통훈(李通訓)이 1400년(정종 2) 전라도 금산(錦山)에서 간행함. 1책. 목판본.
140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금산 , 문헌>서명
-
유해(幼海) - 소해(少海)
《산해경(山海經)》에 무고산(無皐山)의 남쪽에 있다는 바다. 천자(天子)는 대해(大海)에 비유하고 태자(太子)는 소해(少海)에 비유했음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유해(有海) - 최유해(崔有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1624년(인조 2) 안변 부사(安邊府使) 시절 명(明) 나라의 모문룡(毛文龍)에게 군량을 공급함.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(頌德碑)가 세워지고,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.
1587~1641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행(攸行) - 성봉조(成奉祖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성엄(成揜)의 아들이며, 세조(世祖)의 동서(同壻)로,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.
1401~14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유헌(游軒) - 정황(丁熿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사산감역(四山監役) 정세명(丁世明)의 아들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이기(李芑)의 논계로 파직되고,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유배됨.
1512~15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헌선생유고(游軒先生遺稿) - 유헌집(游軒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정황(丁熿)의 문집. 5대손인 정재흥(丁載興)에 의해 편집ㆍ간행되고, 송상기(宋相琦)의 서문과 민진후(閔鎭厚)의 발문이 있음.
17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