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유헌선생집(游軒先生集) - 유헌집(游軒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정황(丁熿)의 문집. 5대손인 정재흥(丁載興)에 의해 편집ㆍ간행되고, 송상기(宋相琦)의 서문과 민진후(閔鎭厚)의 발문이 있음.
17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문헌>서명
-
유현(劉玄) - 경시제(更始帝)
중국 후한(後漢)의 황제. 재위 23~25. 광무제(光武帝)의 족형(族兄). 평림병중(平林兵中)에 있으면서 경시 장군(更始將軍)이라 불렸으며, 그 후 추대되어 황제(皇帝)의 자리에 올랐으나 군중의 여망(輿望)을 잃고 적미군(赤眉軍)에게 살해됨.
?~2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현덕(劉玄德) - 소열제(昭烈帝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의 제1대 황제. 재위 221~223. 후한(後漢)의 영제(靈帝)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, 후에 제갈량(諸葛亮)의 도움을 받아 오(吳) 나라의 손권(孫權)과 함께 조조(曹操)의 대군을 적벽(赤壁)에서 격파함.
161~223 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협(劉協) - 헌제(獻帝)
중국 후한(後漢) 최후의 황제. 재위 189~220. 영제(靈帝)의 아들로, 아홉 살 때 동탁(董卓)에 의해 왕위에 오르고 조조(曹操)의 도움으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, 후에 위(魏) 나라 문제(文帝)로 등극한 조비(曹丕)에 의해 폐위됨.
181~234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혜(柳惠) - 유하혜(柳下惠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사사(士師)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(直道)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, ‘화성(和聖)’으로 일컬어짐.
B.C.720~B.C.62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유호(劉祜) - 안제(安帝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의 제6대 황제. 재위 106~125. 청하왕(淸河王) 유경(劉慶)의 아들로, 상제(殤帝)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으나 등태후(鄧太后)의 섭정으로 실권을 행사하지 못함.
94~12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호(有怙) - 탁유호(卓有怙)
조선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기자전 참봉(箕子殿參奉)을 지낸 탁련(卓璉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정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호호(柳浩浩) - 유회(柳淮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흥양(興陽). 유서량(柳恕良)의 아들로, 1558년(명종 1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팔곡(八谷) 구사맹(具思孟)과는 죽마지우(竹馬之友) 사이.
153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화부인(柳花婦人) - 유화(柳花)
고구려(高句麗)의 시조(始祖)인 동명왕(東明王) 주몽(朱蒙)의 어머니. 고구려 건국 신화에 따르면 아버지는 수신(水神)인 하백(河伯)이고, 천제(天帝)의 아들 해모수(解慕漱)를 만나 주몽을 낳았다고 함.
?~B.C.24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후궁
-
유회중(柳晦仲) - 유종일(柳宗日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함(柳諴)의 아들이며, 조계(潮溪) 유종지(柳宗智)의 동생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그가 병문안을 온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후(劉后) - 문덕왕후(文德王后)
고려 제6대 성종(成宗)의 비(妃). 고려 제4대 왕인 광종(光宗)의 딸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유후(留侯) - 장량(張良)
중국 한(漢) 나라 고조(高祖) 때의 공신. 유방(劉邦)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(項羽)를 제압하고 한(漢)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,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(猜疑心)을 알아채고 적송자(赤松子)처럼 은거함.
?~B.C.168 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유후(裕後) - 김지경(金之慶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중종(中宗) 때 좌의정을 지낸 김응기(金應箕)의 아버지로, 공조 참판(工曹參判)ㆍ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419~14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훤(劉烜) - 장제(章帝)
중국 후한(後漢)의 제3대 황제. 재위 75~88. 그의 사후 왕후인 두태후(竇太后)가 섭정을 하고, 외척 두헌(竇憲)이 권력을 휘두름.
?~8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흔(劉欣) - 애제(哀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10대 황제. 재위 B.C.7~B.C.1. 재위 중에 외척 세력을 조정에서 척결했으나, 말년에 다시 외척이 정치에 깊이 간여하여 조정이 혼란에 빠지고 정치도 부패해짐.
B.C.26~B.C.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유흥백(柳興伯) - 유창문(柳昌門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예빈시 별제(禮賓寺別提) 유윤(柳潤)의 아들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도승지(都承旨) 유인숙(柳仁淑)의 일가라는 이유로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직책을 삭탈당하였으며, 후에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역임함.
1514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유희로(柳希魯) - 유중련(柳仲連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豐山). 권호문(權好文)과 함께 안동(安東)의 학가산사(鶴駕山寺)에서《서경(書經)》ㆍ《주역(周易)》을 강독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유희범(柳希范) - 유중엄(柳仲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유공석(柳公奭)의 아들. 종질인 유성룡(柳成龍)ㆍ유운룡(柳雲龍)과 함께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. 황준량(黃俊良)ㆍ오건(吳健) 등과 교유함.
1538~157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육(堉) - 김육(金堉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청풍(淸風). 대동법(大同法) 실시, 수차(水車)ㆍ수레 사용, 화폐 통용 등을 주장한 정치관료로서 실학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
1580~165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가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육(稑)@박륙 - 박륙(朴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교리(校理)를 지낸 박문간(朴文幹)의 아들로, 1511년(중종 6) 별시(別試)로 급제하여 호조 참의(戶曹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